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광고 콘셉트를 잡느라 동료들의 추천 수가 가장 많았던 <광란의 사랑>을 다시 봤습니다. 세 번째 보는데 신기한 경험을 했어요. 데이빗 린치 감독의 작업 컨벤션이 이 작품 속에 매우 친절하고 대중적인 방식으로 농축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영화평론가들이 공통으로 말하길 데이빗 린치는 영화에서 미학적으로 가장 멀리 나간 감독이라죠. 저는 그의 영화에 심취한 마니아는 아니지만 그의 모든 작품을 진지하게 독해해왔습니다. 그랬던 이유는 단순해요.  그의 영화는 쉽게 해독되지 않는 작품들이었기 때문입니다. - -

그의 이야기 서술 방식은 저의 영화 보는 방법을 교정시키는데 일조했습니다. 반복해서 등장하는 독특한 클로즈업의 그의 취향, 거친 편집  등등 독특한 개성의 지문들이 가득했어요. 가령 <로스트 하이웨이>와 <멀홀랜드 드라이브>는 쌍생아라고 할 수 있고 <블루 벨벳>과 <트윈 픽스>는 피를 나눠가진 가족 같아 보였어요. 하지만 감상 후 그의 작품들을 명쾌하게 해명하는건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곤 했죠.. 엘리펀트맨>과 <스트레이트 스토리>는 제외합니다. 두 작품은 선명했어요.

아무튼 새벽에 이 영화를 다시 보면서, 데이빗 린치가 나이브하게 자신의 정체를 노출할 때도 있다는 사실을 '캐치'했습니다.  그리고 비로소 그의 작품 세계가 그렇게 심각한 것만은 아니라는 결론을 얻었달까요. <로스트 하이웨>]나 <멀홀랜드 드라이브>의 심장부에 도사리고 있는, 맥락없는 변신의 현실화에 대한 문제를 해명하는 열쇠가 이 영화에 있었습니다. 

이 영화는 빅터 플레밍의 <오즈의 마법사>가 데이빗 린치의 모든 작품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상기시켰습니다. 어쩌면 '오즈'가 보여준 변신이 이 감독에게 어떤 영화적 영감으로 자리잡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무튼 제가 알게 된 것은, 변신의 현실화에 있어서 데이빗 린치의 생각이 비현실적인 것만은 아니었구나 라는 것입니다. 

"내 개는 잘 짖지. 지금 그 개를 상상한다고 해도 너희는 가질 수가 없어. 내가 그럴 줄 알고, 개의 종류만은 알려주지 않은 거야. 지금 너희는 <오즈의 마법사>에 나오는 개 토토를 연상할런지도 몰라. 하지만 내 개는 충실해서 오직 나만을 따라. "
로켓 기술자인 노인이 세일러와 룰라에게 하는 이 대사. 제 생각엔 이 우스꽝스런 대사에 데이빗 린치의 영화 포인트가 적나라하게 노출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상상만으로 소유할 수 있다'라는 것! 상상하는 것 자체가 영화적 현실을 뒤흔들 수 있다는 것! 이것이 그의 영화들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는 시공의 현실을 해명할 수 있는 유일한 열쇠가 아닐까 싶습니다.

데이빗 린치 영화의 시공간이 뒤틀려서 생성되는 전혀 이질적인 세계로의 변화는, 결국 상상적인 우주의 데칼코마니인 것 같아요.. 그것은 어느 한쪽이 현실이라면 다른 한쪽은 자연스럽게 상상이라는 것으로 낙착됩니다. 저는 그동안 데이빗 린치의 작품세계를 니체의 영원회귀처럼 어떤 거대한 우주론적 기획으로 생각해왔어요. 그 짐작이 첫 단추를 잘못 잠근 것처럼 그의 작품에 대한 저의 이해를 계속 어긋나게 했던 것 같습니다.

