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어느날 밤, 한 어린 여자아이가 자다 말고 엉엉 울었어요. 그녀의 어머니가 아이를 안아주며 왜 우냐고 물어보자 어린아이는 모두가 죽을 거고 자신조차도 죽어버릴 거라는 생각을 하니 너무 슬퍼져서 울었다고 말했어요. 그녀의 어머니가 아이를 다독이며 자고 일어나면 다 괜찮을 거라고 말해줬고 어린아이는 잠에 들었어요.


 아이가 다음날 일어나자 맛있는 아침식사가 차려져 있었고 그 아이는 어젯밤 했던 무서운 생각을 잊어버리고 다시 잘 살았어요.


 

 2.이 이야기에서 알 수 있는 건 여자아이의 어머니가 딸아이를 속였다는 거예요. 그야 그건 합리적인 것이겠죠. 죽음에 대한 생각에 빠져버리면 오늘 마주해야 할 하루를 제대로 살아낼 수 없으니까요.


 그러나 죽음은 어쩔 수 없이, 시시각각 다가오고 있는 중이예요. 그 사람이 그걸 잊어버렸든 말든간에요.



 3.이 글을 읽는 사람들 중엔 죽음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 사람도 있겠죠. 죽음에 대해 잊어버린 사람도 있을 거고 죽음이 이젠 별로 무섭지 않은 사람도 있을거예요.


 하지만 무서운 건 이거예요. 당신이 죽음에 대해 의연해졌든, 초연해졌든, 별 상관 없어졌든간에 죽음은 곧 끝이라는 거죠. 죽음에 대해 의연할 수 있는 것도 살아 있으니까 가능한 거니까요. 죽음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졌던간에 죽으면 완전히 끝...1억년이 지나든 10억년이 지나든 100억년이 지나든 다시는 깨어날 수가 없는 거예요. 어떤 경지에 도달했건 어떤 깨달음을 얻었건 말이죠.


 죽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사실 그래요. 왜냐면 죽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조차 살아 있으니까 할 수 있는 거니까요.



 4.휴.



 5.나는 지난 10년동안 열심히 놀았어요. 일찍 결혼한 사람은 이제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아이가 있을 나이인데...어쨌든 놀고 있었죠. 그리고 나이에 맞지 않게 사는 것도 일종의 광증이라고 생각해요. 그 덕분인지 지난 10년간은 죽음의 공포에서 꽤 떨어져서 지낼 수 있었어요. 일종의 광기가 죽음에 대한 걱정과 공포를 잊게 만들어 준 거죠.


 하지만 요즘은 노는 걸 줄이고 작업을 하기 시작하니 다시 죽음에 대한 공포가 밀려오고 있어요. 예쁜 여자와 만나서 그녀가 배시시 웃는 얼굴을 보여줘도 어차피 이 모든게 끝나버릴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피트니스에서 운동을 할 때도 헛된 노력같다는 생각이 들곤 하죠.


 예쁘고 어린 아이돌들의 사진을 보거나 움짤을 봐도 오히려 점점 공포감이 강해져요. 죽음이 저런 아름다운 것들을 다 앗아갈 수도 있을거라는 생각을 하면요.


 물론 죽음에 대해 잊어버리려면 잊어버릴 수도 있어요. 하지만 1초만 죽음에 대한 생각을 멈추면 1초 뒤에 다시 죽음에 대한 생각이 드는 거죠. 지금도 죽음이 다가오고 있을 수도 있는데 괜히 죽음에 대한 걱정을 멈추는 건 너무 안이한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요.



 6.왜냐면 어떤 정신승리를 하든, 어떻게 마음을 먹든간에 결국 죽을 수도 있을거라는 생각을 하면...죽음에 대한 생각을 그만두는 것 자체가 정신승리를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거든요. 정신승리를 하는 것도 살아 있으니까 하는 거니까요. 죽음에 대한 생각을 그만둬선 안될 것 같아서요.


