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수업 중인 후배가 읽어보고 쓴소리 해달라며 보내준 단편소설 초고를 이틀에 걸쳐 읽었습니다. 
유난히 환멸이란 단어가 자주 등장하더군요.  자연스럽게 든 의문은 환멸幻滅이 절망이 될 정도로, 혹은 자유로움이 될 정도로, 그는 과연 순수한 환幻을 지녀 보았던 것일까? 하는 것이었어요. 환이든 혹은 그 멸滅이든, 그의 글에 있는 건 수사학 정도가 아닐까? 싶은 이 느낌을 솔직하게 말해줘야 할지, 말아야 할지 결정하기 어렵네요. - -

- 환과 멸은 진眞을 가정하는 개념입니다. 기실 모든 수사학이 그런 것이죠. 저의 경우에는, 작가가 자신의 수사학의 자의식이 유일무이한 것은 아니며  '이를테면' 이라는 포즈에 불과하다는 걸 알고 있을 때는  자연스럽게 수용됩니다. 그것이 수사학적 자의식이 지닌 강점이라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수사학의 약점은? 진의 존재 여부의 문제를 진에 대한 인식가능 여부의 문제와 동일시하는 게 도드라져 보일 때라고 할까요. 

- '환멸이 절망스럽거나 혹은 자유로움일 만큼 과연 그는 어느 한시절 순수한 환幻을 지녀 봤을까?'라는 저의 의문도 사실 수사학의 입장에서는 큰 의미가 없는 것이죠.  수사학 내부에서의 이동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 수사학은 수사학의 '밖'을 의식하지 않는 한 잡담에 불과합니다. 자신이 레토릭에 불과함에 절망하는 레토릭만이 레토릭으로서 진실해요. 그 절망의 표정은 아마도 침묵을 닮아있을 거고요. 바꾸어 말하면, 침묵조차 아직은 수사에 불과한 것입니다. 

-  '어떤 생각을 하는가'로 '나'는 다른 사람과 변별되며 작가로서의 퍼스낼리티를 갖게 됩니다. 그런데 '생각'이란 것이 그 자체로 존재의미가 있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 드는군요. 삶의 역력한 형식으로 확연히 드러나지는 않지만 상념만으로는 독자적인, 그런 삶이란 것이 존재할 수 있을까? 하는 회의가 드는 거예요.
만약 보이는 차이가 그대로 존재의 차이, 삶의 차이가 된다면 그건 대단히 쓸쓸한 일입니다. 그건 그야말로 '1차원적 세계'에 머무는 인식이 아닐까요. 다른 차원이 배제된 삶을 산다는 건, 생각만으로도 지루합니다. 지루함을 넘어 두렵습니다.

2.  그에게 감상을 몇마디 전하려니,  아도르노의 성찰이 문득 떠올랐기에  <미니마 모랄리아(한줌의 도덕)>를 뒤적거려봤습니다.
이 책에는 글쓰기에 대한 아도르노의 생각이 산재해 있습니다.  특히 '아포리즘 51'에서 그는 글 속에 살림을 차리는 작가에 대해 말하고 있어요. 이 단상의 맥락은 글쓰기의 다양한 방법에 대한 성찰이지만, 글을 어떻게 쓰는 게 좋은가 따위의 습작 강의를 하는 건 아니에요.  사실 아도르노의 말은 일반화되기에는 너무나 특수하죠.

"작가는 텍스트 속에 살림을 차린다. 종이, 책, 연필, 서류를 방마다 끌고 다니면 무질서가 생겨나듯이 작가는 사유 속에서 그렇게 행동한다. 
그에게는 사유가 가구여서,  안주하는 동안 마음이 편해지기도, 불편해지기도 한다. 그는 사유를 가구처럼 부드럽게 쓸어보기도 하고, 닳을 때까지 쓰기도 하며, 난잡하게 늘어놓기도 하고,  위치를 바꾸어 보기도 하고, 망가뜨리기도 한다."

고향이 없어진 사람에게 글쓰기는 '집'을 짓고 들어가 사는 것과 같은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글을 쓰면서 그는 -옛집에서 그랬듯- 어쩔 수 없이 쓰레기와 잡동사니를 생산해내죠.  그러나 창고가 없기 때문에, 그는 쓰레기를 앞으로 밀쳐두곤 하므로써 결국 주위는 쓰레기로 가득차게 됩니다. 반복, 반복.