그는 미국 중산층의 deranged된 내면을 극단적인 불안심리에 근거해서 절묘하게 해부해냅니다.. 그러나 그 내면의 흔들림이 낳는 또 다른 시공의 세계, 설명할 수 없는 모순으로 가득찬 세계는 상상이자, 상상으로서의 또 다른 현실이라고밖에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에요.. <로스트 하이웨이>에서 두통이 일 것 같던 거대한 변신의 뫼비우스 드라마가 그러하고, 화해할 수 없는 두 버전이 한 영화 속에 훌륭히 동거하고 있는 <멀홀랜드 드라이브> 역시 그러합니다. 그 사이 사이에는 엄청난 틈이 빙하의 크레바스처럼 존재하며, 그 틈새의 심연이 입을 벌리고 관객들을 모조리 삼켜버려요. 

그 심연에 빠지더라도 정신을 놓치 않으면 데이빗 린치의 세계를 정관할 수 있는 것일까요? 장담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그의 세계는 누가 친절한 해답을 내놓는다고 해서 무너질 허약한 세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과문한 탓인지 여지껏 데이빗 린치에 관한 엄밀한 작가주의 연구서를 접해보지 못했어요.)

그렇다 해도, <Wild at heart>은 그가 던지는 모든 문제의 단초들을 품고 있는 나이브하면서도 솔직한 텍스트라는 것이 저의 감상입니다. <스트레이트 스토리>를 제외한 그의 나머지 모든 작품들이 결국 <Wild at heart>의 욕망의 궤적, 그 물질적인 징후 속에서 해독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성마른 생각마저 듭니다. 제 기억으론 그의 후기 작품들은 <오즈의 마법사>에서 받은 원천적인 영향력을 많이 퇴색시키거나 내면화하므로서 모호해진 듯해요. 그러나 <오즈의 마법사>로 환원하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길도 어딘가에 있을 것이에요. 그 길을 발견하기를 그가 (곁묻어 저도!) 발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9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5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19
113278 마이클 잭슨 생일 [4] daviddain 2020.08.29 479
113277 그들은 왜 마이크를 놓지 못하나(전광훈, 신혜식, 주옥순) [2] 왜냐하면 2020.08.29 838
113276 [근조] 배우 신국씨... [4] 영화처럼 2020.08.29 741
113275 Chadwick Boseman 1976-2020 R.I.P. [8] Toro 2020.08.29 859
113274 새벽3시에 조국딸에게 사과문 올리는 조선일보 ( 척척석사도 보시길) [6] 사막여우 2020.08.29 1693
113273 2.5단계 발령과 다음 주 계획... [1] 안유미 2020.08.29 654
113272 나만큼 울지 않기를 [3] 정해 2020.08.29 672
113271 코로나 잡담 [7] 메피스토 2020.08.28 828
113270 코로나 상황이 생각보다 더 심각해 보입니다. [4] 분홍돼지 2020.08.28 1318
113269 메시가 epl로 갈까요 [6] daviddain 2020.08.28 584
113268 내가 낸 세금이 이런데 쓰이다니 [15] Lunagazer 2020.08.28 1458
113267 세계에서 욕이 가장 발달하고 + 욕을 가장 금기 처럼 하는 나라 [36] tomof 2020.08.28 2134
113266 안되는 줄 알면서 해보는 잡담 [9] 타락씨 2020.08.28 790
113265 [Wave] 매그넘 P.I 시즌 1-2, 도시 전설의 여자 시즌 1 가라 2020.08.28 661
113264 머저리와의 카톡 10 (니가 인기 없는 이유) [14] 어디로갈까 2020.08.28 943
113263 부모님이 많이 아프신데 [7] 지금만 2020.08.28 978
113262 오늘의 일기...(관계의 유지) [1] 안유미 2020.08.28 438
113261 <반도> 보고 왔습니다 [7] Sonny 2020.08.28 679
113260 테넷-스포일러라고 할 것도 없지만 [9] 메피스토 2020.08.27 909
113259 [넷플릭스바낭] 넷플릭스의 은밀한 화제작(?) '365일'을 봤습니다 [22] 로이배티 2020.08.27 154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