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의 기사를 보니, 사망한 백원우 별동대원 검찰수사관 A씨의 휴대폰을 포렌식 하는 데에 이스라엘의 셀레브라이트 사의 포렌식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네요.

http://www.donga.com/news/Main/article/all/20191204/98649482/1


예전에도 아이폰을 푸는 데에 이스라엘의 보안업체들이 가장 앞서 있다는 말들은 있었지요.

2016년에는 FBI가 아이폰을 여는 데에 셀레브라이트 사의 장비를 썼다는 뉴스가 있었지요. (https://www.asiae.co.kr/article/2016032613545307325 )

이 때 기사를 보면, 마치 암호를 바이패스해서 아이폰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기사가 쓰여 있어요.


에드워드 스노든이 미국의 PRISM을 폭로할 때, NSA가 모든 휴대폰을 들여다볼 수 있다고 했었죠.

NSA의 진정한 능력은 아직 공개된 적이 없으니 그 말이 사실일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아직도 FBI나 대한민국 검찰이나 이스라엘의 셀레브라이트사에서 쓸 수 있는 포렌식 장비들은 아이폰 보안 시스템을 바이패스할 수 있는 체계는 아닌 것 같아요.

기사에 나온 게 사실이라면 브루트포스(brute force)를 좀더 빨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도에 불과한 것 같아요.

6자리 암호를 걸어놓았다면 최대 999999번의 시도를 해야 풀 수 있고,

복잡한 암호를 걸어놓았으면 몇번의 시도를 해야 할지 가늠하기 힘들죠.


이번에 새롭게 안 사실은,

너무 많이 시도하면 폰의 데이터가 초기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네요.

저의 경우에도 아이가 폰을 열려고 시도를 많이 하기 때문에,

한 동안 폰을 멀리 떨어뜨려 두고 돌아와보면 여지없이 5분 잠금(혹은 1분 잠금)이 되어 있곤 합니다.

더 시도하면 데이터 초기화 ㅜㅜ


해킹의 기법은 다양하지만, 셀레브라이트 사가 고가에 포렌식 장비를 팔고 있는 작금에도 소셜 해킹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A 수사관의 아이폰 비밀번호는 누군가가 알고 있겠죠.

주변 사람들 아무도 모르게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사람은 많지 않잖아요?

저의 경우에도 제가 돌연사하면 폰에 있는 주요 정보가 가족들한테도 돌아가지 않을까봐 가족과는 비밀번호를 공유합니다.(아이는 아직 아니구요.)

검찰이 아직 폰을 못 풀었다면, A수사관의 경우에는 가족들에게도 비밀번호를 알려주지 않았나 보죠.

검찰이 결국은 아이폰의 비밀번호를 찾아낼 거라고 믿었다는 말이겠죠?


-----

아이폰용은 아니지만, 윈도우, 맥, 리눅스에서 쓸 수 있는 파일 암호화 프로그램이 있지요.

TrueCrypt라는 프로그램인데 아직 아무도 못 뚫었다는 걸로 유명하죠.

지금은 개발 중단되어서 업데이트가 안 되고, VeraCrypt가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저도 중요한 파일은 VeraCrypt로 암호화해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넣는 파일은, 누군가의 손에 들어갈 바에야 사라지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는 파일들입니다.


예전에 줄리안 어샌지는 유출된 외교문서를 256비트 암호를 걸어서 토렌트로 배포해버렸죠.

자기가 살해되거나 납치되거나 하면, 암호를 알고 있는 다른 두 사람 중 하나가 그 암호를 공개하면 토렌트로 배포되어 있는 그 파일을 누구나 열어볼 수 있다는 거였죠.

김태우 수사관이나 신재민 전 사무관의 경우, 어샌지와 유사한 알고리즘으로 큰 화를 면한 경우라고 볼 수 있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8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69
110721 ‘대림동 여경’이 낸 ‘112만원’ 손배소, 중국동포 주소 불분명해 ‘각하’ [6] KEiNER 2019.12.16 874
110720 지상 최강의 개그 민족 귀장 2019.12.16 571
110719 [EBS2 지식의 기쁨] 질병의 역사 [2] underground 2019.12.16 550
110718 탑건:매버릭 포스터/ 아이리시맨 대본 [4] mindystclaire 2019.12.16 664
110717 "결혼 이야기" 뒤늦은 잡담(스포 주의) [4] 산호초2010 2019.12.16 772
110716 [바낭] U2가 다녀간 판국에 뜬금 없는 드림씨어터 [8] 로이배티 2019.12.16 719
110715 오늘의 크리스마스 씰과 카드 (스압, 눈아픔 주의) [2] 스누피커피 2019.12.16 295
110714 정의당 지지자라서가 아니라 민주당이 차악씩이나 되는지 모르겠어요. [20] 가을+방학 2019.12.16 1052
110713 노키즈존에 대한 듀게 최악 양아치의 개소리 [31] ssoboo 2019.12.16 1894
110712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5] 조성용 2019.12.16 816
110711 [넷플릭스바낭] 불란서제 호러 시리즈 '마리안'을 봤습니다 [5] 로이배티 2019.12.16 956
110710 2019 Boston Society of Film Critics Award Winners [1] 조성용 2019.12.16 263
110709 새로운 것과 사귀다 [8] 어디로갈까 2019.12.16 627
110708 이런저런 잡담...(창작법) [1] 안유미 2019.12.15 488
110707 '스토브리그' 엄청 잼나네요!!! [2] S.S.S. 2019.12.15 832
110706 Anna Karina 1940-2019 R.I.P. [2] 조성용 2019.12.15 351
110705 게시글 아래 옛날 게시글이 자기께 나오는거 같은데 참 기술 좋네요 [7] 가끔영화 2019.12.15 494
110704 이런저런 일기...(노키즈존, 진행자의 자질) [11] 안유미 2019.12.15 1133
110703 결혼 이야기 & 내 몸이 사라졌다 & 씨름의 희열 3회 [7] 보들이 2019.12.15 843
110702 [EBS1 영화] 작은 아씨들 [7] underground 2019.12.15 6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