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px-Waterhouse_Hylas_and_the_Nymphs_M

힐라스와 님프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1896년, 캔버스에 유채, 132.1/197.5cm, 맨체스터 아트 갤러리 소장

 

 

 

 

 

제가 바로 그런적이 있습니다. 바로 이 그림 때문인데요. 한 눈에 보고 순간 뻑 가버린 거죠. (<물의 역사>라는 책이었죠.) 그래서 이 그림 하나 때문에 그냥 책을 사버린 일이 있습니다. 어찌나 아름답던지...님프들이요, 사실 이 그림이 담고 있는 신화의 의미를 생각해 본다면 얘들은 물귀신에 다름 아닌데, 이렇게 아름다운 물귀신들이라서 힐라스가 그냥 빨려들어갔다는 얘긴지...-_-;;

 

 

 

그래서 간만에 힐라스에 대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미소년이다. 헤라클레스의 사랑을 받아 함께 아르고호 원정에 참여했다가 그의 미모에 반한 물의 님페들에게 유혹되어 연못 속으로 끌려 들어갔다.'

 

 

(실은 제가 힐라스에 대해 아는 건 딱 이 정도인데,)

 

 

 

-----------------------------------------------------------------

 

 

 

.....힐라스는 어머니인 님페 메노디케의 미모를 물려받아 대단히 아름다운 소년이었다. 그런데 헤라클레스와 힐라스의 아버지 테이오다마스 왕 사이에 황소를 두고 분쟁이 벌어졌다. 헤라클레스가 사냥해 잡아먹은 황소가 실은 주인이 있었던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둘 사이에 싸움이 벌어져, 헤라클레스가 테이오다마스 왕을 그만 죽이는 사건이 벌어졌다. 헤라클레스는 이때 미소년 힐라스를 납치하였다. 힐라스가 너무 아름다웠기 때문에 그를 사랑하여 곁에 두려고 그런 것이다. 힐라스는 헤라클레스가 아르고호 원정에 참가하자 창잡이로 따라나서 원정을 함께 했다.

일설에 의하면 힐라스의 아버지는 테이오다마스가 아니라 헤라클레스라고 한다. 테이오다마스의 아내이던 님페 메노디케가 헤라클레스와 바람을 피워서 낳은 아들인데, 테이오다마스와 헤라클레스 사이에 싸움이 벌어진 것도 이 간통 사건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버전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테이오다마스를 죽이고 친아들을 데려가 전사로 키운 것이 된다....

 

 

힐라스 [Hylas] - 왕자 (그리스로마신화 인물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98434&cid=58143&categoryId=58143

 

 

 

----------------------------------------------------------------

 

 

대박이네요...그리스 신화의 막장 스토리야 워낙 악명높은 것이라 새로울게 없긴 한데, 이건 뭐라...그러니까 힐라스가 실은 헤라클레스의 아들이었군요! 영웅과 얽힌 미소년 스토리의 대명사겠거니 생각했더니만(그런데, 아버지를 죽이고 아들을 유괴했다니!...여기서 정말 처음 들었네요...둘이 좋아서 같이 다니는 줄 알았지...-_-;;) 숨겨진 출생의 비밀까지. 그러니까 이게 실은 이 스토리의 창작자가 여러 명이라서 생긴 일 같군요. 영웅의 대명사 헤라클레스 전승에 누군가 동성애 스토리를 만들어 내었는데, 이에 분개한 누군가 '그게 아니거든! 그 두 사람은 실은 아버지와 아들이었어!' 하면서…그래도 나의 영웅이 게이인것 보다는 불륜을 저지른게 낫지! 하고 막장 스토리 첨가....생각해 보니 진짜 웃기…ㅎㅎ

 

 

실은 이런 어처구니없는 분쟁이 이 이야기에만 있는게 아니고 제우스와 가니메데의 신화에도 있습니다. 제우스가 미소년 가니메데를 사랑하여 독수리로 변신 어쩌구(이하 생략...)하는 신화에도 당시 그리스 인들이 적지 않게 불편함을 표시했던것 같습니다. 플라톤이 이에 대해 언급하길,

