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 횡령

2020.05.19 10:46

가라 조회 수:1036


1.

가계부 잘 쓰시나요?

열심히 쓰고는 있는데 항상 금액이 안 맞습니다.

대부분의 소비 통로인 카드는 괜찮아요. 빼먹어도 나중에 청구서 날아오면 뭘 뺴먹었는지 알 수 있으니까.

그런데, 가끔 쿠팡이라고 적혀 있는데 쿠팡에서 뭘 샀는지 기억이 안나면 쿠팡 들어가서 그날짜에 뭘 샀나 확인해야 합니다.


문제는 현금이죠. 분명 지갑에 10만원을 넣어놨는데 지금 지갑이 텅...

그리고 가계부에는 2만원만 적혀 있습니다.

8만원은 어디다 쓴걸까요..?

이런식으로 자잘하게 현금 나가고 어디다 썼는지 기억이 안나서 월말에 '현금정산'이라고 적는게 매달 반복됩니다.


가끔 내가 적은 카드 사용 금액보다 청구서가 덜 나올때가 있는데, 그럼 뭘 잘못 적었는지 찾아야 합니다.

빼먹은거 보다 더 골치아픔... ㅋㅋㅋ


가계부 쓰는 것의 목적은 얼마나 들어오고 나가는지 파악해서 '계획적 소비/저축'을 하는 거라는데..

가계부를 쓰기만 하고 계획을 안세우니 이게 무슨 소용인가 싶기도 합니다.



2.

개인 돈도 이렇게 복잡한데 회사돈은 더 복잡하겠죠.

예전에도 한번 쓴적이 있는데, 예전 회장 있을때는 '대놓고 구멍'이 있었습니다. 회장 비자금 통로였죠.

사내 네트워크 없는 말단 대리인 제가 알 정도로 소문이 파다했지만 회장 쫒겨나기 전에는 한번도 문제가 된적이 없었습니다. 

대체 회계법인들은 어딜 보고 감사를 한건지... ㅋㅋㅋ

그외에도 크고 작은 구멍들이 있었다고 합니다.


저희 팀은 접대비가 있었어요. 그런데, 이 접대비를 우리끼리 회식할때도 썼었습니다. 처음에는 왜 접대비를 우리끼리 쓰지.. 하는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팀 회식비 얼마에 접대비 얼마해서 다른 팀보다 회식비가 풍족(?)했는데...저는 회식을 안 좋아하거든요. 

하여튼 접대비는 남기면 내년 예산 편성때 안주거나 줄어드니까 다 쓰라고 해서 외부손님 만날 일이 없을때도 꼬박꼬박 썼네요.

지금은 접대비가 없어졌습니다. 새 회장이 오면서 접대비 다 없애고 접대를 하면 사후 품의를 받으라고 했거든요.

이러니 회식비로 쓸수가 없죠.


과연 회계팀에서 접대비를 회식비로 쓴다는 것을 몰랐을까요? 그럴리가... 그냥 관례였던거고 '필요한 구멍'을 유지하기 위해 눈감은거였겠죠.

새 회장 오고나서 돈 소문에는 전임 CEO 법카는 제한이 없었는데 나가는 걸로 결정나고 남은 2개월동안 3천 긁고 나가셨다고..(....)

두달동안 어디가서 긁으면 3천이 긁어지는지...

CEO 랑 COO, CFO 법카는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처리해주는게 관례였다고 합니다.


지금은 접대비 법카 긁으면 가끔 연락옵니다. 왜 쓴거냐고... 만약 반려 당하면 사비로... (...)



3.


지금 다니는 회사를 얼마나 다닐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하반기에 조직개편(또?!) 하면서 물갈이가 있을거라고 하는데...

저도 이제 팀장을 달았으니, 어디 갈데 없으면 나가야 하거든요. (...)


회장 아들이 하는 얘기를 들었는데... '내보낼려면 일찍 내보내야 자기 인생을 새로 시작하지 나이 먹어서 40대 후반, 50대에 나가면 뭐하고 사냐.. 빨리 내보내는게 낫다' 

그래서 다른 계열사는 팀장/임원들이 젊답니다. 

저희는 부장 달려면 40대는 되어야 하고 임원은 50 전후나 되어야 달거든요.


나갈때 나가더라도 남이 잘못한거 옴팡 뒤집어 쓰고 쫒겨나지나 말았으면 하네요.


몇년전에 퇴직한 부장님이 중국쪽에 3년 계약으로 6억 받기로 하고 갔다가 2년 못 채우고 돌아왔다던데.. 그래도 몇억 받으셨으니 만족하신답니다. 

부럽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8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5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09
112693 블랙미러의 닥치고 춤 춰라 에피소드 생각나세요? (스포有) [2] Lunagazer 2020.07.07 758
112692 오늘의 일기...(열차) [2] 안유미 2020.07.07 302
112691 두배우 누구일까요 [2] 가끔영화 2020.07.06 283
112690 [코로나바낭] 확진자 확인 및 재택근무 [5] 쏘맥 2020.07.06 486
112689 [광고?바낭] 트윈픽스 시즌3을 보고 싶어하셨던 kurtgirl님!!! [2] 로이배티 2020.07.06 391
112688 아까 어디 갔다 오다 가끔영화 2020.07.06 248
112687 [넷플릭스바낭] 일본 영화 '룸메이트'를 보지 마세요 [9] 로이배티 2020.07.06 1817
112686 저탄고지 다이어트: 5주차 [8] MELM 2020.07.05 752
112685 [넷플릭스바낭] 넷플릭스 오리지널로 나온 주온 신작 '주온: 저주의 집'을 보았습니다 [2] 로이배티 2020.07.05 933
112684 사회적 거리두기 덕에 책과의 거리가 줄어들었다는데 [3] Bigcat 2020.07.05 590
112683 AOA 괴롭힘 논란과 연예계의 끝 [4] 예상수 2020.07.05 1138
112682 검찰이 사법부에서 독립된 기관이라는 것은 도대체???? [34] 산호초2010 2020.07.05 1167
112681 [EBS1 영화] 페이스 오프 [12] underground 2020.07.04 576
112680 아이즈 와이드 셧에 대한 잡담.스포일러 하워드휴즈 2020.07.04 468
112679 (바낭) 오래된 피아노의 거취 문제, 우쿨렐레 연습 [7] 보들이 2020.07.04 528
112678 [천기누설] 10화 - 여VS야 협치게임 2라운드 - 공수처! [1] 왜냐하면 2020.07.04 379
112677 [넷플릭스바낭] 프랑스제 '스티븐 킹 호평' 스릴러 '사마귀'를 보았습니다 로이배티 2020.07.04 621
112676 [펌] 직장생활 능력자 [18] Bigcat 2020.07.04 1400
112675 금요일, 아지트 계획 [1] 안유미 2020.07.04 403
112674 인생은 박지원처럼 [1] 타락씨 2020.07.04 7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