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다른 곳에 먼저 올려서 말투가 이런 것이니 양해 부탁드려요.)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영화 사상 최고 걸작 중의 한 편이자 개인적으로 너무 사랑하는 작품인 칼 드레이어의 <오데트>를 상영해서 추천하고자 한다.(5월 21일 오늘 오후 3시와 5월 25일 저녁 6시에 무료로 상영된다.) 나는 이 글을 읽게 되는 사람들 중에 영화 관계자들이거나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만사를 제치고서라도 이 영화를 꼭 한번 보라고 권하고 싶다. 물론 듀게분들 중에 <오데트>를 이미 본 사람들이 많이 있겠지만 여전히 이 영화를 보지 못한 사람들도 분명히 많이 있다. 올해 개봉작을 포함해서 국내에서 상영되는 영화들 중에 단 한 편만 추천할 수 있다면 나는 <오데트>를 추천하겠다. 이 글은 순전히 영업용이므로 사람들이 혹할 정보를 하나 주자면 <오데트>는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작이고 이번에 4K 디지털 복원판으로 상영된다. 개인적으로 역대 베스트 영화 10편 중에 한 편으로 뽑는 작품이기도 하다. 나는 이 영화를 크리스천들이 많이 봤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어떻게 보면 이 작품은 크리스천들에게 더 의미가 있으며 이 작품이 영화와 신학이 만난 최고의 경지를 보여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오데트>는 나에게 가장 이상적인 영화 중의 한 편이기도 하다. 이창동의 <밀양>이 개봉했을 때처럼 이 영화를 본 크리스천들과 열띤 대화를 꼭 나눠보고 싶다. 적어도 내가 아는 한 <오데트>는 믿음과 기적에 관한 가장 위대한 영화이다.

'오데트'는 덴마크어로 '말씀'이라는 뜻이다. 덴마크의 목사이자 극작가인 카이 뭉크의 동명의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오데트>는 보겐 일가의 신앙의 위기와 극복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주로 실내에서 조용하고 차분하게 진행되며 기법적으로는 롱테이크와 느린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찍혀있는 장면들이 많다. 이 영화의 느린 호흡은 이 영화에 자연스럽게 경건함과 초월성을 부여한다. 이 영화의 영상미는 특히 압권인데 섬세한 조명술로 인해 마치 베르메르의 회화를 방불케하는 아름다운 화면이 만들어진다.

영화 속 한 인물이 '현대 사회에서는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는데 영화는 어느 시점까지 그 말이 진실인 양 이야기를 끌고 나간다. 의심과 회의 속에서 영화 속 대부분의 인물들과 심지어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들조차 기적을 믿지 않게 되는 지점이 되었을 때에서야 비로소 드레이어는 놀랍게도 우리에게 기적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그 기적은 더욱 경이적으로 다가오고 설득력이 있다. <오데트>는 결국 이 기적을 향해 나아가는 작품이다. 순수한 말씀에 대한 '믿음'이 '기적'을 실현시킨다. 그 기적과 마주하기 위해 우리가 영화의 느린 시간들을 견뎌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사 최고의 명장면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오데트>의 기적 장면은 볼 때마다 형언할 수 없는 감동을 준다. 아무런 특수효과도 없이 기적을 담백하게 보여주는데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이 기적이 실제로 믿어진다. 진실로 기적적인 순간이 아닐 수 없다. 영화를 보다가 잠이 들었고 푹 자고 일어나서 <오데트>에서 기적 장면만을 본 관객일지라도 그 장면을 본 것만으로도 이 영화를 본 시간이 결코 아깝지 않을 것이다. 나는 그 기적 장면 때문에라도 이 영화를 꼭 보라고 말하고 싶다. 장 뤽 고다르는 그의 작품인 <영화의 역사(들)>에서 영화사에서 기적을 보여준 감독은 알프레드 히치콕과 칼 드레이어밖에 없다고 했었는데 정말 틀린 말이 아니다.

이제 선택의 시간이다. 아직 <오데트>를 못 보신 분들은 이번 기회에 꼭 보시기를 바란다. 다른 건 몰라도 적어도 이거 한가지는 단언할 수 있다. <오데트>를 보지 않는다면 당신은 스크린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진귀한 순간 중의 하나를 놓치게 되는 것이라고 말이다. 만약 당신이 이 영화를 보게 된다면 영화 사상 가장 놀랍고 숭고한 순간 중의 하나를 마주하며 정말 기적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이런 순간과 마주하기 위해서 우리는 영화를 보는 것은 아닐까? 부디 많은 사람들이 <오데트>의 기적과 대면하시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8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75
126223 90년대 fps catgotmy 2024.05.16 126
126222 프레임드 #797 [4] Lunagazer 2024.05.16 63
126221 (수정) '꿈처럼 영원할 우리의 시절', [로봇 드림]을 영화관에서 두번 보았어요. [8] jeremy 2024.05.16 266
126220 비트코인이 망할 것 같습니다 [25] catgotmy 2024.05.16 979
126219 [넷플] 도쿄 MER 7화 보다 접으면서.. [6] 가라 2024.05.16 242
126218 [넷플릭스바낭] 나름 신작 & 화제작 & 흥행작이네요. '프레디의 피자가게'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4.05.16 362
126217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 아담 드라이버 - 메갈로폴리스 티저 예고편 [5] 상수 2024.05.15 308
126216 삼식이 삼촌을 5화까지 다 봤는데 <유스포> [3] 라인하르트012 2024.05.15 610
126215 프레임드 #796 [4] Lunagazer 2024.05.15 66
126214 술과 모임, 허세 catgotmy 2024.05.15 168
126213 몬스터버스에서의 인간의 기술력 [3] 돌도끼 2024.05.15 208
126212 [왓챠바낭] 짧게 쓰기 도전! J-스릴러의 전형, '유리고코로'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4.05.15 225
126211 프레임드 #795 [2] Lunagazer 2024.05.14 53
126210 그린데이 Dookie(1994) catgotmy 2024.05.14 112
126209 에스파 선공개곡 Supernova 뮤직비디오 상수 2024.05.14 170
126208 매콤이라 쓰고 핫이라고 해야한다, 신기루를 인터넷에 구현하려는 노력들(오픈 AI), 상수 2024.05.14 180
126207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5] 조성용 2024.05.14 526
126206 <혹성탈출:새로운 시대> 줄거리 요약 짤 (스포) 스누피커피 2024.05.14 317
126205 (정보) CGV아트하우스 [에릭 로메르 감독전]을 하네요 [4] jeremy 2024.05.13 241
126204 [넷플릭스바낭] 태국산 월세 호러... 인 줄 알았던 '집을 빌려 드립니다'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4.05.13 44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