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저리> 어 누나, 깜박거리다는 동사에 대해 물어보고 싶은데.
머저리누나> 뭐?
머저리> 깜빡거린다는 건  binary code를 사용한다는 뜻이잖아
머저리> 눈을 감았다 떴다 하는 것이 반복되거나 빛이 켜졌다 꺼졌다 반복되거나 기억이 그렇게 오락가락하거나...  
머저리> 아무튼 개폐나 명멸이 이루어지는 상태인 거잖아?
머저리누나> 또박또박 잘 이해하고 있구만 웬 질문?

머저리> 눈이 깜박거리고 빛, 기억이 깜박거리는 건 다르게 정의해야 할 부분인 것 같아서.... 설명 좀 부탁함.
머저리누나>(한숨) 눈이 깜빡거리는 건 '나'라는 주관이 세상을 그렇게 open/closed로 단속화 하는 거고
머저리누나>, 빛이 깜빡거리는 건 객관세계의 풍경이 light/dark로 단속화하는 거라는 뜻이지. 주관과 객관의 차이.

머저리> 심쿵 (누나 짱!)
머저리누나> 야! 그 동사가 너한테 의미있게 어필한 계기는 알려줘야지.
머저리> 개와 늑대의 시간에 관한 글을 읽는 중인데 글 중에 깜박거리는 시간대를 인지하게 되는 순간에 대해 적은 부분이 있어서 말야.
머저리> 인간이 '개와 늑대의 시간'이라는 zone에 걸릴 때, 발동되는 원초적인 두려움에 대해 쓴 게 인상적이서 말야.
머저리누나> 책 제목을 알려주렴.
머저리> 페이스북 친구가 페이스북에  블라블라 쓴 글이야. 미국인.
머저리>누나가 몇마디 짚어주니까 도움이 되네.  깜빡거린다는 건 지금껏 유지되어온 마비적 현실이 개폐와 명멸에 의해 흔들리게 된다는 뜻에 다름 아닌 거네.
머저리누나> @@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