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내 이름은 돌러마이트

2020.03.18 23:03

노리 조회 수:688

요 근래 뇌를 비울 수 있는 가벼운 영화들을 연달아 보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만족스러운 영화였습니다. 에디 머피 주연의 코미디에요. 슈렉에서 성우로 나왔던 걸 빼면 에디 머피의 연기를 본 게 언젯적이었는지도 기억이 안 날 정도인데 이 영화에서 좋은 연기를 보여주네요. 


주 내용은 루디 레이 무어라는 실제 코미디언의 영화 제작 분투기입니다. 가수이자 코미디언이었고 지금의 랩의 대부쯤 되는 인물이라고 해요. 영화는 무명이었던 루디가 코미디언으로서 명성을 얻어가는 데서 출발합니다. 이 양반의 장르는 더러운(!) 농담을 라임을 맞춰 해대는 스탠드업 코미디인데요, 영어 듣기가 원어민급으로 되지 않는 한 기분까지 더러워질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영어도 못하고 랩음악을 듣지도 않는 저는 하나도 이해 못했네요. 다행히 농담을 못알아들어도 영화보는 데 큰 지장은 없습니다. 흑인 대중문화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영화 초반은 민속지 체험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네요. 이를테면 당시에 코미디언들의 농담을 레코드판으로 녹음해서 판다든가 하는 것들 말이죠. 하기는 플랫폼과 향유 방식만 다른거지 먹방이며 온갖 실험, OOO한 썰같은 걸 풀어놓는 유튜버랑 다를 바는 없지 싶습니다. 


크리스 락, 스눕 독, 웨슬리 스나입스 등도 나옵니다. 웨슬리 스나입스와 에디 머피가 같이 출연하기는 이번 작품이 처음이라는군요. 웨슬리 스나입스 필모가 블레이드 시리즈와 같은 액션 영화에 치중돼있어 딱딱한 이미지가 익숙한데 이 영화에서의 모습은 또 새롭더군요. 본래 연기를 못하는 배우도 아니고 앞으로도 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면 좋겠어요. 드랙퀸도 어울릴 것 같단. 


사실 가벼운 영화들 중엔 제일 웃긴 건 '쥬만지: 새로운 세계'였습니다. 후속작인 넥스트 레벨도 볼만하긴 한데 1편에 비해 캐릭터 코미디가 약해요. 노인 유머 구사 실패. 새로운 세계는 원작보다도 낫던 걸요? 원작 영화를 되게 재미없게 봤었거든요. 돌러마이트는 쥬만지: 새로운 세계처럼 타율 좋은 유머가 계속 터지는 방식은 아니지만 쥬만지의 가벼움에 비해 실화에 바탕을 둔 이야기가 전하는 정서의 힘이 상당합니다. 웃기면서도 긍정적이고 유쾌한 여운을 좀더 즐기고 싶은 분은 돌러마이트를, 아무 생각없이 2시간을 재밌게 보내고 싶은 분은 쥬만지: 새로운 세계를 보세요. 


결혼이야기 못지않게 잘 만든 영화라고 보는데 어째 회자가 잘 안되네요. 블랙스플로테이션 무비 등과 같은 영화 제작 과정에 관심있는 분들, 아니 관심없는 분들도 재미있게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러고보니 흑인들이 결혼이야기를 보는 장면을 상상해보니 잘 안웃을 것 같아요..... 저는 어찌된 일인지 결혼이야기보다는 돌러마이트 쪽에-비록 흑인남성들이 주요 캐릭터이지만요. 주요 여캐도 있어요-더 이입하며 보았어요;; 


스티브 맥퀸의 위도우즈 보신 분들 있나요? 하이스트 영화라고 해서 봤더니만 40분이 넘도록 도둑질을 안하길래 멈췄거든요. 지루하기도 하고. 도둑질 언제 하나요? 뒤에 가면 재밌어지는지. 아니면 초반이랑 계속 똑같은 톤인지? 


하여간 내이름은 돌러마이트, 강추입니다. 

샤프트(2019)보다 백배 재밌음요. (그만큼 샤프트는 별로였단)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2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6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14
112126 제가 생각하는 <자이언트>의 결말, 혹은 반전 [3] 둘세데레체 2010.12.06 2132
112125 이태리 여가수 니나 질리 푸른새벽 2010.12.06 2009
112124 (바낭) 너무 속상하네요 [1] 白首狂夫 2010.12.06 1246
112123 [바낭] 취미생활, 일본식 가정식, 바낭에 곁들이는 짧은 식단 공개. [8] 벚꽃동산 2010.12.06 3775
112122 와퍼세트 2900원에 풀렸어요 [5] 바이엘피아노 2010.12.07 2911
112121 대학생이 방학동안에 할만한 알바가 무엇이 있을려나요. [8] 불별 2010.12.07 2459
112120 밥벌이의 지겨운 위대함-<지하철에서1>* [12] Koudelka 2010.12.07 3949
112119 자이언트와 삼풍, 내셔널지오그래픽 사진전, 리영희 선생님, 그을린, 환상의 그대, 분할화면 인셉션. [5] mithrandir 2010.12.07 3022
112118 홍대의 유명한 우동집. 가미우동. [13] maxi 2010.12.07 5583
112117 한밤의 조카자랑. [7] niner 2010.12.07 2175
112116 rural 이란 단어 발음하기 힘드네요 [10] 임바겔 2010.12.07 3163
112115 새벽에 클래식이 듣고 싶어서 (비발디, 라흐마니노프) [1] 부엌자객 2010.12.07 1276
112114 (바낭) 버스에서 들은 대화 [9] 옥수수가 모르잖아 2010.12.07 2701
112113 제 얘기 들어주시겠어요? 요즘 남성성에 대한 동경과 질투가 심해서 힘들어요. [36] amarillo 2010.12.07 6807
112112 자야되는데..급빠져들게 된 TV동물농장.. [4] 라인하르트백작 2010.12.07 2147
112111 [뻘글] 지루한 고전영화 어떻게 다 보세요.. [20] 부엌자객 2010.12.07 2500
112110 베토벤 - 대푸가(그래픽으로 표현) [2] nishi 2010.12.07 1602
112109 새벽의 음악 하나 [4] 01410 2010.12.07 1157
112108 징거버거세트 드세요. 3500원 [4] 자두맛사탕 2010.12.07 2422
112107 [그림] 고흐의 방은 세점이 존재합니다. [10] 무비스타 2010.12.07 489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