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영화평론가의 SNS에서...

2019.06.22 18:58

어디로갈까 조회 수:2398

1. ... <기생충>에 관한 짧은 감상을 읽어봤습니다. (막내의 권유/고자질로. - -)
열몇 줄 정도의 분량으로 보나, 시니컬한 분위기로 보나, 그저그런 배설 용 낙서였어요. 아무튼 그 짧은 글에서 제 눈길을 잡은 건 이 문장이었습니다.
"진실을 밝히자면 대개의 영화평론가들은 구라라는 재능 외엔 별 재능이 없는 감독이나 시나리오 작가 지망자 출신들이다."
글쎄, 과연 그럴까요?  창작의 재능이 그렇듯 비평도 천분을 타고난 사람들이 하는 것입니다. 물론 천분이라는 말로 그 작업에 대한 설명의 시작과 끝이 이루어질 순 없는 거겠지만, 어느 분야든 평론가가 재능이 부족한 그쪽 예술 지망자 출신들일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창작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잘 아는 것에 대해서는 비평가보다 낫지만, 자기가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비평가가 아닌 일반 감상자 보다도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비평이란 정신의 균형을 갖추고 있거나, 적어도 균형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감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하는 작업이죠. 그들은 모든 것의 바깥에 있는 사람입니다. 비교하여 평하자면 바깥에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런 의문이 들기는 합니다. '밖'에만 있는 사람이 '안'을 어떻게 잘 알 수 있는 것인가?
그러니까 평론가란, 사는 듯도 하고 살지 않는 듯도 하고, 살면서도 살지 않는 그런 사람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음?)

제 눈에 좋은 평론가의 움직임은 어딘가 건축적으로 보입니다. 그의 비평- 정신에서는 언제나 여러 개의 공간이 보이고, 그 공간들 안에서의 이동이 보입니다. 날카롭고 매서운 검수가 집을 무너뜨린다든지, 돌연 새로운 장을 만든다든지 하지 않고, 비평의 대상을 놓여질 자리에 합당하게 가져다 놓으며 총체적인 공간을 만든다는 느낌이 들어요.

덧: 저는 아직 <기생충>을 안 봤습니다. 언젠가부터 대부분의 영화를 온갖 평들을 다 섭렵한 뒤 (스포일러 따위 제겐 함정 아님.) 끝물에 느긋하게 보곤 합니다. 이상한 취향이죠? 시간 내기 어렵/귀찮은 게 가장 큰 이유인데, 이런 감상법의 장점이라면 남들이 못 본 1mm를 기어코 발견하게 된다는 것. - -

2. 그의 SNS에서 몇 페이지를 거슬러 내려갔더니, 문제작을 모방한 혐의가 있는 영화에 관한 언급들이 있더군요.
그걸 읽노라니, '탁월한 모작만이 원작의 열악함을 드러낸다'고 한 라 로슈푸코의 말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패러디에 대한 해석으로 생각해도 좋을 말이죠.
누군가 '나(의 작품)'를 모방했다 치죠. 그 모방된 결과물의 인상이 '나'에게 혐오감을 갖게 했다면, 결국 모방의 대상이었던 '나'는 혐오할 만한 작품을 만든 것이지 않을까요?  이 추론은 '누군가' 보다는 '나'에게 문제가 있음을 깨닫는 과정이므로 '누군가'에 피해를 주는 악덕은 없습니다. 그저 가없는 부끄러움이 '나'의 몫으로 주어질 뿐.

2-1. <그럴싸한>모방과 <그럴듯한>모방이 있습니다. 제 개인적 용법으로는 <그럴싸한 모방>은 사기성이 있는 겉꾸밈이고, <그럴듯한 모방>은 개연성이 성립됨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나의 '그럴싸함'은 누군가의 모방에 의해 폭로되고, 나의 '그럴듯함'은 누가 모방해도 걸림이 없어요. 

2-2. 모방이란, 어떤 정황 속에서 이루어진 A라는 양식의 행위를 다른 정황으로 옮겨놓는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정황 혹은 맥락이 달라졌을 뿐이라면, 모방은 A라는 행위를 다른 빛으로 조명한 것에 불과한 거죠. 따라서 조명을 달리 했을 때 A라는 행위의 열악함이 드러났다면, A는 모방에 의해 최악의 비평을 받은 셈이 됩니다. 그러나 그 열악함은 모방되기 이전의 A 속에 이미 있었던 것이라고 생각해요.

비평 또한 '다른 빛 아래에서 모방하기'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만이 비평의 유일한 통로는 아닌데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75
109315 단편 애니메이션 하나 - Kiwi! [8] DJUNA 2011.01.09 2174
109314 댓글에 이미지 다는것 어떻게 하면 되나요? [7] amenic 2011.01.09 1659
109313 세계지도 파는 곳 없나요? [4] 핑퐁 2011.01.09 4112
109312 Nina Simone - Just Like Tom Thumb's Blues [2] 찔레꽃 2011.01.09 1419
109311 네이버 웹툰 [신과 함께] 이승편 내일부터 시작하네요. [5] 여름문 2011.01.09 2939
109310 시크릿가든 불판 깝니다 [130] zaru 2011.01.09 5255
109309 잡담 [4] 세상에서가장못생긴아이 2011.01.09 1412
109308 MUSE - New Born [1] dimer 2011.01.09 1245
109307 [벼룩] 소셜 커머스 사이트 쿠폰 판매(선릉. 논현) [2] 가라 2011.01.09 1732
109306 명대사의 괴력 ⑩ 옥희의 영화/ 주문을 외울날中에서 진구의 독설 [2] 무비스타 2011.01.09 2724
109305 [시국좌담회] 잘 끝났습니다. [4] nishi 2011.01.09 1399
109304 홍수에서 구출된 아기 박쥐들 [16] DJUNA 2011.01.09 4535
109303 외국인의 눈으로 봤을 때, 한국 느낌&냄새 나는 우리나라 영화 뭐가 있을까요? [32] 와그작 2011.01.09 3933
109302 kbs 외화 '대지의 기둥' 같이 보실래요? [10] 어린물고기 2011.01.10 1891
109301 어딘가에 외치고 싶어요 [1] 노루잠 2011.01.10 1629
109300 등업고시 통과 + 출근하기 싫어요 [12] 무염아몬드 2011.01.10 1851
109299 (바낭) 스파게티면이라는게 이렇게 오래 삶아야 하는 물건이였군요 & 유자차와 어른이 입맛 [16] hwih 2011.01.10 3613
109298 오리고기로 김치찌개 가능할까요? [8] zzz 2011.01.10 3623
109297 트윗픽 링크 테스트 (부제: 다음회 예고) [5] 01410 2011.01.10 1164
109296 근데 실제로 기억상실증이 [5] 선케 2011.01.10 298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