얍얍 트랩카드 발동!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0081866748048

선거법 개혁안과 사법 개혁안 패키지를 패스트트랙에 올릴 당시, 여-야 4당의 합의에는 선거법 개혁안을 우선 표결하고 그 뒤에 사법 개혁안을 표결에 올린다는 안전장치가 내장돼 있었죠.

야당 연합이 제시한 선거법 개혁안을 당내 반발을 이유로 후퇴시킨 바 있는 민주당에 합의 이행을 강제할 유일한 족쇄라 할 내용인데..

민주당이 내놓은 '새로운 계산법'에 의하면, 사법 개혁안이 약 한달 먼저 본회의에 부의될 수 있고 이렇게 될 경우 표결에 들어가는 것도 최대 3개월 까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여-야 4당간의 합의를 '사법 개혁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는 명분으로 파기할 수도 있다는 의미. (설마.. 그걸 누가 믿지?;;;;;)

괴뢰 정당에 가까운 정의당의 최근 행태를 보며 제가 우려하던 사태는, 정의당이 사법 개혁을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선거법 개혁안 가결에 쓸 수 있는 유일한 레버리지를 상실하는 것이었죠.
민주당이 합의된 표결 순서를 지킨다 해도 민주당의 표결에 대한 보복/통제 수단을 갖지 못한다면, 선거법 개혁안의 가결은 완전히 민주당의 선의에 의존해야 함을 의미하는데.. 민주당은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합의? 그런게 있었나?'를 시전하고도 남을 놈들이라는 걸 드러내고 있다 할 수 있을 듯.

'민주당의 선의'라니.. 차라리 조국의 진정성을 믿겠습니다.;;;

조국 사태를 둘러싸고 민주당의 사법 개혁안에 비판적 거리를 두고 있는 타 야당들과 달리, 아직 민주당이 주장하는 사법 개혁을 열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정의당이 이같은 사태들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긴 어렵군요.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10092018001&code=940301

...
유 이사장이 ‘증거를 인멸한 건 아니지 않냐’고 묻자 김 차장은 “제가 (증거인멸을) 인정을 했다. (검찰에) 그대로 제출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도 그 행위 자체로 증거인멸이라고 인정을 하는 게 맞다”고 했다. 유 이사장은 ‘그거는 증거인멸이라고 생각을 안 했다 이렇게 (검찰에 말)하는 게 맞지’라고 했지만 김 차장은 “그게 안되더라고요”라고 답했다. 이는 공개된 ‘알릴레오’에선 편집된 내용이다.

김 차장은 “(조 장관 5촌 조카인) 조모씨가 사기꾼” “조 장관은 전혀 모르는 일” “정 교수도 잘 모르고 한 일”이라는 말도 했다.

검찰은 인터뷰 공개 직후 “증거인멸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피의자의 자기방어를 위한 일방적인 주장이 특정한 시각에서 편집 후 방송돼 매우 유감”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김 차장은 전날 유 이사장과의 인터뷰가 공개된 후 검찰에 “인터뷰한 것을 후회한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
경향 외 언론들이 녹취록을 입수했군요. 출처는 김pb의 변호인일 것으로 추정되고 기사로 짐작컨대 내용은 별게 없는 듯.

하루도 못 갈 거짓말을 늘어놓는 우리 유시민 노무현 재단 이사장님, 독일에서 유학하신 분이라 그런지 괴벨스적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계시네요.
내일은 또 어떤 기상천외한 궤변을 들고 오실지 기대됩니다.

무너져버린 그분들의 논리 만큼이나 제가 흥미롭게 지켜보고 있는건, 한때 민주당 f4 따위로 칭하며 얼굴 뜯어먹던 분들도 더 이상은 힘들지 않겠나 싶을만큼 그분들 얼굴도 무너져내렸다는 점입니다.

닝겐이 마흔을 넘기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더니.. '요새는 그거 다 관리의 힘 아닐까?'라는 견지에서 저 금언을 비웃는 편이었는데, 의외로 시대를 초월한 진리의 말씀일지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7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65
1660 딱 7분만 빌려주세요 [18] 칼리토 2022.05.20 758
1659 동네 정치의 빛과 어둠, 그속의 나 [3] 칼리토 2022.04.28 386
1658 [트레이서].이거 재미 있네요 soboo 2022.01.08 508
1657 돌아가신 외할머니와 어머니를 동시에 떠오르게 한 <미나리>의 윤여정 배우님의 오스카 수상을 기원하며 쓴 사적인 글 [4] crumley 2021.04.25 702
1656 세계영화사에 남는 위대한 촬영감독인 주세페 로투노를 추모하며 [1] crumley 2021.03.08 345
1655 <소울>을 보고 예전에 여기에 올렸던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글을 떠올리면서 받은 특별한 감동에 대해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요. [10] crumley 2021.02.17 879
1654 최고의 ‘밀당’ 영화로서의 <위플래쉬>에 관한 단상 [3] crumley 2020.11.22 560
1653 아르헨티나의 거장, 페르난도 솔라나스 감독님에 관한 개인적인 추모글 [1] crumley 2020.11.20 327
1652 뒤늦게 올리는 엔니오 모리꼬네에 관한 개인적인 추모글 [9] crumley 2020.07.24 566
1651 에드워드 양의 칸영화제 감독상 수상작이자 걸작 <하나 그리고 둘> 초강추합니다! (오늘까지 온라인 무료 상영) [8] crumley 2020.06.29 960
1650 어제 세 편의 영화를 보고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신기한 감정 상태에 대해서 [6] crumley 2020.05.13 865
1649 존 카사베츠의 걸작 <오프닝 나이트> 초강추! (서울아트시네마 토요일 마지막 상영) [1] crumley 2020.05.08 511
1648 서울엔 비가 오는 군요 [4] 타락씨 2020.03.10 505
1647 [영화] 애나벨라 시오라, 애슐리 져드, 살마 하이엑, 로즈 맥고완, 대릴 해나, 하비 와인스타인 [10] tomof 2020.03.03 874
1646 블러드샷, 모비우스 예고편, 애로우버스의 특급까메오 [2] 나보코프 2020.01.15 389
1645 오스카 후보 지명 상황에서 의미심장하게 들리는 <기생충>의 대사와 수석의 정체 + 개인적인 소회 [4] crumley 2020.01.15 1041
1644 [바낭] 오늘의 어처구니 - 일루미나티의 재림 [4] 로이배티 2019.11.04 977
1643 *경* 탕탕절 40주년 *축* (냉무) [3] 타락씨 2019.10.26 778
» 패스트트랙 시간표, 유사언론인 유시민, 결국 얼굴이 중요하다 [13] 타락씨 2019.10.09 1633
1641 국정감사를 빛낸 민주당의 살아있는 양심 [3] 타락씨 2019.10.07 112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