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전야, 개천절

2017.10.03 23:44

칼리토 조회 수:753

추석 전날이라는 생각만 했지.. 개천절이라는 생각은 1도 못하다가.. 지금에야 떠올랐네요. 흠.. 


길기만한 추석 연휴, 이제 내일 차례 지나고 나면 반환점 도는 기분이 될 것 같습니다. 다들 해외로 어디로..간다는데 거기에 해당도 없고.. 차례 지내는 큰집이지만 막내동생만 오면 되는 터라 딱히 부담도 없네요. 


그래도 이래저래..집에 있으면 해야할 일은 많습니다. 청소도 하고..설거지도 하루종일 한 거 같네요. 그나마 전이랑 닭같은 걸 아웃소싱한덕에 여유가 있는 편이랄까요. 송편도 사오고.. 전이랑 기타는...막내가 사와주기로 해서 너무 고맙습니다. 아니었으면 오늘은 코끝에 식용유 냄새가 하루종일 맴돌았을 거예요. 


맞다. 제사음식은 안했지만 요즘 냉장유통되는 미국산 아롱사태로 장조림은 만들었네요. 이게 국끓일때도 유용하고 장조림에는 아주 딱인 부위더라구요. 가격도 한우의 1/3.. 정도 인것 같고.. 다음에는 좀 많이 사다가 더 많이 만들어야겠습니다. 제대로 만들어 놓으니 꽤 괜찮은 밥반찬입니다. 특히.. 고기 사이 사이에 박혀있는 심줄 부분이 아주 몽글몽글.. 식감이 좋습니다. 


명절 풍경이 예전과는 많이 바뀐거 같습니다. 제사도 예전처럼 엄격하지 않고 몇년전만해도 일일이 부쳐서 올리던 전도 이제는 사와서 올리는 판국인지라.. 좀 더 시간이 지나면 좋아하는 음식 시켜다가 차려놓고.. 덕담 나누다가 마치는 그런식이 될지도 모르겠어요. 젯상에 빵이며 커피 올리는 집도 있다고 하니. 하기사 차례라는 것도 술대신 차를 올리는 제사라는 뜻이지요. 차던 커피던.. 문제야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흠.. 


나이를 먹을수록 살아갈수록 점점 사람이 작아진다는 그런 느낌이 듭니다. (체중은 늘어만 가지만..) 마치 지우개처럼 썼다가 지우고 싶은 과거의 흔적들을 떠올리며 스스로가 닳아없어지는 느낌이랄까. 소시민이라는 것이 이런때 쓰는 말이군.. 싶습니다. 소시민이던 대시민이던.. 무탈하게 살았으면 좋겠다. 추석에 모두에게 드리고픈 축원입니다. 해피 추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21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77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916
721 우린 장필우의 생존이 아니라 미래차의 생존을 지키는 거야, 우리의 생존을 위해 타락씨 2019.10.17 372
720 인용, 신천지, 마스크, 오명돈에 대한 쓸모없는 의견 [4] 타락씨 2020.03.02 693
719 댓글 다 안됨 대댓글도(내용없습니다) [1] 가끔영화 2011.12.31 705
718 윤주, 뒤늦게 써보는 전공의 파업 비판 성명에 대한 잡담 [5] 타락씨 2020.09.18 726
717 (PC이야기) NVIDIA GTX680(캐플러) 벤치마크 유출? [9] chobo 2012.03.21 750
» 추석 전야, 개천절 [1] 칼리토 2017.10.03 753
715 혹시 게시물이 안올라가는 분 계신가요 [2] 가끔영화 2011.11.18 780
714 특수부 명칭 변경, 땔감 조국 센세는 왜 오늘 장관직을 사퇴하셨나 [1] 타락씨 2019.10.14 782
713 아버지가 자식에게.. 작은가방 2012.12.20 795
712 정치 바낭 hermit 2012.11.24 796
711 ㅂㄱㅎ님 덕분에 디아블로3 끊을지도. chobo 2012.12.21 800
710 야 이 조팔!!!!!!!!!!! [2] 타락씨 2019.10.24 808
709 조국의 양심, 조기숙의 양심 [3] 타락씨 2019.09.28 815
708 종소리 듣고 싶어요! [2] 지붕위의별 2013.01.01 817
707 주소 첨부하실 때 클릭하게 하려면 [1] 가끔영화 2012.02.21 829
706 [냉무]이요님 쪽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3] 妄言戰士욜라세다 2012.10.16 855
705 youtube에서 자주 듣는 노래 (7곡) [2] 축구공 2012.01.13 865
704 [바낭+듀9] 이탈리아 근대사 이후의 역사에 대해 책 추천좀 부탁드려요 [2] 에아렌딜 2012.04.01 879
703 도그마와 도가니 [1] beer inside 2011.11.04 898
702 입맛이 없어요 [1] Johan 2014.08.09 90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