 이럴 거면 차라리 다시 술집에 놀러다니면서 미친 듯한 생활을 하던 시절로 돌아가는 게 행복하지 않나...싶은 생각을 하기도 해요.



 7.오래 전에...약 6년 전에 듀게에 냉동인간에 대해 쓴 글을 읽었어요. 냉동인간이 되는 계획은 당연히 죽음을 피하기 위해서죠. 한 100년 뒤에 깨어나면, 뇌를 다른 몸으로 옮겨 이식하는 기술이 분명 있을 거니까요. 


 그 글은 '냉동인간이 되려던 계획을 그만두고 요즘 열심히 놀러다니니 재미있다.'라고 끝나고 있는데...글쎄요. 문제는 이제는 그렇게 사는 것도 재미가 없어요. 다시 미친듯이 술퍼마시고 여자를 따라다니는 걸로 잊어버린다 해도...또다시 몇년 지나면 나는 정신을 차리고 다시 죽음을 무서워하고 있을 거니까요. 어쨌든 열심히 살고 싶어요.





 -----------------------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이 너무 걱정할까봐 약간 더 써봐요. 이런 생각이 들 때마다 레이 커즈와일의 문서나 특이점, 노화 방지에 대한 연구를 보면서 마음을 다스리곤 해요. 어쨌든 오늘 당장은 열심히 살아야 하니까요.


 한번 나자신과 약속해보는 방법도 좋겠죠. 딱 20년만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는 걸 잊어버리고 열심히 살자고요. 노화나 불로장생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들은 그 20년동안 열심히 연구할 거니까요.


 어쨌든 진시황이나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나 루이 15세보다는 내가 죽음을 이겨낼 가능성이 있는 거잖아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90
112830 반티가 뭔지 학부모님만 알듯 [5] 가끔영화 2020.07.16 552
112829 골고루 쏟아지는 2차가해 [48] 메피스토 2020.07.15 2170
112828 김봉곤의 소설을 읽고서..추천해주세요... [4] SykesWylde 2020.07.15 939
112827 그런데 박원순이야 친노 친문들한테도 인기없고 여권지지자들한테도 인기 없는데 [11] 잘살아보세~ 2020.07.15 1568
112826 [바낭] 피해호소인, 민주당, 미통당... [2] 가라 2020.07.15 885
112825 재회와 갱신, 상냥함과 친절함, 작가의 꿈 [1] 안유미 2020.07.15 499
112824 펜스룰,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35] Sonny 2020.07.15 1351
112823 해결의 의지가 없는 더민주 [6] Sonny 2020.07.15 907
112822 위키드 라이센 공연 오디션 떴네요 어휴..이게 몇년만인지 [4] 얃옹이 2020.07.15 433
112821 스마트폰으로 영상 찍을때 쓸 붐마이크 좀 추천해주세요 [2] 하마사탕 2020.07.15 500
112820 몇몇 깨어있는 시민들의 판단 중지 [11] 타락씨 2020.07.15 1130
112819 박원순의 상습적인 성추행 사례가 ‘미필적’으로 폭로 되었어요 [21] ssoboo 2020.07.15 2318
112818 미투는 확고한 거의 역사적 방향이라 박시장에 대한 인간적 배려도 [6] 가끔영화 2020.07.14 843
112817 일이 돌아가는 꼬락서니 [5] 메피스토 2020.07.14 843
112816 <살아있다> 보고 왔습니다 (스포) [2] Sonny 2020.07.14 660
112815 고소전에 젠더특보에게 보고를 받으셨군요. [26] Lunagazer 2020.07.14 1866
112814 팬텀싱어3, 콘서트 표 못구했어요..... 그리고 몇가지. S.S.S. 2020.07.14 315
112813 중립과 양립의 판타지 [7] Sonny 2020.07.14 617
112812 영화 세 편 [6] daviddain 2020.07.14 516
112811 박원순에 대한 믿음과 실망 사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민주’ 에게 [7] ssoboo 2020.07.14 134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