- 제가 '아포리즘 51'에서 찾아낸 도토리 같은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중심 모티프가 분명하게 강조되어 있는지 텍스트를 꿰뚫어보라. 글의 '진행'에 사로잡혀, 말하고 싶었던 것을 잊어버리기 쉽다.
2. 사소한 개선이란 없다. 개별적으론 어리석고 고루하게 보이지만, 작은 변화들이 모여서 텍스트의 새로운 수준이 형성된다.
3. 길이가 관건이 아니다. 삭제하는 일에 인색치 말라. 사유의 절제가 충만하고 힘있는 구성에 도움이 된다.

4. 동의어들의 결합은 추악하며 그 사유는 허위로 오해되기 쉽다. (예: '완전히 그리고 아주', '번영과 파멸' '확장하고 깊이 있게')
5. 저속한 사유를 화려한 문체로 장식하는 행위를 삼가라. 무성한 숲이 결코 신성한 숲은 아니다.
6. 어떤 작은 의심도 진지하게 받아들여라. 그것이 전체의 객관적인 무가치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7. 변증법은 극단적인 논리적 결과를 통해 사유를 전환시킨다.
8. 표현 자체의 아름다움은 장식적이고 인위적이며 추악하다. 자신이 생각한 바를 잘 말하는 것이 바로 아름다운 것이다.
9. 고귀하게 작성되는 텍스트는 방직물처럼 촘촘하고, 집중적이며, 명백하고, 견고하다. 그런 텍스트는 하나의 사유가 던지는 불빛을 받아 다른 사유가 빛나기 시작한다.

10. 작가는 텍스트 속에 방을 꾸민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11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4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99
110625 서울 불바다에는 평양 불바다로 맞불을 놔야 [10] amenic 2010.12.23 2560
110624 [기사펌]하루 300원 식비를 청소용역아주머니들께 지급하는 홍대.. [2] 라인하르트백작 2010.12.23 2605
110623 학교 교사들이 참 불쌍하네요 ... [17] 여은성 2010.12.23 4991
110622 전기장판 그렇게 전기요금을 많이 잡아먹지 않네요. [9] 스위트블랙 2010.12.23 4316
110621 곰아저씨 보세영(생존왕 최악의 시나리오 : 지진탈출편) [1] 타보 2010.12.23 1631
110620 빅칠(big chill)이라는 영화 아시는분 [5] 무비스타 2010.12.23 2504
110619 밤식빵이 미치도록 먹고 싶어 졌어요ㅜㅜ [4] 토토랑 2010.12.23 2200
110618 뉴욕에 왔습니다 [1] 21세기한량 2010.12.23 1507
110617 ‘12세 소녀 술먹여 성폭행’ 20대 3명 무죄판결… 도대체 이런 - 이라는 기사에 대하여 (아래아래글 관련) [50] DH 2010.12.23 5466
110616 [듀나인] 크리스마스 케이크를 살만 한 곳은? 정보공유해요~ [11] petrolatum 2010.12.23 2955
110615 [듀게인] 타박상이 사라지지 않을때 어느 병원에 가야 할까요 [4] 잠시무명 2010.12.23 2393
110614 유럽 예능프로 다운 받을 수 있는 곳 아시나요? [2] 두더지 2010.12.23 1824
110613 황해 연관 검색어 [7] fan 2010.12.23 3281
110612 파리바게트 가서 밤식빵 사오신분 안계신가요. [6] 달빛처럼 2010.12.23 3573
110611 장편 영화에서 마술 장면을 하나 찍으려고 하는데요. 마술과 관련된 조언을 구하고 싶네요. (덧글 많이 달아주세요) [3] crumley 2010.12.23 1249
110610 '황해' 제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해요.(스포有) [7] 자본주의의돼지 2010.12.23 3184
110609 부러웠던(?) 사람 [6] Ruthy 2010.12.23 2095
110608 황해를 보면서.. 코엔 형제의 영화가 떠오른 건 저 뿐인지? (스포 유) [1] espiritu 2010.12.23 1965
110607 밤은 정말 거의 우리나라에서 소비하나요? [25] 안녕핫세요 2010.12.23 4372
110606 왜 어르신들은 냉장고에 넣은 음식들에 철벽같은 믿음을 가지고 계시는건지. [10] 스위트블랙 2010.12.23 24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