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의 진달래꽃도 표절이다?

2015.06.29 17:37

아지라엘 조회 수:4899


      Had I the heavens' embroidered cloths,
      Enwrought with golden and silver light,
      The blue and the dim and the dark cloths
      Of night and light and the half-light,
      I would spread the cloths under your feet:
      But I, being poor, have only my dreams;
      I have spread my dreams under your feet;
      Tread softly because you tread on my dreams.

  다음은 <고뇌의 무도>란 안서 김억의 역시집 중에 위의 시를 우리말로 번역한 시 <꿈>의 전문이다.

      내가 만일 光明의
      黃金, 白金으로 ㅅ자(짜)아내인
      하늘의繡노흔옷,
      날과밤, ㅅ도(또)는 저녁의
      프르름, 어스럿함, 그리고 어두움의
      물들린옷을 가젓을지면,
      그대의 발아래 폐노흘려만.
      아아 가난하여라, 내所有란 ㅅ굼(꿈)박에업서라,
      그대의발아래 내 ㅅ굼(꿈)을 폐노니,
      나의생각가득한 ㅅ굼(꿈)우를
      그대여, 가만히 밟고지내라.

  우리가 소월의 시 <진달래꽃>과 예이츠의 <꿈>이란 두 시를 비교 검토해 본다면 두 시의 상사점과 모작관계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두 시가 영향을 받았다는 설은 영문학자 이양하  교수에 의해 제기되어 널리 알려진 바 있다.


위에 예문으로 든 영문 원본 시중 <>을 번역해 본다면 <<나는 그대 발아래 천을 뿌리리라>> 라고 했는데 <천>이란 시어를 빼고 그 자리에 <<진달래>>를 대입한다면<<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와 일치하고, <> 를 번역한다면 <<그대 발아래 내 꿈들을 뿌리겠다.>> 라고 했는데 <> 대신에 <<진달래꽃>>로 치환에 넣는다면 <<그대의 발아래 진달래꽃을 뿌리우리라>> 와 일치 하고, <> 를 번역한다면 <<그대여 내 꿈들이기에 가만히 밟고 가라>>이고 그 <<꿈>>이란 시어 대신에 <<진달래꽃>>을 환치한다면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와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위 예문에서 보다시피 예이츠의 시 <꿈>과 <소월> 시인의 시 <진달래꽃>의 두 시는 시의 소재와 주제와 시적 이미지와 여러 시행과 시어들이 상호 일치함을 보여준다. 모든 시적 표현들이 우연의 일치라고 그 누구도 항변하지 못할 것이고 또한 이는 올바른 태도가 아닐 것이다. 여러 교수 분들의 부드럽고 유연한 표현 대신에 그 진실에 대해 적확的確하게 표현한다면 두 작품 사이엔 모작의 관계가 성립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위 예이츠의 시에서 <<옷>>이란 시어 또는 <<꿈>>이란 시어 대신에 소월은 <<진달래꽃>>을 대입시켰고 예이츠는 그 <<천 , 꿈>>을 사랑하는 이의 발아래 펴놓으면 살며시 밟고 가라는 시적 표현이고, 소월도 사랑하는 이의 발아래 <<진달래꽃>>을 펴놓을 테니 즈려밟고 가기를 바라는 표현은 예이츠의 시나 소월 시 모두 공통적이고 동일한 시적 표현과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의 행의 숫자도 안서의 역시는 11행으로 이루어졌고 소월 시는 12행을 이루고 있어 시의 형식과 형태 면에서도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소월이 1902년생이므로 <진달래꽃>을 작시한 연령이 20대 전후일 것이다. 물론 시를 체험이 아닌 상상력에 의존해서 시를 쓸 수도 있겠으나 한 가정을 꾸려가는 가장으로서 이별의 서정을 주제로 한 시인 <진달래꽃>을 20세 전후의 소월이 쓸 수 있다는 것도 좀은 앞뒤가 맞지 않은 면도 있다고 볼 수 있다.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Pa87&fldid=64FB&datanum=5



신경숙 표절 파문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김소월의 진달래꽃도 예이츠의 He wishes for the cloths of Heaven의 표절이라는 이야기가 나와서 논란이 일었습니다.


살펴보니 두 시가 매우 유사하긴 하군요.


님의 발아래에 뭔가를 깔아놓고 지나가기를 바라는


발상과 표현이 우연은 절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더구나 김소월이 진달래꽃을 발표하기 1년 전에


스승인 김억이 예이츠의 시를 번역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100프로죠.



예전에도 진달래꽃이 He wishes for the cloths of Heaven의 영향을 매우 깊이 받았다는 이야기는


종종 제기되었었다고 하네요.


진달래꽃이 한국 문학의 상징과도 같은 작품이라 영향을 받았다는 선에서 정리하는 거지


솔직히 현시대의 작품이라면 100% 표절 확정이었을 겁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0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06
108135 아버지의 기일에는 [14] whks 2010.08.03 3659
108134 인셉션 짤막한 단상들 (당연히 스포일러 있습니다) [17] 몰락하는 우유 2010.07.24 3659
108133 운동 삼개월..몸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1] 풍기문란 2014.06.29 3658
108132 [바낭] 살만 빼면 해결될 문제들 [13] 겨울3 2014.03.27 3658
108131 [바낭] 한국에서 제일 가볼만한 곳은 어디일까요? 제주도? [17] 침엽수 2013.04.12 3658
108130 둘리가 BL인건 라이트유저인 저도 압니다. [4] 나나당당 2012.12.09 3658
108129 나 자신이 허당이라는 것을 실감했던 순간들 [9] 질문맨 2011.06.08 3658
108128 바렌보임도 유대인입니다. [35] 늦달 2011.03.02 3658
108127 북한의 폭로에 대한 정부 반응 [13] jim 2011.06.01 3658
108126 (이하늘 동생으로 유명한) 45rpm의 본격 전대통령 디스. [8] mithrandir 2011.01.01 3658
108125 휴대용 노트북에서 300g은 차이가 크겠죠? 1.58kg 이냐 1.88kg이냐 고민중이에요 [13] apogee 2013.10.14 3658
108124 대한민국 영화대상이 부활하네요., [11] 쥬디 2010.09.20 3658
108123 슈퍼스타K 따위.swf [12] Jager 2010.08.19 3658
108122 쌍둥이 할머니 [5] 가끔영화 2010.06.25 3658
108121 MBC 새 수목 드라마 넌내게반했어 보신분 있나요? [13] keen 2011.07.01 3658
108120 유아인 BBC 인터뷰 [11] 왜냐하면 2018.05.21 3657
108119 직장에 어마무시하게 귀여운 여직원이 있어요.(2) [15] 젊은익명의슬픔 2016.01.26 3657
108118 외국에선 폰카로 사진 찍어도 찰칵소리가 안나던데.. [13] 담대하게 2014.05.13 3657
108117 ㅇㅈㅈ가 누구죠 [1] 가끔영화 2014.05.04 3657
108116 굿바이, 무비위크 - 폐간된다고 합니다 [8] 한군 2013.03.11 365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