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하늘에 묻는다 (2019)

2019.12.31 22:42

DJUNA 조회 수:5405


[천문: 하늘에 묻는다]는 허진호의 두 번째 사극입니다. 이번 주인공은 세종과 장영실이에요. 영화는 그 운없는 어가 사고 사건으로 시작해서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두 천재의 관계를 그립니다. 그리고 이 모든 비극적인 사건에는, 우리만의 달력을 갖는 것으로 시작해 우리의 문자를 발명하는 것으로 완성되는 세종의 문화적 독립의 야망이 깔려 있습니다.

잘 만든 영화인데, 전 그렇게까지 재미있게 보지는 않았습니다. 그건 완성도보다는 영화가 역사와 캐릭터를 다루는 방법이 저와 잘 맞기 않았기 때문이죠. 이 영화는 기본적으로 세종과 장영실의 알페스입니다. 그리고 대부분 알페스가 밍밍한 건 소비자가 먹고 싶은 것만 골라서 주기 때문이죠. 이 영화를 이끄는 논리도 마찬가지예요. "우리 세종대왕님이 장영실에게 그랬을 리가 없어! 뭔가 이유가 있었을 거야!" 그 설명을 위해 '역사적 상상력'이 동원됩니다.

그 결과는 21세기를 사는 요새 관객들의 '캐해석'에 그럭저럭 잘 맞습니다. 영화의 민족주의적인 주제와도 맞고요. 단지 모든 게 지나치게 편리합니다. 모든 이야기가 세상의 이해를 받지 못하는 고독한 두 천재 이야기에 맞추어지다보니 두 주인공을 제외한 모든 것들이 납작해지고 주인공들 역시 조금씩 평평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캐해석'에 그럴싸하게 잘 맞는 '역사적 상상력'에 바탕을 둔 해결책에 대해 말하라면, 세종이 당시 시각장애가 있는 뚱뚱한 남자였고, 그런 일을 할 손기술 따위는 있을 리가 없다는 걸 다들 조용히 무시하는 것 같습니다.

사극이 과거를 그대로 재현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우리에게 그런 능력이 있는지도 잘 모르겠고요. 하지만 이 익숙한 이미지와 해석에 안주하는 이야기들은 점점 심심해지기 시작합니다. 우리의 구미에 복종하는 이미지 밖에서 이야기와 인물들을 볼 노력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합니다. (19/12/31)

★★★

기타등등
한국 사극의 대사들은 여전히 불만스럽습니다. 역시 당시 언어를 그대로 재현할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최소한의 고증은 필요합니다. [천문]의 대사는 어설프게 현대적이라 자꾸 씹혀요.


감독: 허진호, 배우: 최민식, 한석규, 신구, 김홍파, 허준호, 김태우, 김원해, 임원희, 오광록, 박성훈, 전여빈 다른 제목: Forbidden Dream

IMDb https://www.imdb.com/title/tt11498038/
Naver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8138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0 그녀가 죽었다 (2024) DJUNA 2024.05.22 859
469 너의 순간 (2020) DJUNA 2023.08.18 969
468 인드림 (2022) DJUNA 2023.08.15 973
467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 (2022) [1] DJUNA 2023.11.20 1058
466 다우렌의 결혼 (2023) [2] DJUNA 2023.12.17 1162
465 희수 (2021) DJUNA 2021.12.31 1177
464 동에 번쩍 서에 번쩍 (2022) DJUNA 2022.12.31 1234
463 오! 마이 고스트 (2022) DJUNA 2022.09.16 1287
462 공작새 (2022) [1] DJUNA 2022.12.31 1301
461 해피 뉴 이어 (2021) [1] DJUNA 2021.12.29 1337
460 홈리스 (2020) DJUNA 2022.09.19 1387
459 리미트 (2022) DJUNA 2022.09.01 1404
458 타겟 (2023) DJUNA 2023.09.01 1486
457 F20 (2021) DJUNA 2021.10.29 1545
456 말아 (2022) DJUNA 2022.09.21 1561
455 마감일 (2018) DJUNA 2020.06.08 1624
454 낮과 달 (2021) DJUNA 2022.10.30 167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