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확진자 (사망자) 통계기준


0. 중국 80,152 (2,945)

1. 한국 5,186 (28)

2. 이란 2,336 (77)

3. 이탈리아 2,036 (52)

4. 일본 986 (12)

5. 프랑스 191 (3)

6. 독일 165

7. 스페인 124


. 중국이 하루 126명 증가한 거에 비해, 한국이 하루 851명 증가한 거는 신속한 검진을 감안해도 이젠 좀 무섭네요


. 바이러스가 고온다습의 기후에 약하다는 이론이 납득이 갑니다. 동남아 지역은 증가속도가 둔하고, 

스리랑카, 네팔, 캄보디아는 1명 확진이나 모두 완치됐어요.

필리핀은 3명 확진에 2명 완치, 인도는 6명 확진에 3명 완치네요.

후진국 여부보다는 기후의 영향이 훨씬 큽니다.


. 저 나라들의 사례를 본보기 삼아, 학교, 회사, 마트, 백화점 등을 비롯해 실내에 계시는 동안은 따듯 다습하게 관리하는 게 중요한 거 같아요.

실내에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그나마 빨리 죽이는 방법이라 생각.

억지스러울지 모르겠지만, 심지어 버스나 지하철 내에도 가습기를 작동시키는 것도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 일반적인 겨울철 실내 습도는 16~18% 정도이며,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쉬운 습도이고,

바이러스가 죽는 적정 습도는 40~60%입니다. (그 이상은 다습으로 곰팡이 번식)

가습기만 틀면 30~40%까지는 올릴 수 있다는 점이 무시 못 할 점이구요


. 가습기 파동으로 병원에서 침실당 가습기가 사라진지 오래됐고, 더이상 문제되는 가습기 살균제가 판매금지가 됐음에도,

병원측은 일말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려고 병원내 가습기 작동을 권장하지 않고 있지만, 보호자가 갖다놓고 틀면 뭐라 하진 않는 정도입니다.

전 건조한 겨울철, 특히 노약자나 병원에 가습기는 필수라고 주장하는 사람입니다. 틀고 안 틀고의 차이는 엄연히 큽니다.

실제 병세가 약화되고 기침이나 감기를 방지하는데 큰 효과를 봤어요. 관리만 잘한다면 겨울철 가습기는 또 하나의 치료약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4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19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41
124973 '패스트 라이브즈' 골든 글로브 5개 부문 후보지명 [14] LadyBird 2023.12.12 434
124972 부루스 부라더스 음악 [3] 돌도끼 2023.12.12 167
124971 [디즈니플러스] 30여년간 오해의 끝, '코만도' 감상 소감입니다 [23] 로이배티 2023.12.11 652
124970 프레임드 #640 [4] Lunagazer 2023.12.11 94
124969 2023년 동안 제가 본 좋은 영화들.... [4] 조성용 2023.12.11 638
124968 2023 Washington DC Area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 Winners [1] 조성용 2023.12.11 170
124967 2023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 Winners [1] 조성용 2023.12.11 164
124966 2023 Boston Society of Film Critics Award Winners [1] 조성용 2023.12.11 173
124965 [왓챠바낭] 저엉말 특별할 것 없이 잘 만든(?) 소품 호러, '더 커널'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12.10 337
124964 영웅문 잡담 [6] 돌도끼 2023.12.10 367
124963 프레임드 #639 [4] Lunagazer 2023.12.10 80
124962 메이슨 그린우드의 헤타페 셔츠 판매량이 daviddain 2023.12.10 135
124961 고인돌 음악 [1] 돌도끼 2023.12.10 128
124960 [디즈니플러스] 오랜만이야 닥터!! ‘닥터 후 60주년 스페셜’ [4] 쏘맥 2023.12.10 266
124959 오타니 쇼헤이 LA 다저스 행(연봉 10년 계약 7억달러), 첫 경기는(아마도) 2024년 서울 상수 2023.12.10 204
124958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2023 외국영화 베스트 10(10위권에 들지 못해 아쉬운 영화들 추가) [2] 상수 2023.12.10 543
124957 [왓챠바낭] 변태도 이런 변태가 없군요. '뉴욕 리퍼'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12.09 408
124956 싱글 인 서울을 보고(스포 있음) [1] 상수 2023.12.09 341
124955 한 장의 사진 같은 일본 아동문학 총천연색 삽화 [11] 김전일 2023.12.09 504
124954 마르틴 베크 시리즈가 완결되었어요. [테러리스트] [7] thoma 2023.12.09 31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