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를 꽤 좋아합니다. 유명 미드 중에 안 본 것도 아직 많지만 적어도 요즘 즐기는 문화 컨텐츠의 절반 이상은 미드고, 나머지는 영화, 책, 기타일 정도로 저에게 비중이 높습니다. 
최근에 재밌게 본 것은 역시 최근에 새 시즌이 나온 오뉴블(Orange is the new black 줄여서 한글로 오뉴블)입죠. 아실 분들은 아는 것처럼 순간의 젊었을 때의 실수로 교도소에 가게 된 중산층 여성이 겪는 여자 교도소 이야기입니다. 다양한 여성 캐릭터가 나오고 이들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크게는 백인+아시아일부, 라틴, 흑인의 집단으로 나뉩니다), 각 개인은 또 감옥에 올 수밖에 없었던 각자의 과거를 안고 있습니다. 이런 과거가 조금씩 나오면서 감옥 안에서의 사건들이 진행되는 방식이죠. 여자 교도소라고는 하지만 중범죄자가 아닌 상대적으로 경범죄자들이 들어오기 때문에 분위기도 약간은 느슨한 점이 있고, 어찌 보면 문제아 많은 기숙사제 여고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거기에 교도관들의 사정이 겹치면서 꽤 흥미진진한 드라마가 되지요. 퀴어적 요소는 덤. 
각설하고, 어차피 제가 굳이 또 설명하지 않아도 이미 보실 분들은 다 보셨을 거고, 아실 분들은 다 아실 거고, 2013년 첫 시즌이 나옴과 동시에 아주 트렌디해진 드라마니까요. 최초의 넷플릭스 드라마라는 점도 특징적이었고요. 
그런데 이 드라마를 주변인에게 권하거나, 혹은 반응을 물어봤을 때 상당히 많은 이들이 주인공이나 등장인물이 별로 안 예뻐서 안 끌린다고 혹은 집중이 안 된다고 대답을 합니다. 
에?? 고작 그런 이유로??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예쁜 것, 물론 저도 좋아하지만, 그렇다고 집중이 안 될 정도라고요?
아니 뭐, 사람마다 드라마를 보는 이유는 다른 거고, 굳이 드라마 보면서까지 현실감 넘치는 공정성 따위 따지고 싶지 않은 사람도 있을 수 있겠지요. 그런 뜻은 충분히 존중합니다. 어떻든 즐겁자고 보자는 드라마인데 억지로 보랄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오뉴블 같은 드라마를 보면 확실히 전형적인 미형의 캐릭터는 별로 나오지 않아요. 그나마 주인공 커플인 테일러 쉴링이나 로라 프레폰 정도 외에는 딱히 예쁘지도 늘씬하지도 않은, 그러나 충분히 매력적인 여성들이 잔뜩 나오죠. 일반적인 기준으로 보자면 키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거나, 너무 살이 쪘거나, 너무 말랐거나, 너무 늙었거나. 그렇지만 그게 우리가 사는 모습에 더 가깝고, 그래서 더 눈물 나고 혹은 더 내 일처럼 즐겁지 않은가요? 
저는 한국 드라마는 스무살 이후로 본 게 손으로 꼽을 정도입니다만, 가끔 볼 때마다 주인공들이 다 너무 늘씬하고 마르고 게다가 실내 장면인데도 완벽한 헤어와 메이크업을 하고 있는 것을 보면 너무 어색하고 감정 이입이 힘들던데요. 아 게다가 캐릭터 구분도 좀 어렵습니다. 뭐랄까 자기 그림체는 있지만 얼굴을 다 똑같이 그려서 헤어스타일 아니면 캐릭터 구분 하기 힘든 만화 보는 것처럼요. 음. 이거야 뭐 취향 문제라고 하더라도.
