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바, 트럼프 등의 press conference를 보다가 박근혜, 문재인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보면 가장 큰 차이가

- 미국의 경우 기자의 질문 => 대통령의 답변 => 대통령이 답변한 point에 관한 (같은 또는 다른) 기자의 추가 질문이 이어지는데 반해

- 한국의 경우 기자 한 명이 질문권을 받아서 질문을 하면 대통령이 이에 대해서 답변을 하고 끝나는 (그래서 다른 기자의 질문 -> 대답으로 넘어가는) 형식이라는 점일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미국과 같은 형식은 한 주제에 대해서 보다 명확하고 심도 있는 토론을 하게 되는데 비해, 

한국처럼 질문 -> 답변으로 끝나는 경우, 질문에 의도적인 또는 비의도적인 동문서답을 해도, 포인트를 빗겨가는 대답을 해도, 대답에 불명확한 부분이 남아도, 조금 더 깊은 내용이 궁금해도 그냥 거기서 끝나게 되는 경우가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는 비단 대통령의 기자회견만에 국한된 문제는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학교에 다닐 때 보면 한국 학생들이라고 질문이 없고 궁금한 것이 없는 것은 아닐텐데,

질문 자체를 많이 하지 않고, 

선생의 설명이, 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미흡하다고 하더라도 추가 질문을 통해서 point를 명확히 하기 보다는 그냥 거기서 수동적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지난 번 조국 씨가 가진 기자회견 역시 마찬가지였죠. 

질문을 한 이가 조국 씨의 답변에 이어 추가 질의를 하려고 하면 그것을 차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길고 포괄적인 질문 -> (역시나) 길고 포괄적인 답변]으로 한 번에 끝나는 형식을 원하고 [짧은 질문 -> 답변 -> 질문 -> 답변..]은 허용하지 않겠다는 점을 주최 즉에서 여러 차례 명확하게 했죠.


문화적 차이가 큰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 선생 앞에서, 상관/상사 앞에서, 대통령 .. 앞에서 껌뻑 죽는 태도를 보이지 않으면 불손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고, 또 그 파장이 (뒤끝이) 한국이 훨씬 더 크고 오래 가고,

- 특히나, 그 질문이 선생, 상관/상사, 대통령 .. 이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것이라면, 또는 예민한 문제라면, 아마 그 뒤끝은 정말 오래가는 경우가 많죠.. 

공격적인 태도를 negative하게 받아들이는 정도가 더 심한 것  (tolerance가 낮은 것) 같고요.

지난 번 문재인 대통령에게 질의한 여기자처럼, 또는 선생님이 잘 모르는 어려운 내용 물어봐서 찍혔던 제 친구 누구처럼 말이죠.


하지만, 그냥 문화적 차이라고 덮고 넘어가면서, 결국 시간 지나면 바꾸지 않을까..? 라는 생각으로 마냥 기다리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 시간 동안 우리는 얼마나 많은 손해를 봐야 하는 걸까요?

대학원을 다니면서 비로소 윗사람 눈치 보지 않고 자유롭게 질문을 던지게 되었고, 

그럴 수 있는 (그래도 되는) 강의에 앉아있는 것과 그런 질의가 잘 용납되지 않는 강의에 앉아있는 게 (그냥 수동적으로 던져주는 것만 받아들이는 것이) 배우는 입장에서, 그리고 가르치는 입장에서도 얼마나 비효율적인지를 잘 알게 되었습니다.

발표하는 입장에서도 헛소리하면 바로 날카로운 지적이 들어올 강의와, 질문을 받지 않는 강의는 강의 준비에 투자하는 시간, 노력, 강의의 질 자체가 하늘과 땅 차이일 것입니다.


이제는 대통령 기자회견에서부터 그런 모습을 보고 싶습니다.

그런 자세를 갖고 격의 없이 토론하는 모습을 보고 싶고,

중요한, 예민한 포인트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질의가 이어지는 모습을 보고 싶고,

공격적인 질의가 너그럽게 이해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면 좋겠습니다.


TV에서 아 대통령과의 질의가 저렇구나 보게 되면, 사회 생활이, 학교생활이 좀 더 유연하고 활력있지 않을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3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64
111275 '비례대표 전략공천 금지'에 여야 "당연한 결정" 왜냐하면 2020.02.07 307
111274 숙명여대 합격한 성전환 여성분 [5] 잘살아보세~ 2020.02.07 1253
111273 폐렴때문에 한가해서 뮤지컬 이야기 - 위키드 [6] 얃옹이 2020.02.07 447
111272 이런 축제 계속 해야 하나, 돼지 번지점프 [9] 김실밥 2020.02.07 632
111271 안철수 신당, 신종코로나, 이원량, 가짜뉴스 [19] ssoboo 2020.02.07 949
111270 "작은 아씨들" 짧은 감상 [11] 산호초2010 2020.02.07 852
111269 공소장 관련 인터뷰 기사(한상훈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실행위원) [38] 왜냐하면 2020.02.07 761
111268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에 관한 잡담. 스포일러. [8] 하워드휴즈 2020.02.07 539
111267 용과 같이7 사서 좀 해봤는데, 감정이입이 잘 안되네요. (스포) [8] 얃옹이 2020.02.07 605
111266 동아일보에서 공소장 전문 올렸네요. [47] underground 2020.02.07 1521
111265 [EBS2 석학에게 던지는 5!대 질문] 인간과 지구 [2] underground 2020.02.07 300
111264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대회 여자 쇼트 경기 생중계 같이 봐요. [1] underground 2020.02.06 446
111263 방탄이어라 [5] Sonny 2020.02.06 677
111262 Kirk Douglas 1916-2020 R.I.P. [4] 조성용 2020.02.06 329
111261 프랭크 시나트라 셜리 맥클레인이 주연한 80일간의 세계일주가 있었나 [2] 가끔영화 2020.02.06 286
111260 1) 커크 더글라스 부고 소식 2) 버즈 오브 프레이 평이 좋네요 [13] 폴라포 2020.02.06 684
111259 바낭 ㅡ73년 경향신문을 봄 [4] 가끔영화 2020.02.06 336
111258 [바낭] 준연동에 포함 안되는 비례 대표 17석과 총선 의석수 계산 [7] 칼리토 2020.02.06 867
111257 드래곤볼과 나루토 편집자가 말하는 점프의 속사정 [11] 얃옹이 2020.02.06 2285
111256 [바낭] 남의 나라 불구경이나 합시다 [3] skelington 2020.02.06 7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