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간격으로 두 편을 감상했습니다.




_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1. 런닝타임에 비해서 지루하지 않았어요. 타란티노 영화를 좋아하긴 하지만, 종종 지루한 부분이 있거든요. 간혹 늘어지는 부분은 60년대 디테일 감상하느라 즐거웠어요.


2. 타란티노 개인적인 이야기가 많이 들어 갔던 영화였어요. 일단 영화의 영화라는 점이 그렇고요. 아역 배우와의 대화 역시 그런데, 이건 와인스타인 사건을 겪고나서 만든 부분이 확실한 것 같더군요. 디카프리오가 아이를 대하는 방식 같은 것도 포함해서 모든 디테일이. 그리고 맨슨 패밀리가 타겟을 바꾸게 되는 이유와 그들의 최후.. 그와 그의 영화가 시달려온 비판에 대한 대답같았어요.


3. 나치는 언제나 좋은 소재지요. 특히 폭력을 정당화하기에는요. 이번엔 맨슨 패밀리가 그렇게 되었네요. 마지막 액션(?)씬을 보면서 '어후 저렇게 잔인하게 묘사할 필요가 있나' 하면서도 '그래 쟤넨 저래도 싸지'라고 생각하게 되요. 하지만 유독 과해 보인 것은 개인적인 감정이 더해져서 그런걸까요.


4. 찰스 맨슨을 연기한 데이먼 헤리먼이라는 배우는 잠깐 출현했지만, 마인드 헌터의 배경까지 모두 가져와 버렸네요. 같은 배우 기용의 순기능...인가요. 반복학습의 중요성인가요...


4. 엔딩이 너무 감상적이라 놀랐어요. 타란티노 영화 중엔 느껴본 적 없던 감정이었고요. 이상한 기분이었어요. 영화 보내는 내내 샤론이 어떻게 될지 너무 걱정됐거든요. 정말 이상한 기분이었고, 멍해졌어요.




_

조커


1. 기대를 많이 했던 탓일까요. 좀 지루했어요. 특히 초반 시퀀스들은 예고에서 다 봤던 장면들이라 더욱 그랬을지도 모르겠네요. 심지어 저는 출발 비디오 여행까지 봤거든요.


2. 하지만 본 적 없는 장면들에서도 역시 지루했어요. 그 무거운 묘사 때문에 그랬을 거에요. 꽤 다큐멘터리 같기도 하거든요. 하지만 그것도 뭐 괜찮아요. 그렇지만 "나 지금 굉장히 힘들고 고독해." 라고 연출이 거창하게 반복되면 좀 힘들어요. 이런 기분이 반복 되거든요. '응, 힘든건 알겠어. 근데 좀 적당히 안될까...?'


3. 후반부에 들어서면 정신병에 대한 비밀이 밝혀지는데요. 별로 놀랍진 않았어요. 그걸 예상해서 그런건 아니에요. '아 뭐 또 이런 설정..?(웃음)' 그냥 좀... 전형적이어서 맥이 빠졌어요. 이 설정이 긍정적인 부분이 하나 있다면, 여자친구와 어머니 캐릭터가 어쩌면 그렇게도 부자연스러웠는지가 해결시켜 준다는 점이었네요.


4. 첫살인 이후였나 주인공이 집에서 태극권(?)을 할 때 '이게 무슨 연출이지?' 싶어 몰입이 깨졌는데, 엔딩에 차위에 올라가서 군중들을 바라보는 씬도 생각보다 소박하고, 전형적이라 기분이 한번 더 반복됐네요. 사실, 기억이 안나서 그렇지 몇번 더 있었을 것도 같아요. 


5. 기대했던 작품을 감상하게 되면, 분석적이 되버려요. 왠지 팔짱을 끼게 된다고 할까요? 물론, '아 정말 항복했다'싶은 작품들도 많지만, 이 작품은 그렇지 않았어요. "영화가 구렸냐?" 하면 그것도 아니고, "호아킨 연기 좋았냐?"라고 물어보면 그렇다고 대답할건데. 막 무슨 상을 타고, 어떤 수식을 붙인다고 하면, 글쎄요... 하지만 정치적으로 생각해봐야 할 부분도 있고요. 영화적 매력을 느끼는 모호한 지점들도 있어요. 심지어, 이야기를 흘려 듣지 말 것. 수단으로 삼지말 것-이라는 교훈까지 얻게됩니다.





_

결론 = 원스 > 조커

이상 타란티노맘이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68
110113 [넷플릭스바낭] 액션 스타 리암 니슨의 역작 '런 올 나이트'를 봤어요 [5] 로이배티 2019.10.17 602
110112 우린 장필우의 생존이 아니라 미래차의 생존을 지키는 거야, 우리의 생존을 위해 타락씨 2019.10.17 372
110111 오늘의 마돈나 (스압) [1] 파워오브스누피커피 2019.10.17 317
110110 [바낭] 생강청과 사우어크라우트_요리 뻘글 [10] 칼리토 2019.10.17 549
110109 [바낭] 좀 더 보람찬 잉여 생활을 위해 리어 스피커를 구입했어요 [12] 로이배티 2019.10.16 841
110108 <조커>, 인셀 [20] Sonny 2019.10.16 1763
110107 PC한 척 했던 유시민의 민낯 [5] 휴먼명조 2019.10.16 1397
110106 진단예정증명서 [18] 휴먼명조 2019.10.16 1002
110105 요즘엔 폴 해기스의 <크래쉬>가 생각나요. [2] chu-um 2019.10.16 396
110104 조커가 '인셀'을 자극한다고요?(조커 스포일러 대량 주의) [35] 메피스토 2019.10.16 1653
110103 바낭) 여행+불안감 [5] 그냥저냥 2019.10.16 521
110102 [바낭] 건강 검진 뻘글 [21] 칼리토 2019.10.16 859
110101 이런저런 일기...(젊음과 노력, 쇼핑번개) [1] 안유미 2019.10.16 433
110100 조커 보다가 새로운 경험을 했습니다. [50] McGuffin 2019.10.16 2204
110099 요요현상, 옷을 새로 살 것인가 고민 중 [17] 산호초2010 2019.10.16 785
110098 오늘의 80년대 일본 스크린 잡지 부록-남배우 헤어 카탈로그(스압) [4] 파워오브스누피커피 2019.10.16 476
110097 [바낭] 본격 배달의 민족 잡담 [21] 로이배티 2019.10.16 1245
110096 이해할 수 없는 일들 9 (판단과 평가) [7] 어디로갈까 2019.10.16 821
110095 BIFF 영화 후기- 시너님스, 도이치 이야기 [4] 보들이 2019.10.16 540
110094 조작방송 kbs의 “윤석X 배신” [1] ssoboo 2019.10.16 89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