1. 중국, 이번 아시안 게임 선수 구성에 말이 많았지만 이 정도일줄이야.

같은 편끼리 태클을 하질 않나, 공이 오면 어쩔 줄 몰라 당황하질 않나.

자기편에게 태클걸고 경고 받는 장면은 쉽게 볼 수 있는게 아니죠!

 

2. 이건 뭐, 질래야 질 수 없는 그런 경기였다고 봅니다.

졌으면 대재앙!

 

3. 박주영의 활약은 돋보였습니다.

프리킥으로 골을 넣은 장면도 그랬지만 -사실 중국팀 골키퍼가 너무 쉽게 내준면이 없잖아 있지요- 왕성한 활동량으로 수비진을 뒤흔드는 움직임은 매우 좋았습니다.

 

4. 김정우의 게임지배력도 빛을 발했지요.

공간을 잘 활용하는 플레이기 좋았습니다.

 

5. 그렇다쳐도 중국팀의 플레이는 인상깊을 정도로 못했습니다.

대체 어쩌자고 이런 팀을 꾸려서 아시안게임에 대비했는지.

그것도 홈에서 하는 경기인데.

 

6. 다시 한번 북한전을 떠오릴 수 밖에 없네요.

근래 보기 드문 졸전이였는데 홍명보 감독이 잘 극복을 했나봅니다.

두번째 경기부터 합류한 박주영의 힘이 컸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구요.

 

7. 한국팀이 승을 거둔 상대팀의 전력이 일정수준 이하 -어제의 중국팀 마저도!- 였기에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를 쉽게 낙관할 순 없습니다만, 상승세임은 분명합니다.

 

8. 기억하시는 분이 계실런지 모르겠습니다만,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에서 4강전에서 맞붙은 적이 있습니다.

한국팀이 일방적인 경기를 펼치다가 우즈베키스탄의 단하나의 유효슈팅을 차상광 골키퍼가 폭풍같은 알까기를 터뜨리며 1:0으로 졌습니다.

 

9. 김정우가 말하는 군생활이 다른 선수에게 자극이 되었을까요? 

 

10. 다른 이야기지만 이청용은 군면제 입니다.

사유는 학력미달(중학교 중퇴).

 

 11. 진정한 팀킬인란?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