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교 신입생 환영회 같은 행사에서, 서로 친목 도모 겸해서 한 게임이 있었는데, 질문지에 적힌 미션들을 누가 빨리 완성하는가 였어요.

그 중, 아무도 성공하지 못한 미션 하나가 있었으니..."신입생 중에서 페이스북 계정이 없는 사람을 찾으라"


2. 누군가 처음 알게 된 사람이 있습니다. 구글에서 이름을 칩니다. 그 사람의 페이스북 페이지가 뜹니다. (체감확율 90%) 기본 프로파일과, 혹시 공개되었다면 사진을 봅니다. 친구로 등록합니다. 이제 우리는 네트워킹이 가능한 사이. 전화도, 이메일도 따로 딸 필요가 없습니다. 페이스북에서 친구인 이상 파티초대나, 기타등등 다 가능하니까요.


3. 저희 과 어느 학생이 만든 비디오가 있습니다. 내용은, 이 친구가 어느날 전시회에 갔다가 만나서 이름을 알게 된, 멀고 먼 동네에 사는 한 여자아이에게 호감을 느낍니다.(여기까지는 이 친구의 부연설명) 이 친구는 구글에서 그 여자아이의 이름을 치고, 페이스북을 찾아 들어가 사진들을 하나하나 감상합니다.

비디오에 대한 평가를 하는 동안, 모두가 '이건 이제 더 이상 creepy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사실 우리 모두가 하는 일 아니냐.' 라고 말했습니다.


4. 사람들이 페이스북에서 가장 두려워 하는건, 부모님이나 직장 동료, 상사들이 자신의 페이스북을 보는 것 입니다. Saturday Night Live에서도 엄마가 페이스북 상에서 친구일때, 파티에서의 난잡한 사진이나, 욕설 같은 걸, 엄마에게만 자동적으로 필터링을 해주는 가짜 소프트웨어에 대한 스킷이 있었습니다.


5. 소셜 네트워크라는 영화의 무게감이 그렇게 대단했던건(예로, 기자 한 명은 '지난 십년의 영화'라는 표현을 쓸 정도로) 영화의 완성도가 좋았기도 하지만, 페이스북에 바꿔놓은 네트워킹 방법, 그리고 그게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미치는 생활에서의 영향력 때문이었죠. 이를테면, 영화에서 마크 주커벅이 여자 변호사를 친구로 추가할까 말까 망설이는 장면에서는, 말 그대로 '모두가 그런 경험이 있었이 때문에' 더 와닿는 장면인거구요.


6. 저는 페이스북이, 한국에서 싸이월드가 그랬던 것처럼, 시간이 더 흐르면 지금은 공개되어있는 자신들에 대한 정보들을 사람들이 알아서 차단하고, 더 철저히 감추는 식으로 흘러갈 거라고 봅니다. 뉴욕타임즈 기사에서도 올해 초 쯤인가 페이스북에서 프라이버시 설정을 더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는 내용의 기사가 나왔었죠. 실제로 페이스북도 더 세분화시켜서 프라이버시를 공개 혹은 감추도록 설정을 할 수 있게 만들었고, 이미 많은 사람들이 친구(이거나 친구의 친구)가 아닌 이상 자신들의 사진이나 프로파일을 볼 수 없게 막아놨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꽤 둔감하거든요. 어쨌거나, 노출의 정도의 민감해질지언정, 페이스북이 그저 몇년 반짝하고 말 웹사이트가 아니란고 확신합니다. 무언가 아주 더 획기적인 다른 소셜 네트웤이 생긴다면 달라질 수도 있는 얘기지만, 페이스북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최소한 마치 비즈니스 카드나 전화부같은 용도로라도 남을거라고 확신해요. 간단히 말해 지구상에서 온라인으로 네트워킹을 할 필요/능력이 있는 거의 모든 인구가 페이스북에 페이지를 갖고 있을거라는 상상도 해봅니다. 언어나 문화적으로 특별히 장벽이 있는 사람들은 제외해야겠지만요.


P.S : 이 글을 쓰는 동안, 페이스북 통해 저에게 날라든 서너개의 메세지, 코멘트 등에 답했습니다. 이런 '실시간'의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죠. 단순히 감상적인 일기를 적거나, 유행하는 노래로 비쥐엠을 깔고, 음식 사진을 올리는게 페이스북 문화는 아닙니다. 좀 더 집약적으로 '네트워킹'이에요.


P.S : 이게 웬 페이스북 예찬이냐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말씀드리면, 정말 제가 체감하는 페이스북의 영향력에 대해서 쓰고 싶었습니다. 개인적인 호오는 글에 담지 않으려고 노력했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79
113446 대세에 따라 저두 가방 얘기 [8] august 2010.11.19 1944
113445 좋아하는 가게가 문 닫을 때의 대처법 [1] 빠삐용 2010.11.19 1385
113444 매년 수능때마다 들려오는 얘기 [3] 메피스토 2010.11.19 1543
113443 (자동재생) 삼촌의 고백. [1] 자본주의의돼지 2010.11.19 1282
113442 윤리적 소비란 가능한가? [12] 해삼너구리 2010.11.19 2483
113441 물수능보다는 불수능이죠 [9] 샤유 2010.11.19 2348
» 바낭이지만, 미국에서 페이스북 영향력의 체감도. [5] OPENSTUDIO 2010.11.19 2554
113439 수능거부1인시위 + 대한민국 십대를 인터뷰하다 [3] 난데없이낙타를 2010.11.19 1865
113438 [듀나인]남자 가방은요?? [18] 쵱휴여 2010.11.19 2789
113437 [대세편승] 명품백중에서 루이비똥이 가장 별로고 프라다가 젤 좋아요! [12] 아카싱 2010.11.19 3426
113436 이번 아시안게임 도대체 왜 이러나요. [4] 핑킹오브유 2010.11.19 2906
113435 이전 게시판에서 봤던 단편 영화 질문 [2] carnage 2010.11.19 1260
113434 어제 대한민국 영화대상 복남양 여우주연상 수상소감 [2] fan 2010.11.19 2240
113433 윤리적 소비는 거창하고..나의 착한 또는, 소심한 소비 약속......몇 가지. [14] 2010.11.19 2184
113432 현시대의 한국 사회에서는 얼마가 있어야 부자 일까요? [20] elief 2010.11.19 2982
113431 바다는 가사를 참 잘써요. [1] 아리마 2010.11.19 1725
113430 현시대의 한국 사회에서는 얼마가 있어야 서민 일까요(패러디) [8] 가끔영화 2010.11.19 1960
113429 남자의 카메라 테크 [28] 보이저1호 2010.11.19 3640
113428 명품백, 패션의 관점으로 [9] Saint 2010.11.19 3401
113427 무한도전 달력 판매 시작했네요 [7] 히소카 2010.11.19 235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