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현지 분위기

2020.03.01 10:28

양자고양이 조회 수:1198

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잦아드는 순간에 한국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자

한국포함 해외의 많은 전문가들이 범유행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측하더군요.

우리나라 언론들은 신천지라는 특수한 집단의 뻘짓과 정부의 방역실패에 촛점을 맞추며 한국만의 문제인 것처럼 보도했지만 해외 언론들은 대부분 '글로벌 판데믹의 시작이다'라고 보는 게 대부분입니다. (그렇다고 한국만의 저 문제가 없다는 건 아님. 그냥 외신이 보도하는 관점입니다.)

이탈리아, 이란 등의 동시 다발적인 발생때문인데요.

특히 이란은 사망률이 거의 10%에 달해 전문가들이 감염자수도 훨씬 많고 실제 사망자 수도 200명이 넘을것이라는 추측도 있어요.

이탈리아도 사망률로 따지면 한국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다만 한국이 검사자, 감염자 수가 압도적으로 높아서 통계적으로는 더 정확할 거라고 봅니다.


드디어 이 나라 언론도 톤을 한 층 높여 말하기 시작하고 총리의 긴급대응에 대한 발표도 있었습니다. 엄청나게 뭔가 중요한 듯이 말했는데 알맹이는 사실 별로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대로 일상생활을 하고 정부차원에서 만약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범유행에 대비하겠다는 거죠. 시간을 미리 번다는 게 이래서 중요한가봐요. 그런데 그렇다고 반드시 잘 대처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한국 정부도 여러 개의 시나리오를 갖고 대비책이 있었을거예요. 


호주 정부의 대응은 물량확보입니다. 방호복, 의료용 마스크, 약품등의 수급입니다. 이런 의료용품이 대부분 중국에서 들어오는지라 지금 전세계적으로 저런 의료용품 물량 확보가 비상입니다. 아울러 소비자용 마스크와 손세정제도 확보해야하는데 보건부 장관이 벌써부터 쓸데없이 마스크 쓰고 돌아다니면서 물량을 낭비하지 말라고 경고를 줍니다. ('마스크 쓰지 마세요'라고 공식적으로 얘기함) 나중에 진짜 필요할 때 동이 나면 안되니까요.


중국 본토에서 입국하는 외국인의 입국제한은 현행대로 유지하고 이란에서 들어오는 외국인의 입국제한이 추가되었습니다. 중국의 경우 본토에서 최근 14일간 체류한 조건이기 때문에 태국이나 일본이나 한국 등 중국인을 입국제한 하지 않는 나라에서 14일간 체류하다 들어오면 입국이 됩니다.이란의 경우도 같은 조건인지는 보도가 없더라고요. 

통계상으로 더 심각한 한국이나 이탈리아도 있는데 왜 이란인가 의문스러운데 일단 어제 오늘 신규 감염자 두 사람이 모두 최근 이란에서 온 사람들입니다.

또 다른 추측으로는 아마 한국이나 이탈리아는 통계와 대처의 투명성이 믿을만하고 이란은 그렇지 않다는 것일 수도 있고요.

정치적인 추측으로는 이 나라의 우리편과 적의 구분이 너무나 확실하다는 것? 이건 그냥 제 뇌피셜입니다.

한국인 입국자중에 감염자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다른 조치를 할 수도 있겠죠. 여기도 중국이 제 1교역국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미칠 파장때문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러는 와중에 미국, 영국, 독일등 지역 감염의 징후가 여기 저기 터지고 있습니다. 뒤 늦게 떨어진 발등의 불을 끄느라 모두들 분주한 동안 중국이 원산지 세탁을 진행하겠죠.


여름이 오면 좀 잠잠해질까요?

저는 그럴 수 있다고 봅니다. 호주에는 아직 지역감염 케이스가 없는데 그렇다고 방역망이 엄청 촘촘하 것도 아니니 계절 덕을 좀 본 게 아닌가 싶습니다.

싱가폴을 제외한 동남아시아와 남 아시아 국가들도 초기 감염자수에 비해 뚜렷한 증가세가 없습니다. 

싱가폴도 집단 감염은 교회에서 생긴 거라고 하니 그 특수성을 고려하면 동아시아나 유럽에 비해 크게 문제가 된 것이 아닙니다. 특이한게 싱가폴의 완치율이 꽤 높고 또 빠르더라고요. 첫 감염이 모두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졌다고 봤을 때 한국의 완치 격리 해제 케이스는 아직도 28건인데 싱가폴은 72건이나 됩니다. 이 나라의 빠른 회복력의 비밀은 무엇일까요? 의료수준이 높다고는 하지만 비결이 있으면 우리도 재빨리 구비하는 것은 문제가 아니니 공유를 하면 좋을텐데요. 아니면 순전히 날씨 탓일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4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4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001
111744 [게임바낭] 예쁘고 사랑스러운 힐링 게임(?) 하나 추천합니다 - 오리와 도깨비불 [15] 로이배티 2020.03.16 711
111743 일요신문 '민주당 비례 대표 후보 박은수 '엄마 찬스' 논란' [12] 겨자 2020.03.16 1229
111742 '찬실이는 복도 많지' 관람 전 필수인 영화들 [2] ally 2020.03.16 806
111741 [바낭] 학교 휴업 연장(=개학 연기) 확정됐네요 [17] 로이배티 2020.03.16 1152
111740 비건을 장려하는 영화 옥자? [5] 사팍 2020.03.16 628
111739 덥고 습한 기후에도 COVID-19 바이러스 전파 [7] 겨자 2020.03.16 1143
111738 강경화 외무장관 멋짐 대 폭발 [34] ssoboo 2020.03.16 2017
111737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르완다 후 벨기에 편성 논란, 식민지, 인종차별 등 [5] tomof 2020.03.15 1434
111736 인비저블맨...투명인간 begins일지도 모르는 영화(다크유니버스 스포) [4] 안유미 2020.03.15 586
111735 [코로나19] 좋은 뉴스와 매우 나쁜 뉴스 [31] ssoboo 2020.03.15 1837
111734 킹덤 2시즌을 다 보고..(당연 유스포) [3] 라인하르트012 2020.03.15 962
111733 '찐따'가 뭡니까? [15] 새벽길 2020.03.15 1317
111732 이병헌 김부장 (남산의 부장들 스포일러) [3] waverly 2020.03.15 7681
111731 [넷플릭스바낭] 틴에이져... 암튼 드라마 '아이 엠 낫 오케이'를 봤습니다 [19] 로이배티 2020.03.14 1294
111730 어수선한 세상, 심란한 마음 [10] 어디로갈까 2020.03.14 1214
111729 [총선 천기누설 1탄] 이번 총선 결과에 대한민국 "운명"이 걸려있다! [2] 왜냐하면 2020.03.14 739
111728 정치인들의 코로나, 지중해식 식단 [7] 양자고양이 2020.03.14 1080
111727 [코로나19] 친中+반文 혼종, 팬데믹 월드에서 살아 남는 법 [4] ssoboo 2020.03.14 770
111726 의자의 행방, 침착함의 행방 [23] 겨자 2020.03.14 1148
111725 이런저런 잡담...(호텔의 용도) [4] 안유미 2020.03.14 8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