伯父任葬禮式參觀記

2019.12.04 02:13

지나가다가 조회 수:522

인천공항에 도착했을 때엔 아침시간이었으나 바로 서울역으로 향하여 부산행 KTX를 탄 후 시외버스로 도착한 통영에서 다시 택시를 타니 영안실에 도달했을 땐 이미 캄캄한 밤중이다. 백모님과 수미(가명)는 넋이 나가 있는 상태, 뭐라 위로를 드릴 말도 없고 덕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80 중반이 넘으셨으니 적은 연세라고는 할 수 없지만 지금의 상황이 호상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평소 심장이 안 좋으셨다. 고혈압에 심근경색을 달고 사셨던 분이라 의사는 항상 심한 운동을 피하라고 했단다. 그런데 몇 달 전부터 매일 동네를 몇바퀴씩 전력질주를 하고 아파트 아래에서 옥상까지 계단으로 뛰어서 다니셨다. 말리는 가족들에게는 땀을 뻘뻘 흘리면서 운동을 해야 몸이 가벼워진다며 웃어넘기고... 아무도 드러내어 말하지는 않지만 친척들은 모두 일종의 간접적인 자살로 간주하는 분위기다.


자살이라... 이유가 있을까?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일반인이 전혀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하는 상황에서도 자살을 한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일이다. 이건희 막내딸이 인생이 힘들어서 자살을 했겠는가? 양신규 교수는 세상에 불만이 그렇게 많았을까? 하지만... 백부님의 경우 자살할 이유를 대라면 바로 말할 수 있다.


이 분은 평생을 거제에 위치한 작은 회사에서 보내셨다. 돌아가실 때의 직책은 부사장... 하지만 이게 본인이 원하는 인생이었을까? 내가 아는 것은 그가 20대의 나이에 마산시 시의원으로 당선이 되었다는 것, 그리고 당선된 지 한 달이 안되어 박정희의 쿠데타가 일어나고 바로 구속이 되었다는 것 뿐이다. 그때 어떤 정당으로 나왔는지, 그리고 그때나 이후나 이분의 정치관이 무엇인지에 대해 나는 전혀 아는 바가 없다. 평생 정치에 대해선 단 한 마디도 입에 담지 않으셨으니까...


이 분은 어렸을 때 나를 꽤 귀여워 하신 편이었다. 대학에 들어간 이후엔 오히려 관계가 뜸해졌지만... 내가 기억할 때의 모습은 이미 연세가 드신 데다가 과한 약주 탓으로 좀 일찍 노안이 되신 편이었다. 그러나 젊었을 때의 사진을 보면 누구나 깜짝 놀랄만한 미남의 모습이다. 만일 박정희의 쿠데타가 없었다면... 혹시 이분이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 그게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 완전히 펼칠 수 있었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지는 누구도 알 수 없는 일이다. 물론 지금 내가 이걸 가지고 박정희 욕을 하려는 건 아니다. 누구나 그 나름대로의 사정이 있겠지. 하지만 한 가지는 확실하다. 박정희로부터 피해를 받은 사람들이 호남인들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장례 방법에 있어 친척들 간에 약간의 논란이 있었다. 이분은 예전부터 사후에 반드시 화장을 해서 가루를 바다에 날려버리라고 약속을 받아놓았는데 조상들로부터 내려온 선산 묘소에 이분 자리도 이미 마련되어 있고 비석까지 이미 만들어져 있었기 때문에 이를 없애버릴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화장은 하되 일부는 바다에 뿌리고 나머지를 선산에 묻는 것으로 절충이 되었다. 사촌이야 나이가 젊으니 견디겠지만 연로하신 백모가 걱정이 되었는데 발인이 끝난 후엔 어느 정도 안정이 된 모습이라 조금 마음이 놓였다.


내려갈 땐 무거운 마음이었으나 올라올 때의 마음은 담담하다. "한 세대는 가고 한 세대는 또 오되 땅은 영원히 그곳에 있도다" (전도서 1: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86
110875 박근혜 새마을 운동 한다고 하네요 [8] 가끔영화 2013.10.20 3860
110874 탈퇴합니다. 익명임 2013.03.18 3860
110873 코스프레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대답 [39] 패니 2013.02.20 3860
110872 베를린에서의 전지현 [9] 수퍼소닉 2013.02.03 3860
110871 자신감 0% [25] bete 2013.01.26 3860
110870 여기서 이야기하는 우리 드라마는 무엇일까요 [12] loving_rabbit 2012.05.13 3860
110869 한국 대 브라질. 후반전 불판. [81] 큰고양이 2012.08.08 3860
110868 박원순의 진가가 드러나기 시작하는군요. [4] soboo 2011.09.16 3860
110867 7/31 나는 가수다 후기 - 황홀했습니다. (순위 언급 있음) [8] 프레데릭 2011.08.01 3860
110866 헤밍웨이의 6단어로 슬프게 하기는 [9] 가끔영화 2013.02.20 3860
110865 [팝 아이돌 열전] 제시 맥카트니 [4] 아리마 2010.09.24 3860
110864 연가시 평이 안좋군요, 김명민은 영화쪽에서... [7] N.D. 2012.07.04 3860
110863 신혼집 구하는 문제 [16] 하하하 2016.09.24 3859
110862 한국 요식업계의 대표적인 문제점 - 식기류 사용의 비적절 및 비위생성 [22] 프레데릭 2016.03.16 3859
110861 부산대 효원굿플러스 결국... [16] 어릿고양이 2013.03.13 3859
110860 여태까지 크롬 안 쓰고 뭐한건지.... [13] 코드 2012.05.16 3859
110859 [성경] '성소의 휘장이 찢어짐' 이게 좀 대단한 것 같네요. [16] 눈의여왕남친 2012.05.03 3859
110858 제주입니다. [28] gloo 2012.04.26 3859
110857 '운지'라는 말 [9] 메피스토 2012.06.20 3859
110856 눈 큰 배우 다섯명만 꼽아보아요 [18] 가끔영화 2011.12.09 385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