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4관왕- 그 중 작품상까지 수상했다는 소식을 듣고

비로소 <기생충>을 보았습니다.

흥행 입소문을 몰 때도, 깐느 영화상을 탔을 때에도 이 영화를 보지 않았었는데,

별 이유가 있었던 건 아니고 영화라는 문화 자체에서 많이 멀어졌을 뿐더러,

개인적인 추억이나 연결고리 때문에 좋아하는 극소수의 영화 아니면

영화 자체를 찾아보는 일이 저에겐 매우 드물어졌기 때문입니다.(영화 게시판에 와서 한다는 말이...)


그래도 오늘 같은 날 안 볼 수가 없어서, 마침 상황도 맞고 VOD 포인트도 있어, 

탈탈 털어 영화를 보았습니다.

사실 위키만 돌려도 줄거리며 스포일러며 영화적 해석까지

표준전과 수준으로 쫙 안내받을 수 있으니

한김 빠진 채 감상한 셈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그렇게 감상하는 게 편해요.

영화를 보며 무슨 일이 벌어질지, 그리고(이래서 영화를 잘 안 보지만) 보다가 영화가 재미없어져서 그만 보고 싶어지진 않을지

보기 전에 이미 염려를 시작하는 것보단

이 이상한 영화 감상법이 맘이 편합니다.

그리고 그럼에도 재미있게 봤습니다.


그냥 개인적인 한마디 평은,

국내 최초 아카데미 작품상을 비롯 4관왕을 탈 영화인 줄 모르고 봤으면 더 순수하게 좋았을 뻔한 영화였어요.


일단 영화 감상중에 이건 영화다, 저건 너무 작위적이야, 그런 시니컬한 생각이 들 틈이 없이

영화의 내실 속에 실려서 감상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좋았어요. 

작위성이나 극적 장치야 이 <기생충>도 어떤 면에선 못지않을지 모르지만, 그런 생각마저 들지 않게 하는 게 

영화의 내공 중 하나겠지요.


그리고, 듣던 대로 마지막 부분에서 기분 유쾌할 분들은 드물겠지만,

뭔가 순수하게 슬퍼서 좋았어요. 왜 슬픈지는 모르겠습니다. 이루어지지 않을 꿈, 이루어야 하지만 절대 이루지 못할 것을 뻔히 알고서

그 짐과 함께 살아가는 막막함이 슬펐다고 해야 하나...최우식 배우의 마스크가 주었던 느낌 때문일지도 모르겠구요


무튼, 말이 나와서 말인데,


1. 이 영화를 통해 최우식(존칭생략)에 대해 저는 '소년같지만 어딘지 모르게 비열한, 통수 칠 것 같은(그간 접했던 배우의 드라마 작품 때문에 더욱 강화되었어요)'

인상이라는 생각을 덜어내게 되었어요. 그리고 그의 연기에 더 주목하게 될 것 같고, 호감도가 좀더 올랐습니다.


2.박소담은 목소리도 딕션도 좋더군요. 시원시원하고, 캐릭터 때문에 더 그런지도 모르겠어요.


3. 영화 속 집 분위기가 정말 평창동(배경은 성북동이지만) 부촌에 있을 법한 집과 그 내부를 그대로 옮겨다 놓은 듯해서 눈이 호강했어요.

요즘은 안 가지만 예전에 시간 여유가 있을 때 사는 동네를 벗어나 같은 서울이나마 특색을 지닌 지역으로 멀리 산책을 나가는 걸로

여행을 삼곤 했거든요. 그 즈음 평창동도 가끔 갔는데, 걸어서 그 부촌 골목 곳곳을 걸어 누비다보면 왜 차 없는 사람들은 오지 못할 이곳에

그같은 집들을 지었을지 알 것도 같았어요...영화에서 보이는 그 집 대문과 주차장, 긴 담이며 

집 인테리어까지 저 역시 선망하는 (그만큼 부와 문화를 누리는 사람들이 꾸민 집으로 설정되어 있으니 당연한지도 모르지만) 분위기라

부러우면서 극중 인물들의 심정에 좀더 동화도 되었어요. 특히 의자...불편하겠지만 마음에 들더군요. 같은 의자가 식탁은 물론 아이들 방에도,

공간마다 용도나 느낌은 조금씩 다르지만 통일감이 느껴져서 미적으로 좋았어요.


