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봤던 자료 중 연애/데이트 문화와 결혼 문화가 각 성별에게 얼마나 각 공정한지 물은 설문이 있었어요.

예상은 했지만 실제 결과를 보니 참 답도 없더라고요. 


5점 척도로 물은 질문이지만, 보기 편하게 3점 척도로 이야기해보면,


먼저 연애/데이트의 경우, 

대략 여성은 40%가 공정하다, 40%가 여성에게 불리하다, 20%가 남성에게 불리하다고 답변을 했어요.

39세이하와 50세 이상으로 나누어서 봤는데, 둘 간에 거의 똑같더라고요. 


남자의 경우가 놀라운데, 50세 이상의 남성의 경우, 50%가 공정하다, 15%가 여성에게 불리하다, 35%가 남성에게 불리하다고 했어요.

반면 39세 이하 남성은 공정하다 25%, 여성에게 불리하다 10%, 65%가 남성에게 불리하다고 답변을 했습니다. 

장년층 이상의 남성들이 연애/데이트가 그래도 양성 간에 공정하다고 생각했던 것에 비해, 젊은 남성들은 압도적으로 자신들이 불리하다고 생각해요. 


다음으로 결혼문화에서는,

여성은 공정하다에 25%, 여성에게 불리하다에 60%, 남성에게 불리하다에 15%가 답변했어요.  

여기서도 여성은 39세 이하와 50세 이상 간에 큰 차이는 없어요(39세 이하에서 약간 더 자신들이 불리하다고 인식합니다).


50세 이상의 남성은 40%가 공정하다, 25%가 여성에게 불리하다, 35%가 남성에게 불리하다고 답했어요.

역시나 놀라운 건 39세 이하 남성인데, 공정하다가 25%, 여성에게 불리하다가 10%, 65%가 남성에게 불리하다고 했습니다.

여기서도 젊은 남성들의 인식 변화가 눈에 들어오네요. 



대충 평균점수로 바꿔서 1점이 여성에게 매우 불리, 3점이 공정, 5점이 남성에게 매우 불리면,


연애/데이트 문화에서 

50세 이상 여성: 2.76 / 39세 이하 여성: 2.83  //  50세 이상 남성: 3.24 / 39세 이하 남성: 3.81

결혼 문화에서 

50세 이상 여성: 2.54 / 39세 이하 여성: 2.35  //  50세 이상 남성: 3.18 / 39세 이하 남성: 3.80  입니다.



충격적일 정도로 50세 이상에 비해 39세 이하 남성들에게서 연애/데이트와 결혼 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 좋아졌어요. 

장년 남성들이 연애와 결혼을 두고, 그래도 이 정도면 공정하지, 이랬다면, 

젊은 남성들이 연애와 결혼 모두가 자신들이 손해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는거죠.  


더해서 결혼문화에서는 젊은 여성들도, 장년 여성들에 비해 자신들이 더 불리하다고 생각해요. 

그 결과, 예전 세대의 양성 간 차이가 0.64 였던 것에 비해, 요즘 세대는 1.26으로 두배로 벌어졌습니다. 

양성 모두 청년세대들이 결혼에 있어 자신의 성별이 더 불리하다고 생각한다는 거죠.


인식이 행동을 설명하는 전부는 아니지만 그래도 인식이 이 지경이니, 혼인율이 감소하는 것, 그리고 혼인 연령이 늦어지는 것도 당연하겠죠. 

한국 같이 혼인 이외의 경로를 통한 출생이 어려운 사회에서 혼인 연령이 늦어지고, 감소하면 출생율도 감소 할 수밖에 없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2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2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54
113992 한국시리즈 4차전 [69] daviddain 2020.11.21 380
113991 디지털 페인팅 4 & 5 [4] 샌드맨 2020.11.21 252
113990 머저리와의 카톡 11 (미남왕자 소개) [7] 어디로갈까 2020.11.21 598
113989 상담에서 만난 잊을 수 없는 사람 [7] 산호초2010 2020.11.20 884
113988 한국시리즈 3차전 [23] daviddain 2020.11.20 398
113987 '미스터 노바디'란 영화 봤습니다.(소개하기 위한 약스포) [8] forritz 2020.11.20 504
113986 끝없는 사랑같은 건 물론 없겠습니다만 [11] Lunagazer 2020.11.20 856
113985 홍세화 칼럼 '우리 대통령은 착한 임금님' [52] forritz 2020.11.20 1681
113984 [웨이브바낭] 에이드리언 라인, 제레미 아이언스의 '로리타'를 봤습니다 [28] 로이배티 2020.11.20 975
113983 아르헨티나의 거장, 페르난도 솔라나스 감독님에 관한 개인적인 추모글 [1] crumley 2020.11.20 330
113982 창작, 빙수샴페인, 불금 [1] 여은성 2020.11.20 363
113981 카렌 카펜터 노래를 듣다가 [8] 가끔영화 2020.11.19 532
113980 ‘간 큰 검찰’ 윤석열의 ‘위험한 직거래’ [3] 왜냐하면 2020.11.19 666
113979 시민 케인의 영화 맹크를 보고(스포 있음) 예상수 2020.11.19 433
113978 영화 강박충동 daviddain 2020.11.19 442
113977 [바낭] 저는 3개월 진행하던 프로젝트가 무산될 위기에 처한 책임자입니다. [9] chu-um 2020.11.19 1043
113976 우울증 환자는 이 사회에서 어떤 반응을 받게 될까요? [38] 산호초2010 2020.11.19 1382
113975 오늘 부동산 정책이 나왔군요 [7] 모스리 2020.11.19 929
113974 산호초2010님을 비롯한 게시판 몇몇 분들께 사과드립니다 [8] 예상수 2020.11.19 1125
113973 [웨이브바낭] 검색하기 참 어려운 제목의 영화, 귀신이야기(2017)를 봤습니다 [3] 로이배티 2020.11.19 39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