한류 열풍이 한창이던 때 외국 반응 중에 왜 한국 드라마에는 다양한 캐릭터가 나오지 않느냐고 하는 지적과 함께 이런 외모에 대한 것도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차이가 어디에서 오는가 하는 점을 굳이 국민성이니 이런 식으로 말하는 것은 터무니 없다는 건 알지만, 적어도 한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대중문화를 대하는 심리는 상대적으로 동경과 모방이 크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외국에도 물론 연예인 혹은 매체 컨텐츠에 대한 선망의 경우가 있겠지요. 제가 한국 사람이라 한국의 현상이 더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한국이나 미국이 아닌 다른 국가의 사정은 어떤가 하는 궁금증도 듭니다. 
아무튼 그런 특징이 흥미로워서 최근에 계속 곱씹으며 생각해보다 두서없이 글로 한번 올려보았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86
215 파친코를 읽으면서 작가의 단점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이렇게 유명해지다니?) [7] dlraud 2022.04.17 1302
214 현재 우리네 코로나 백신 상황이랑 똑같네요 [1] Tomof 2022.02.22 733
213 봉준호 감독이 극찬한 걸작인 <행복한 라짜로>가 오늘 밤 KBS 독립영화관에서 방영돼요! ^^ [8] crumley 2021.07.16 634
212 세계영화사에 남는 위대한 촬영감독인 주세페 로투노를 추모하며 [1] crumley 2021.03.08 345
211 <소울>을 보고 예전에 여기에 올렸던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글을 떠올리면서 받은 특별한 감동에 대해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요. [10] crumley 2021.02.17 879
210 기적이네요! 제가 시나리오 윤색 작업을 하고 배우로 출연한 남승석 감독의 <감정교육>이 방콕 국제다큐영화제에서 수상했어요! ^^ [12] crumley 2020.12.19 836
209 기적이네요! 제가 참여한 이혁의 장편 <연안부두>가 9월 4일 밤 12시 10분에 KBS 독립영화관에서 방영돼요! ^^ [14] crumley 2020.09.02 756
208 (나 역시) 1호가 될 순 없어 / 연습실에서 울다 [24] Koudelka 2020.08.31 1371
207 뒤늦게 올리는 엔니오 모리꼬네에 관한 개인적인 추모글 [9] crumley 2020.07.24 566
206 제가 출연하고 스탭으로 참여한 이혁의 장편 <연안부두>가 6월 14일 15시 30분에 ktv 국민방송에서 방영돼요. [6] crumley 2020.06.13 813
205 느그 아부지 뭐하시노? / 영화감독입니다... [1] 룽게 2020.02.12 967
204 오스카 후보 지명 상황에서 의미심장하게 들리는 <기생충>의 대사와 수석의 정체 + 개인적인 소회 [4] crumley 2020.01.15 1041
203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황금종려상 수상에 대한 개인적인 소회가 담긴 글 [2] crumley 2019.05.29 1945
202 제가 문화잡지 '쿨투라'에 기고했던 알프레드 히치콕의 <현기증>에 관한 글 올려봅니다. (링크 포함) [2] crumley 2018.09.12 892
201 알프레드 히치콕의 <현기증>에 관한 미친 기록 [10] crumley 2018.01.02 2130
200 빈스 본 코성형했네요 [1] 계란과자 2016.06.28 1865
199 올해 출판계의 사건! 드디어 세계적인 영화평론가 하스미 시게히코의 영화비평선이 이모션 북스에서 출간되었어요!!! ^^ [6] crumley 2015.08.26 2418
198 영화일기 10 : 테렌스 맬릭의 황무지, 타르코프스키의 잠입자, 키에슬로프스키의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 [2] 비밀의 청춘 2015.08.13 1030
» 드라마의 주인공이 예쁘고 잘생기지 않아서 [10] 해삼너구리 2015.07.01 3350
196 영화일기 5 : 침묵(잉마르 베리히만), 8과 1/2(페데리코 펠리니), 경멸(장 뤽 고다르), 뉘른베르크의 재판(스탠리 크레이머) [3] 비밀의 청춘 2015.06.22 78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