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링크와 전문입니다.


사람들의 생각은 다양합니다


https://news.v.daum.net/v/20191204073601199?d=y


 



조사 결과,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정당으로 한국당을 지목한 응답이 절반을 넘은 53.5%을 기록해, 민주당을 지목한 응답 35.1%보다 18.4%p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4.4%p)를 크게 벗어난 수치다. (그 외 바른미래당 4.2%, 정의당 1.5%, 기타정당 1.5%, 모름/무응답 4.2%)

이 결과는 무더기 필리버스터 신청에 대해 "불법인 패스트트랙을 막으려 필리버스터를 신청했으며, 이는 합법적 저항"이라는 한국당의 논리에 국민들은 크게 공감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지난달 29일 어렵게 법사위를 통과하며 본회의 통과가 유력했던 민식이법(도로교통법 일부 개정안 등)이 사실상 필리버스터 신청에 막히면서 역풍이 불고 있음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민주당은 "(한국당이) 여야가 합의한 민생법안까지 모두 막았다"며 "민생을 볼모로 국회를 사실상 식물화시켰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60대·보수층 제외하고 거의 모든 계층에서 한국당 책임론 다수

조사 결과를 세부적으로 보면 60대 이상(한국당 38.3% vs 민주당 46.5%)과 보수층(20.9% vs 61.0%), 한국당 지지층(5.7% vs 79.8%)을 제외한 거의 모든 계층에서 한국당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한국당 62.3% vs 민주당 28.8%)과 대전·세종·충청(53.6% vs 35.5%), 서울(52.4% vs 40.7%), 부산·울산·경남(50.0% vs 38.5%), 광주·전라(43.7% vs 32.9%)에서 한국당 책임론이 우세했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한국당 41.9% - 민주당 37.6%로 한국당 책임론이 살짝 높았지만 오차범위 내였다. 세대별로는 40대(65.9% vs 23.6%)와 30대(62.0% vs 26.8%), 20대(55.0% vs 34.0%), 50대(53.4% vs 39.0%)가 한국당 책임론에 무게를 실었다.

정치성향별로 살펴보면, 민주당 지지층의 94.4%, 정의당 지지층의 91.1%, 이념적 진보층의 76.1%가 이번 국회 마비 사태의 책임 정당으로 한국당을 지목했다. 일방적인 수치다.

주목할 점은 중도층의 민심이다. 이념성향에서 가장 많은 샘플을 차지하는 중도층은 '한국당 책임'이 55.1%로 '민주당 책임' 33.7%와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중도층의 수치는 전체 여론조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기도 하다.

"민식이법 불발 역풍"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장성철 '공감과 논쟁' 정책센터 연구소장은 "최근 화제가 된 민식이법 등 어린이 생명안전법안의 국회 통과가 막힌 게 한국당의 필리버스터 신청 때문이라는 여론이 조사결과에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반면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조사에 답한 일반 국민들은, 왜 한국당이 필리버스터 신청까지 하면서 패스트트랙에 반대하는지 근본적인 이유를 몰랐을 수 있다"면서 "표면적 현상만을 보고 한국당 때문에 국회가 마비됐다고 생각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여론이 향후 한국당의 움직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3일 저녁 황교안 대표가 주재한 한국당 최고위원회는 나경원 원내대표의 임기 종료(12월 10일)를 의결했다. 이에 따라 새롭게 선출되는 원내대표가 패스트트랙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패스트트랙 법안(공수처법, 선거법 개혁안)을 처리하기 위해 4+1(민주당,바른미래당, 정의당, 민주평화당+대안신당) 공조를 통해 세부 합의를 진행하며 한국당을 압박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무선 전화 면접(10%)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ARS) 혼용 방식으로 진행했다. 전국 19세 이상 성인 9349명에게 접촉해 최종 501명이 응답을 완료해 응답률은 5.4%다. 조사 대상은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 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식으로 선정했고, 통계보정은 2019년 7월 말 행정안전부 국가인구통계에 따른 성·연령·권역별 사후가중치 부여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자세한 조사 결과는 오른쪽 '자료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8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5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12
110797 [넷플릭스] 겜알못이 위쳐 2화까지 본 소감 [2] 노리 2019.12.22 639
110796 이런저런 일기...(연애와 피자) [1] 안유미 2019.12.22 461
110795 스타워즈 - 공허의 제국 [10] googs 2019.12.22 653
110794 연애할 때 참고하시라고 [2] 가끔영화 2019.12.22 551
110793 4K로 리마스터링된 Wham!의 Last Christmas !! [7] 정우 2019.12.22 500
110792 이런저런 기사 이야기 [3] 메피스토 2019.12.22 464
110791 (바낭 화력지원) 무삭제 영화 감상하기엔 넷플릭스, 와챠가 좋을까요? [12] 귀장 2019.12.21 1575
110790 요즘 남초 커뮤니티에서 가장 꼴 보기 싫은 짓. [17] 귀장 2019.12.21 1932
110789 영화 "툴리"(스포!!!!) [10] 산호초2010 2019.12.21 742
110788 [바낭동참] 스톰트루퍼 이야기 [3] skelington 2019.12.21 414
110787 (노스포)넷플릭스의 위쳐 보고있습니다 [5] 정우 2019.12.21 717
110786 [바낭] 스타워즈 시리즈를 볼 때마다 느끼는 아쉬움 하나. [8] 로이배티 2019.12.21 658
110785 선배의 하소연에 답하며, 잠시 안녕 [9] 어디로갈까 2019.12.21 1060
110784 스포일러] 고양이 건드리지 마라 (Don't F**k with Cats) [2] 겨자 2019.12.21 1127
110783 현대자동차 와이파이 얘기... [24] 메피스토 2019.12.21 1411
110782 니혼진과 "쪽바리" [19] Sonny 2019.12.20 1220
110781 블루스 묻은 음악 7곡 [6] sogno 2019.12.20 404
110780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이야기(과연 진짜 목표는 무엇인가?) [7] 아리아 스타크 2019.12.20 1034
110779 많이 변했어요 듀게에 반정부 성향의 유저가 반은 되는 듯 [5] 가끔영화 2019.12.20 972
110778 패턴화된 게시판 [18] cksnews 2019.12.20 11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