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백신입니다.

그러나 백신은 아무리 빨라도 내년즘에나 구경이라도 할 수 있을 것이고


1.

결국 치료제가 이 전쟁을 끝내고 전세계가 모두 함께 조금이라도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키가 되는거 같습니다.


치료제는 기존의 여러 바이러스 관련 치료제들을 응용하는 처방이 검토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가장 빨리 임상단계가 끝나고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약물은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된 ‘렘데시비르’ 라고 합니다. 

 http://m.medigatenews.com/news/2777160232

이 약물은 링크된 기사에서 보이듯이 현재 미국과 중국,한국, 싱가포르 등에서 총 6건 임상시험 진행중이며

빠르면 4월초 결과가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칼레트라’는 약물도 임상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빠르면 5월초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이고요. 


이 외에도 많은 치료제가 주요국가에서 임상이 진행되고 있고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개발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만약 기존치료제 중에 임상을 통하여 확실한 치료법으로 규정이 된다면 

중증환자 치료를 통하여 사망률을 낮출 수 있으며 완치율도 빠르게 개선될 수 있고

경증 환자들을 의료기관이 아닌 자가 투약만으로  완치를 시킬 수 있게 되면서 (독감 치료처럼)

가공할 전파력을 갖고 있는 코로나19에 맞서 의료시스템 붕괴를 저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완치가 되어 면역력을 갖게되는 사람들의 수도 자연히 증가할 수 있어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버틸 수 있게 되는 것이죠.


2003년의 사스의 경우는 계절적 요인으로 매우 운이 좋게 길지 않은 시간에 크지 않은 피해에 멈출 수 있었지만

코로나19는 계절적인 변수는 크지 않을 전망이라는 의견이 대체적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치료제와 더불어 계절적 요인도 조금이나마 전염병의 확산을 늦추는 요소로 기대가 되는 만큼

결국 4월을 거치며 5월 이전에 현재의 전세계적인 확산과 끔찍한 사망률 그리고 의료시스템 붕괴는 어느정도 저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

오늘 정부에서 외국인 입국자에 대한 전면적인 의무자가격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시설격리의 경우 격리비용은 국적 불문 모두 자비로 하기로 했구요.

이 조치에 따른 행정력 부하가 발생되고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의료시스템에도 부하가 커질 수 있게 됩니다.


현재까지 우리 방역당국의 특징은  급진적인 방식 보다는 단계적으로 천천히 치밀하게 진행되어 왔습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유럽이나 북미같은 지역과 달리 

방역의 중요한 주체인 시민의 패닉을 방지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이제 전세계가 모두 인정하는) 성공적인 방역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이죠.


문제는 의료시스템과 방역행정시스템 그리고 시민들의 피로도입니다.

앞에 치료제 관련하여 볼 수 있듯이 한 달 정도는 더 현재상태를 끌고 가야한다고 봤을때

방역 및 경제적 스트레스를 한달 더 버틸 수 있을까요?


만일 한 달만 버티면 확실히 전쟁을 끝낼 수 있다는 분명한 확신만 있다면 버틸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를 위해 경제약자들을 위한 지원, 기존의 허접한 한국의 사회안전망에도 절대 놓치지 않을 강력한 지원대책이 나와 준다면 말이죠.

하지만 다시 앞으로 석 달 이상, 아니 언제 끝날지 모를 싸움이라고 한다면.... -_-;


아직 무엇 하나 확실한 것이 없는 신종 전염병이지만 

정부에서는 이제는 국민들에게 분명한 스케줄을 제시해야할 거 같아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5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90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60
112149 여러분은 라면 먹다 콧물 떨어지면 어떻게 하세요 [5] 가끔영화 2020.04.22 407
112148 힘들면 도망쳐 - 일본 의료관계자의 절규 [5] 가라 2020.04.22 828
112147 제가 본 듀게 글삭튀 최고봉 [37] 데메킨 2020.04.22 2161
112146 다소 과대평가 배우들 [17] tomof 2020.04.21 1564
112145 [바낭] 이승환. 늘금. 어떻게 사랑이 그래요. [13] 로이배티 2020.04.21 764
112144 요즘 들어 생각하는 홍상수 영화의 제목들 [4] 예정수 2020.04.21 1023
112143 그때 [12] 은밀한 생 2020.04.21 700
112142 끝없이 인터넷을 배회하는 일로 부터 벗어나기 [4] 가끔영화 2020.04.21 666
112141 듀나인] PPT 작성시 텍스트 고정 [10] 산호초2010 2020.04.21 2848
112140 김정은이 수술후 위중하다는 뉴스가 뜨네요 [5] 산호초2010 2020.04.21 1324
112139 Cillian Murphy가 너무 좋아요 [21] 어디로가야하나 2020.04.21 984
112138 이런저런 일기...(운동) [2] 안유미 2020.04.21 471
112137 [바낭] 온라인 개학과 직장 풍경 [17] 로이배티 2020.04.20 1248
112136 코로나 시대의 의외의 개인적 긍정적 효과 [8] 예정수 2020.04.20 1361
112135 5월에 볼 영화도 전시도 찾기가 힘드네요. [8] 산호초2010 2020.04.20 682
112134 매우 안 좋은 뉴스 - 채널 A, TV 조선, 재승인 .... [6] ssoboo 2020.04.20 907
112133 [정치바낭] 미래가 없는 미래통합당... [9] 가라 2020.04.20 1052
112132 좋은 소식! - 아동성착취범 손정우 미국에 수출 결정! [10] ssoboo 2020.04.20 1248
112131 [넷플릭스바낭] 2014년 가렛 에드워즈 버전 '고질라'를 봤습니다 [22] 로이배티 2020.04.20 562
112130 멋진 하루를 보고(feat.하정우) [2] 예정수 2020.04.20 68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