 

......대화편 『노모이』에서 제우스와 가니메데스의 신화가 크레타 사람들이 지어낸 이야기라고 하면서 그곳 사람들 사이에 만연해 있던 남성들 간의 동성애를 제우스를 모범으로 내세워 합리화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 신화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큰 인기를 끌었는데, 그 이유는 성인 남성과 소년 간의 사랑(ephebophilia: 소년성애증)이 이 신화를 통해 종교적인 정당성을 얻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가니메데스 [Ganymedes] - 신의 반열에 오른 인간 (그리스로마신화 인물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97654&cid=58143&categoryId=58143

 

 

----------------------------------------------------------

 

 

창작의 자유가 있다는 것이 과연 이런 것인가 실감이 나는군요. 고대 그리스 사회가 민주정이다 보니(물론 여성과 노예와 외국인 제외) 사상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가 보장이 되었는데, 이에 연동하여 창작의 자유를 신앙이나 성의 자유의 영역까지 확대시키는 현상이 나타난듯 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동성애자(여성 제외)들은 자신들의 성정체성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말 부단한 노력을 했군요. 특히 가장 민감하다고 볼 수 있는 종교의 영역에서 신화와 미술과 같은 예술적 수단을 동원해 선전하고 공동체로부터 동의를 구해 나가는 과정은, 같은 시기의 다른 문화권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이라 그저 놀라울 뿐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5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0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77
118660 킨들 샀어요! +크롬 킨들앱 추천! [9] at the most 2011.05.03 4767
118659 본인을 뺀 모든 식구가 한나라당을 지지할 때 [3] 2010.06.03 4767
118658 오늘의 웃긴 이야기 (19금 .... 인가?) [15] nobody 2010.11.03 4766
118657 엔하위키 뒤적거리다....모차르트 이거 대체 뭔가요;; [17] 아마데우스 2013.05.03 4765
118656 네이버 베스트도전에 겨우 2화하고 조금 더 올라왔는데 웹툰 갈 거라 확신하게 되는 작품 등장. [13] Chekhov 2013.03.07 4765
118655 형법 전문가 조국 교수님 듀게 가입사건 후 한 번 더... [9] Carb 2011.10.12 4765
118654 한예슬 사건(?) 보면서 이런 생각한 사람, 저 혼자만인지 [16] 루이스 2011.08.17 4765
118653 임재범 나치 퍼포먼스와 팬덤의 쉴드 [55] 르페이 2011.06.30 4765
118652 듀게에서 예언했던 "바야바 패션"이 등장했습니다!!! [16] bap 2011.01.12 4765
118651 김연아, 아시아최초 올해의스포츠우먼수상 [26] dong 2010.10.13 4765
118650 mbc 파업 노조 이탈자들 [21] 오키미키 2012.05.08 4764
118649 듀나인]]손에 다른 사람 침이 묻었는데요..질문글입니다....................................... [30] 여은성 2012.02.06 4764
118648 태지 이니셜로 이름을 쓴 이지아를 왜 못알았나 [1] 가끔영화 2011.04.22 4764
118647 항공사 승무원들 감정노동 강도가 장난이 아니네요. [6] 슈크림 2013.04.22 4763
118646 투개월 도대윤은 정말 Poker Face를 자체심의했단 말인가 [14] 라면포퐈 2011.10.10 4763
118645 이쯤에서 다시 보는 이지아 외계인설 [5] Johndoe 2011.04.21 4763
118644 01410님 글 받아서.. 망원동 정광수의 돈까스 가게 [12] 2B 2011.03.22 4763
118643 런던, 런던. 런던을 가려 합니다. 가본신 분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8] 8 2010.06.20 4763
118642 사유리보다 더 솔직한 할머니. [16] 자본주의의돼지 2012.02.19 4763
118641 <기사링크>쑨양의 박태환앓이 [7] 마크 2012.08.07 476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