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일리어니스트 2 에  목격자 혹은 피해자의 왜곡되거나 불완전한 기억을  온전하게 되살리기 위해 ‘최면요법’을 사용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피해자의 트라우마가 너무 심각하여 그림 그리기를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로 합니다.  

 

 다른 정신분석학 교수가 “그림 그리기는 ‘최면’ 상태와 유사하죠” 라며 닥터 크라이슬러를 격려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대사 하나가 기억의 저 어두운 구석에 조명탄을 펑 하고 터트렸어요.


 무언가 제대로 그리기 시작하여 완성을 해본 것이 대학수업 시간을 제외하면 중학교가 마지막이었던거 같은데 

 그 뒤로도 살면서 일하면서 ‘낙서’를 멈춰 본 적이 없었던거 같아요. 

 

 회화를 전공한 측근은 ‘낙서’를 ‘브레인 스토밍’ 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는데  창의적인 생각을 방해하는 딱딱한 의식상태를 잠시 중지시키고

 정돈되지 않은 창의적인 사고를 끌어내기 위한 전단계 - 유사최면상태 - 에 빠지게 해주는 아주 간편하고 효율적인 도구라고 하는군요.


 한편, 어린 시절을 떠 올릴적에 그림을 그리던 느낌이 따스한 온도와 눈부신 밝음으로 남아 있던 이유도 짐작이 되요.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하니 기분이 좋았던 것만이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시간이 ‘최면’상태 혹은 일종의 환각 상태였다는 거자나요.

 

 

 2.

 그러고 보니 ipad 로 일한 뒤부터 종이와 연필을 멀리하게 되버렸어요.

 특히 ipad pro 이후에는 종이 사용량이 확 줄어 들었죠.  


 그런데 작업은 더 효율적이고 속도도 빨라졌지만 그만 ‘낙서’를 잃어 버렸군요. 

 종이와 연필만 있으면 시도 때도 없이 하던 낙서를 왜 ipad 에서는 안하게 된 것일까요? 

 사실 몇 번 시도를 해보기도 했는데 매번 실패했어요. 

 널리 쓰이는 드로잉 유료app 도 시도해봤는데 너무 번거롭더군요.  


 메인 작업 화면 중에 조그만 화면을 멀티로 띄워 낙서할 수 있는 기능이 생긴다면 왠지 다시 낙서를 쉽게 잘 할거 같은 생각이 들긴 합니다만....

 디지탈 영역에서 아날로그를 따라갈 수 없는 영역을 또 하나 발견한거 같아요.


 본디 낙서란 각 잡고 종이 한 장 마련해서 하는게 아니라  교과서의 여백과 귀퉁이에 해야 맛이 아니겠습니까. 



 3.

 그래서 고민을 했어요.

 다시 이미 여러번 시도했으나 실패했던 ipad 에서 낙서를 쉽게 하는 버릇 혹은 방법을 찾아볼 것이냐

 아니면 다시 종이와 연필을 늘 옆에 두고 살것이냐

 아니면 낙서 말고 아예 시간을 잡아 제대로 그림 그리기를 해볼 것이냐


 

E7-A829-BA-1711-43-EC-9757-25969-E769-C76

[최근에 새로 친해진 공원냥- 아비시니안과 고등어 태비가 믹스되어 심하게 개냥스러운 아이;   날짜는 11월이어야 했는데 월초에 늘 그렇듯이 실수] 


이런 낙서를 하며 고민을 하다가 문득 iOS 의 번들 그리기 툴이 이미 매우 훌륭해져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결론은 ipad 번들 메모장에 그림 그리기로;  기능이 초 단순합니다.  그리기와 지우기만 가능한거죠. 이게 저에게는 익숙하고 편합니다.


그리고 위 낙서를 다 그리고 나서 생각해봤어요.  

좋아하는 것을 그리면 다시 그림 그리기 습관을 들이는데 유리할테니 나는 고양이를 그리면 되겠네!

그것도 남의 고양이 사진이 아니라 매일 만나다 시피 하는 나의 공원냥 친구들을 그리면 되겠네!

이제 시간이 문제인데.... 6년 넘게 해온 게임 하나만 접으면 해결? 흠....


to be continued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8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3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196
114068 Daria Nicolodi 1950-2020 R.I.P. [1] 조성용 2020.11.27 240
114067 고질라 vs 콩, HBO 서비스 논의 중 [3] 분홍돼지 2020.11.27 441
114066 기네스, 산책 일기, 새벽 광화문 [2] 여은성 2020.11.27 434
114065 눈치의 힘 [12] 어디로갈까 2020.11.27 975
114064 코로나가 걱정되면 검사를 받긴 받아야겠죠?(코로나 공포증) [7] 산호초2010 2020.11.26 688
114063 바낭) 어머니와의 관계 [7] forritz 2020.11.26 630
114062 올해 최고의 작품은? 스트리밍 서비스 작품 중에서요 [20] theforce 2020.11.26 1056
114061 재활용 [4] 채찬 2020.11.26 469
114060 듀나인) 게시판 글 제목 옆에 뜨는 아이콘의 의미가 뭔가요? [4] MELM 2020.11.26 494
114059 잡담 - 집행검, 핀란드수육덮밥 [1] 예상수 2020.11.26 473
114058 수용전념치료 [4] beom 2020.11.26 344
114057 한국의 음식물 쓰레기의 기준 - 동물이 먹을 수 있는 것이어야 [4] tomof 2020.11.26 972
114056 쿠팡에 닌텐도 스위치가 정가에 풀렸네요 [3] 예상수 2020.11.26 529
114055 [영화바낭] 가끔은 최근작도 봅니다. '나이브스 아웃' [14] 로이배티 2020.11.26 638
114054 허경민-KIA, 오재일-삼성, 최주환-SK '루머는 모락모락' daviddain 2020.11.26 218
114053 [속보] 성착취물 제작·유포 '박사방' 조주빈 1심 징역 40년   [13] 분홍돼지 2020.11.26 853
114052 이종범 LG 코치로 복귀 [6] daviddain 2020.11.26 348
114051 영어유치원... 학군... [23] 가라 2020.11.26 984
114050 코로나, 조여오는.. [5] 칼리토 2020.11.26 534
114049 디에고 마라도나 사망 [5] 밀키웨이 2020.11.26 59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