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개인적으론 기대 만큼은 아니었지만 충분히 아름다운 영화였어요. 여성이 대상화된 채 살 수밖에 없었던 시대에, 대상이 되기를 거부하는 두 여인의 이야기를 그림, 특히 초상화라는 매개체로 풀어낸 아이디어가 감탄스러웠습니다. 

물론 영화적 아이디어로서 뿐만 아니라 그림이 그려지는 걸 보는 자체도 이 영화의 즐거움 중 하나였지요. 처음에는 의미를 모를 선들이 하나 둘 생기다가, 어느 순간 모든 색과 선들이 제자리에 사뿐히 안착하며 눈과 마음에 평화를 선사하는.   

엘로이즈네 집은 귀족 치고는 모든 게 소박해서 아마 몰락한 집안이 아닌가 싶어요. 어머니의 어두운 표정도 그렇고, 딸의 혼사를 통해 형편이 좀 나아지길 바랐던 걸까요. 종이에 그림이 슥슥 그려지는 소리와, 곳곳이 낡아보이는 집안에 울려퍼지는 공허한 구둣소리, 간소한 디자인의 드레스(그게 위 아래가 따로인 줄은 처음 알았음) 같은 것들이 왠지 좋더라구요. 돌아보면 사라지고 마는 오르페우스 이야기를 활용한 장면들도 인상적이었습니다.

 



- JTBC 이태리 오징어순대집. 우연히 잠깐 보다가 두 세 회차를 연달아 보고 말았어요. '윤식당' 짝퉁 같길래 또 비슷한 프로그램인가 했는데, 아는 맛이 제일 무섭다고 재미 있는건 어쩔 수 없더라고요.. 해야 하는 음식 종류가 많고 손님도 많아서 수행 난이도가 높아 보였어요. 근데 사실 음식 미션보다는 알베르토네 가족이랑 친구들 보는 게 재밌더라구요. 20대 초반에 한국으로 떠나온 사람이 아직도 고향에 어찌 그리 친구들이 많은지ㅎㅎ 작은 동네라서 그런가 서로서로 다 아는 사이인 게 뭔가 마을잔치 느낌도 있고, 남유럽으로 갈수록 보수적이고 가족 중심적 문화를 띠는 건 한국과 좀 비슷해 보이기도 했어요.

제일 인상적인 사람은 안토니오라는 친구인데, 평소에 머릿속에 이미지화 되어 있었던 이태리인 캐릭터가 퐁 튀어나온 느낌? 오지랍 넓고 수다스러운 핵인싸 성격인데, 뛰어난 일머리까지 장착해서 미친 존재감을 뽐내고 있어요. 드디어 포스기 다 이해했어. 나 다 이해했다고, 최고야! 주방에 손 좀 필요하지 않아? 걱정 마. 칼질 하다가 내가 손가락 하나를 잃어도 근처에 병원이 있으니까. 레스또란떼 꼬레아노 본조르노! 한국어로 말씀하셔도 됩니다. 물론 농담이에요. 아, 저녁 예약은 이미 모두 찼어. 내일 점심을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저녁은 어렵다고 말씀 드려야 해. 나 이제 모든 메뉴를 한국어로 말할 거야. 떡깔~비, 닥깔~비, 김!치찌개와 김치!찌개는 다른 거라구. 손님, 발음이 정말 좋으시군요. 저도 발음하는데 3일이 걸렸어요! 저기 카메라 보시겠어요? 이봐, 나 지금 발음을 잘하신 손님에게 상을 드리고 있어. 떡깔~비!




- 씨름의 희열 6,7회. 이제 바야흐로 12회차 중 절반 이상의 반환점을 돌았네요. 

조별리그가 시작된 후로는 정말 예능 요소는 들어갈 틈이 없이, 매 회 다큐같은 긴장감이 넘치고 있어요. 죽음의 B조 회차였던 6회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역시 박정우 선수였지요. 선수들 중에서도 유난히 몸이 좋은 선수들이 있는데, 가만 보면 몸 잘 만든 선수들은 소위 '타고났다'는 선수들이 아니더라고요. 대체로 노력형, 혹은 대기만성형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선수들... 그야말로 몸을 통해 나타나는 성실함의 증거. 박정우는 가장 몸이 좋은 선수이고요. 운동선수 치고는 조금 심약한 성격이 아닐까 했는데, 오히려 그 성격 때문에 늘 준비하고 배우려는 자세가 되어있는 것 같았어요. 본인이 조의 탈락 후보라는 점을 인정하고, 철저한 준비와 연습을 해와서, 경기에서 정확하게 실행해내는 모습.. 뭔가 감동적인 느낌마저 들었어요.

C조의 귀요미 강성인 선수는 참 아쉽더라고요. 직 경험이 부족해서인지 본인의 장기를 충분히 보여주지 못한 것 같았어요. 독특하고 지역색이 강한 씨름 스타일이라 재미있었는데.. 스텝을 밟으면서 상대방의 무게 중심을 앞으로 쏠리게 한 다음 목을 감아 땡겨 버리는 기술은 정말 신기하더라고요. 변칙 씨름은 일반적인 씨름보다 뭔가 좀 더 레슬링에 가까운 형태 같아요. 모르고 보면 그냥 막싸움 하는 것 같은데, 알고보면 다 전략과 기술이 있는 게 참 신기하다는..         

           





qWqXqoK.gif


(박정우의_변칙_기술.gif)





fZdfZme.gif


(경남_전통_스텝에_이은_끌어치기.gif)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0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6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29
124386 이야기 듣기의 힘듦, 이야기 하기의 시대 [15] thoma 2023.10.03 497
124385 삼국 - 무영자 (2018) catgotmy 2023.10.03 121
124384 아샷추가 뭔지 아세요? [7] 정해 2023.10.03 577
124383 [왓챠바낭] 뱀파이어로 철학하는 영화, '어딕션'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10.02 328
124382 황금을 놓치다 상수 2023.10.02 150
124381 소림목인방 돌도끼 2023.10.02 205
124380 유권자들이 피곤해지는 2024 미 대선 리턴매치(again 바이든 V 트럼프) 상수 2023.10.02 343
124379 프레임드 #570 [4] Lunagazer 2023.10.02 94
124378 [왓챠바낭] 비디오가 라디오 스타를 죽이던 시절, '네트워크'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3.10.02 443
124377 고교생 일기 1회, 강수연 주연 [6] 왜냐하면 2023.10.01 328
124376 웨스 앤더슨 넷플릭스 신작 기상천외한 헨리슈거 이야기 외 3편 연작 [2] 상수 2023.10.01 468
124375 AI 활용도 상당히 높네요. [4] theforce 2023.10.01 418
124374 [연휴바낭] 연휴동안 본 영화&시리즈2 [4] 쏘맥 2023.10.01 256
124373 청춘일기 1화, 정윤희 주연 [1] 왜냐하면 2023.10.01 229
124372 프레임드 #569 [4] Lunagazer 2023.10.01 73
124371 "왕좌의 게임" chaos is the ladder 몇 시즌 몇번째 에피소드인가요? [2] 산호초2010 2023.10.01 246
124370 강원도의 힘 (1998) [4] catgotmy 2023.10.01 274
124369 잡담 - 항저우 아시안게임, 진심을 너에게, 명절의 고난 [1] 상수 2023.10.01 199
124368 한국판 사망탑 [5] 돌도끼 2023.10.01 425
124367 쏘우 10편의 평점이 놀랍네요..!!! [10] 폴라포 2023.10.01 6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