...아무튼 이제서야 영화를 볼 정도로 이 영화에 무관심했던 저 같은 사람조차 꿈 아닌가, 싶을 만큼 훌륭한 결과를 거두었으니

축하를 보내고 싶습니다.


 사주를 혼자 들이파는 사람으로, 이런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으레 그러듯 봉준호 감독의 사주를 봤습니다.

전에도 본 적이 있는데 역시, 제가 공부와 식견이 부족해서인지 이만한 결과물과 영광이 사주 여섯글자(시간은 모르니)어디에서 빚어지는지

아직도 알 수가 없습니다. 문화적 식견이 높고, 이 사람의 본령이 되고, 늘 공부하듯 하는 분일 거라는 느낌은 듭니다만.

가장 중요한 것은...이렇게 방구석에서 만세력 돌려보고, '기간이 정해져 있는 근로자'는 2년 내에 계속 일하고 싶어도 퇴사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는 것을 최근에야 알게 된-근로계약서에 그런 문구가 없어도 합법이라는 것조차 지금 알게 된- 저 같은 사람보다는

사주 같은 거 신경도 안 쓰고 자기 길을 머리터지게 살아 온 봉감독님을 비롯한 세상 많은 실력자들의 인생이

더 알차리라는 것이겠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00
111492 개인적으로 뮤지컬 정말 좋아하는데, 한국 뮤지컬은 보고 나서도 찜찜합니다. [14] 얃옹이 2020.02.25 1585
111491 신천지 시설 구글지도 [1] 예정수 2020.02.24 764
111490 영자원 평론가들의 2019년작 10선 리스트 [7] 예정수 2020.02.24 992
111489 [관리] 게시판의 광고글과 그 이외. [9] 엔시블 2020.02.24 676
111488 코로나 잡담 [2] 메피스토 2020.02.24 541
111487 게시판에 광고가 늘어난 거 맞죠? [3] 아리아 스타크 2020.02.24 595
111486 [코로나19] 새삼 일상이란 참 소중한 것이군요 [9] ssoboo 2020.02.24 974
111485 음악웹진들의 2019년 올해의 트랙, 싱글 또는 앨범 [1] 프랜시스 2020.02.24 502
111484 코로나오는 잡설들 [9] Sonny 2020.02.24 922
111483 신천지를 옹호하고 싶어도 [12] 양자고양이 2020.02.24 1262
111482 방탄소년단 초동 300만 돌파 [1] 왜냐하면 2020.02.24 481
111481 1917 보고 [2] mindystclaire 2020.02.24 350
111480 [듀나in] 퐁네프의 연인들 보신 분 감상 공유 좀... [9] 예정수 2020.02.24 425
111479 아니 황교안씨 전도사 아니었나요?? : 황교안, 신천지에 책임 물어선 안돼 [20] 가라 2020.02.24 1087
111478 [넷플릭스바낭] 데이빗 린치의 신작(?) '잭은 무슨 짓을 했는가'를 봤습니다 [12] 로이배티 2020.02.24 1143
111477 신천지 구별하는 법이 있나 궁금합니다 [3] 예정수 2020.02.24 682
111476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1] 조성용 2020.02.24 588
111475 듀게 오픈카톡방 [2] 물휴지 2020.02.24 242
111474 ??? : 본인 완벽 방역 성공하고 "대한민국은 코로나 청정국가다" 선언하는 상상함 [9] eltee 2020.02.24 876
111473 코로나19의 주말 [1] 어제부터익명 2020.02.24 64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