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대축구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었어요.

토탈사커-티키타카는 기본이고 90분간 내내 전력질주하는 체력도 기본

여기에 눈에 띄는 큰 변화는 대부분의 본선진출국들이 ‘스피드’를 갖추었어요.

여기에 개별선수들의 기량과 조직력+전술의 차이가 있는정도 



2.

이런 현대축구의 기본 트렌드를 기준으로 가장 후진적인 축구를 하는 팀을 하나 꼽자면 한국팀....;

스쿼드만 보면 꿀릴게 없는 팀인데 어떻게 모아놓으니 아무것도 되는게 없는 팀이 되는것도 신기해요;

트렌드고 뭐고 그냥 수준미달팀을 뽑자면 사우디와 호주팀


한국팀은 일단 너무 느려요.  축구에서 스피드라는것은 단지 달리기가 빠른것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터치에 이어진 패스속도, 공의 속도, 공수전환 속도, 슛팅동작의 속도 등등을 포함한 속도가 다 빨라야 스피드한 축구를 한다고 할 수 있는데

한국은 그 모든게 다 느립니다.

스피드한 축구를 하려면 당연하게도 필드에서 선수들의 축구지능도 좋아야 해요.

엄청 짧은 찰나의 순간에 판단을 하고 결정을 해야 하니까요.  그런 면에서 한국팀은 팀차원의 축구지능이 너무 떨어집니다.

개개인의 지능이 아니라 팀으로서의 지능인데 이것은 감독이 준비한 전술에 따라 효율적인 훈련을 통해 형성되는 지능이죠.

한국팀은 멍청해 보이는데 그게 마치 큰 사고를 당하고 트라우마로 모든게 굼 뜬 모습같달까?


사우디와 호주팀은 스피드도 문제지만 현대축구의 가장 기본인 체력이 안되더군요. 

이렇게 보면 전반적으로 아시아팀들이 현대축구의 트렌드에 못미치는게 도드라집니다. 이유가 뭘까요?



3.

세네갈-폴란드 1라운드 마지막 경기에서 위에 언급한 트렌드에 가장 부합하는 팀들간의 경기를 볼 수 있었는데

특히 세네갈은 정말 멋진 팀이더군요. 폴란드가 운도 없었지만 그 불운을 만들어 낸건 세네갈의 ‘사나운 축구’탓이었다고 봅니다.

게다가 이 팀은 정말 투지가 넘치고 열심히 뜁니다.  아프리카팀의 고질병 중 하나가 어느 순간 정줄 놓거나 설렁 설정하는게 안보이더군요;


저한테는 매우 중요한....세네갈은 제가 뽑은 비쥬얼 1위팀입니다. 일단 감독부터 짱 멋져요.


https://goo.gl/images/B8okSR



4.

잉글랜드-튀니지 경기를 빼고는 대부분의 경기를 본방 or 재방 및 하이라이트로 봤는데

1라운드만 보자면 스페인, 멕시코, 세네갈, 벨기에가 최상위권이고 위에 언급한 아시아팀들과 북아프리카지역팀들을 제외한 나머지팀들이

모두 수준급의 막상막하일거 같군요.


오늘은 포르투칼과 모로코와의 경기가 있는데 호날두의 염소 세레모니를 또 볼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0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15
120197 꽃 이름을 물어보며, 꽃박사? 채찬님이 알걸 [2] 가끔영화 2022.06.19 295
120196 요즘 듣고 본 것 중 인상깊은 세가지 [4] 예상수 2022.06.19 707
120195 예수와 바울의 차이 [7] catgotmy 2022.06.19 670
120194 [넷플릭스바낭] 세상에서 가장 나이브한 아포칼립스물, '러브 앤 몬스터스'를 봤어요 [8] 로이배티 2022.06.19 658
120193 프레임드 #99 [4] Lunagazer 2022.06.18 270
120192 탑건 매버릭을 보고.. [8] 라인하르트012 2022.06.18 1209
120191 짜파게티 끓일때 마지막 물 몇숟가락남기는거 어떻게 맞추죠 [14] 채찬 2022.06.18 736
120190 언어 습관의 고질병 [3] 가끔영화 2022.06.18 462
120189 영끌해서 집 사는 게 좋다던 인식이 1년도 안지난 것 같은데 [1] catgotmy 2022.06.18 855
120188 테넷/포그바/선수의 '아이돌'화, 열렬함에 담긴 달고 씁쓸한 이면 [2] daviddain 2022.06.18 471
120187 개한테 이해안되는 점 [2] catgotmy 2022.06.18 527
120186 Jean-Louis Trintignant: 1930-2022 R.I.P. [6] 조성용 2022.06.18 334
120185 [OCN] 테넷 [EBS1]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6] underground 2022.06.17 562
120184 [왓챠바낭] 저예산 소소하게 재밌는 장르 영화들 몇 편 묶음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2.06.17 593
120183 굿바이 돈까스 [8] Sonny 2022.06.17 938
120182 소피의 세계 [2] catgotmy 2022.06.17 420
120181 한동훈은 성역? 누가 '내로남불'을 지적하나 [2] 왜냐하면 2022.06.17 690
120180 프레임드 #98 [19] Lunagazer 2022.06.17 334
120179 [씨네플러스 채널]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 [스크린 채널] 공기인형 [4] underground 2022.06.16 552
120178 헤일로 1화 풀버전 [4] 예상수 2022.06.16 49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