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는다는 것과 의자 이야기

2020.02.18 14:33

겨자 조회 수:1976

작년 말을 기점으로 노화가 느껴져서 사무용품을 하나하나 인체공학적인 걸로 바꾸고 있습니다. 혹시 저처럼 노화를 겪는 분이 있으면 도움될까 해서 적습니다. 


- 마우스: Wired Ergonomic Vertical USB Mouse with Adjustable Sensitivity (800/1200/1600 DPI), USB or Type C Connection, Scroll Endurance, Thumb Buttons, USB C to USB adapter included

만족합니다. 위에서 아래로 잡는 스타일이 아니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잡는 스타일인데 진작 바꿀 걸 그랬네요. 


- 키보드: Microsoft Sculpt Ergonomic Keyboard for Business 

만족합니다. 문제는 한글키에서 피읍과 모음 유 가 떨어져 있어야 한글 사용자에게 좋은데 붙어있네요. 러닝 커브가 좀 있습니다.  


- 오피스 매트: 쿠션 달린 것 (발 지지)

쓸모가 없지는 않습니다. 특히 바닥 긁히는 소리를 줄여줍니다. 


- 허리 잡아주는 방석: MTG Body Make Seat Style E1009BS-DB

돈 낭비였습니다. 


이제 의자 이야기네요.


목/허리를 위해 의자를 사려고 하자 세 가지로 선택을 좁힐 수 있더군요.


1. 허만밀러 에어론 

2. 스틸케이스 리프 체어

3. 휴먼스케일 프리덤


한국 사람들에게는 일반적으로 스틸케이스 > 허만밀러 > 휴먼스케일 정도로 리뷰가 모아지는 것 같더군요. 그러고보니 허만밀러와 스틸케이스는 사무실에서 써본 적이 있고, 휴먼스케일은 써 본 적이 없습니다.  아래 포스팅에도 소개한 존 그립씨는 휴먼스케일을 쓰고 계시더군요. https://johngrib.github.io/wiki/my-desk-environment/


1. 허만밀러의 단점: 체구가 작은 사람에게 맞질 않습니다. 엉덩이 depth 조절이 되질 않죠. 여기서 허만밀러 포기했습니다. 체구가 있는 남자들, 특히 몸에 열이 많이 나는 남자들에게는 최적이겠네요. 

2. 스틸케이스: 장점은 depth 조절이 됩니다. 하지만 역시 체구가 작은 사람에게는 헤드레스트가 별로라고 하네요. 스틸케이스의 단점은 소재인데, 이게 매쉬가 아니라 천(fabric)이라 오염이 잘 된다는 점이라는군요. 반면, 이 소재가 여자들에게는 따뜻하고 감싸주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네요. 사무실 같이 추운 환경에서는 더 그렇겠죠. 휴먼스케일은 오염이 잘 안되는 천을 선택할 수 있는데 스틸케이스는 그게 안됩니다. 스틸케이스를 가죽 사양으로 선택하면 정품 가격에서 544달러 추가해야합니다. 저는 이 제품에 앉아본 적도 없는데 끌리고 있네요.

3. 휴먼스케일: depth 조절 됩니다. 단점은 휴먼스케일은 반품 안됩니다. 허만밀러는 30일안에는 반납하고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왜 이 글을 적었느냐 하면, 의자 쇼핑하면서 짜증이 났기 때문이예요. 주워온 의자에 앉아서 일해도 아무렇지도 않았는데, 이제는 온갖 리뷰를 읽어보면서 뭐가 더 내 몸에 나을까 하고 비교하는게 말이죠. 한 15년, 아니 10년만 젊어질 수 있어도 비싼 의자 같은 건 전혀 필요 없는데, 쪼잔하게 이 의자 저 의자 요모조모 비교하면서 생각해야하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2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2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49
111632 문재인 외교 참사 [4] 도야지 2020.03.06 1019
111631 나만 좋아했던 (시청률 낮았던) 예능/교양프로 있으세요? [7] tomof 2020.03.06 725
111630 비자를 건드린 나라가 일본 뿐입니다. 그래서 일본에게만 대응하는 겁니다. [24] 표정연습 2020.03.06 1432
111629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해서 고민입니다 [5] 정해 2020.03.06 832
111628 바티칸 Holy See에서도 코로나 확진자 발생, 이란 하루새 1,234명 증가 tomof 2020.03.06 577
111627 시드니 지역 감염, 회사 정책, 사재기 [12] 양자고양이 2020.03.06 926
111626 "국가재난 상황에 모든 것을 정파화.. 전문가에게 모욕적" [27] 왜냐하면 2020.03.06 1164
111625 ㅈㅅ일보가 왜 일본에만 화내냐고 했군요. [28] 가라 2020.03.06 1635
111624 톰 행크스가 또 2차 대전 영화에 나오네요 <그레이하운드> [4] 부기우기 2020.03.06 563
111623 허경영 전화를 받았어요. [7] 왜냐하면 2020.03.06 956
111622 오늘의 80년대 스티커와 코로나 시대의 생활 수칙 [5] 스누피커피 2020.03.06 646
111621 망상 - 인구조절용 바이러스 코로나 19 [7] 도야지 2020.03.06 1383
111620 (바낭) 2015년생의 기대수명 142세 [2] 보들이 2020.03.05 2273
111619 이란과 코로나19 [3] 어제부터익명 2020.03.05 880
111618 신천지와 120억 [5] 어제부터익명 2020.03.05 950
111617 애플워치 시리즈 5 사용기 [2] 예정수 2020.03.05 584
111616 안철수는 코로나사태가 진정되면 민주당으로 복귀해야 할 것 같네요 [4] 예정수 2020.03.05 1097
111615 이런저런 일기...(일, 놀이, 평가) [2] 안유미 2020.03.05 532
111614 게시판 머저리들과 기레기들의 공통점 [6] 도야지 2020.03.05 805
111613 천관율의 시사인 기사, '중국 봉쇄 카드는 애초부터 답이 아니었다' [12] 타락씨 2020.03.05 14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