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에서 어설프게 만든 달걀볶음밥 동영상을 올렸다가 쌀밥을 주식으로 먹는 아시안의 공분을 산 적이 있죠.

쌀을 물에 삶아서 채에 걸렀기 때문인데요. 쌀을 파스타 취급했던 모양입니다.

(잠시 딴 말인데 이탈리안들은 스파게티 면을 잘라서 삶는 걸 보면 삶은 쌀을 채에 거르는 걸 본 아시안들처럼 분개한다고 하지요 ㅎㅎ)

이 동영상의 리엑션으로 한국웹에까지 알려진 엉클 로저(본체는 말레이시아계 화교인 영국 코미디언 나이젤 응입니다)는 이후로도 어떤 동영상에서나 전기밥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쌀에 익숙하지 않은 서양인들이여 엉뚱한 짓 말고 전기밥솥이나 사라!! 이거죠. 


바로 그 전기밥솥 이야기에요.

물론 동남아와 동북아에서 선호하는 쌀이 다르고 원하는 조리의 상태도, 따라서 전기밥솥의 방식도 조금 다를 것 같기는 하지만

전기밥솥이 효율적인 도구인 점에는 모두 동의할테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전기밥솥에 보관한 밥에 대한 이미지는 예전과는 위상이 많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어렸을 때는 밥 먹고 싶으면 밥솥 열어보면 늘 밥이 얼마간 들어 있었고 이걸 떠서 반찬에 먹든 반찬이 없으면 달걀이라도 풀어서 볶아먹든 했단 말이에요.

그런데 어라? 나이 들어서 살림을 직접 하게 되고 보니 밥솥에 막 한 밥에 비해서 보관된 밥은 현저하게 맛이 떨어집니다. 

전기밥솥 기술이 예전만 못해졌을리는 없는데 왜 그럴까요? 물론 우리의 입맛 수준이 그만큼 높아져서일 수 있겠지요. 

혹은 늘 그럭저럭 괜찮은 상태의 밥을 먹을 수 있도록 불철주야 살피고 고생하신 어머니의 덕일 수도 있겠고요. 

여하간 요즘은 보온 기능으로 보관된 밥을 다들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밥을 자주 먹지 않는 싱글 가구 혹은 바빠서 집에서 밥 먹을 일이 적은 가정에서는 소분 냉동이 하나의 팁을 넘어서 이제는 부엌 살림의 지침으로까지 자리잡은 듯 합니다. 

락앤락 같은 밀폐보관용기 회사에서는 밥 냉동용 그릇을 따로 만들어 팔고 있고요.

저는 냉동밥을 간편하게 해동할 수 있는 설비가 없어서 냉동하진 않지만(냉동실에 자리도 없고) 

오래 둔 밥은 마르고 맛이 없으니까 보통 하루 이상 지난 경우에는 보온을 끄고 찬밥 상태로 놓아둡니다. 


겨울에는 그 방법이 그럭저럭 통해요. 그런데 보온으로 하면 맛이 없어질지언정 어느 정도는 유지되는 밥이 보온을 끄면 상하기 시작하더라고요.

하긴 모든 음식은 막 만든 직후부터 조금씩 상하기 시작하는 거고 먹어도 괜찮은 수준으로 상한 것까지 먹고 그 선을 넘으면 버리는 거라고는 하지요.

아무튼 보온을 끄고 그대로 밥통에 둔 밥에는 곰팡이가 잘 생깁니다.

재밌는 것은 단순히 밥이 아닌 음식물에도 비슷하게 적용이 되더란 말입니다.

이를테면 시장에서 찐만두 같은 것을 사오면 상온에 두는 것과 냉장고에 두는 것과 밥솥의 보온 상태에 두는 것의 보관 기한이 달라요. 

냉장은 물론 셋 중 가장 오래 가지만 상온보다 따뜻하게 두는 밥솥 보온 상태가 더 오래 보존 가능하더라고요. 

일반적인 음식물 부패의 원리, 높은 온도에서 더 빨리 상한다에 위배되는 상황이라 신기해서 찾아보니 

음식물을 부패하게 하는 박테리아가 좋아하는 활동 온도가 10도에서 약 60도까지인데 밥솥의 보온 온도는 그보다 약간 높은 70도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의외로 간단한 원리네요. 그렇지만 여전히 신기합니다. ㅎㅎ 

그러저러한 이유로 우리집 전기밥솥은 밥을 담아두는 경우도 있지만 빵을 해동할 때도 쓰고 만두 등 식품을 보관할 때도 쓰고 다용도로 요긴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전기밥솥은 안녕들 하신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1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6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36
114331 욕망의 불꽃 괜찮네요~ [5] 꽃과 바람 2010.11.09 2253
114330 이런분위기에 질문하나.1만원대 저렴한 와인 추천좀~굽신. [19] Hedwig 2010.11.09 4455
114329 학생에게만 인권이 있는 건 아니잖아요. [4] 푸른새벽 2010.11.09 1944
114328 게이 아저씨가 나에게 상처를 주었어. [12] 빨간망토차차차 2010.11.09 4811
114327 긴급 듀나인 : 포토샵에서 브러시를 사용할 때 말입니다 [6] 감참외 2010.11.09 1572
114326 [듀나IN]히틀러에 대한 책들 알려주세요. [9] 도돌이 2010.11.09 1435
114325 [사진] 미슐랭 3스타 셰프, 피에르 가니에르의 코스요리를 경험했습니다 ^^ [15] gilsunza 2010.11.09 3738
114324 청춘의 얼굴, 돌아올 수 없는 순간을 영화에서 본 적 있으세요? [12] 옥수수가 모르잖아 2010.11.09 2234
114323 [무서운세상] 지하주차장에서 "라디오를 듣다가" 경찰에 신고당하고 트위터에 번호판이 동네방네... [11] 데메킨 2010.11.09 3707
114322 미국에 확산되고 있는 반 지성주의 (Anti-Intellectualism) [28] 머핀탑 2010.11.09 5392
114321 [듀9] 라디오 음악 녹음 bogota 2010.11.09 1505
114320 방금 읽은 어떤 만화 [2] 01410 2010.11.09 1587
114319 봉은사 직영사찰 전환 확정 이라고 합니다. [6] 필수요소 2010.11.09 2337
114318 (해외축구) 난 정말 니가 이렇게 클 줄 몰랐다 [7] chato 2010.11.09 2273
114317 window mobile7 에 쓴 글씨체 구할 수 있을까요? [2] Saint 2010.11.09 1311
114316 휴대폰 고음 대결 [4] carcass 2010.11.09 1256
114315 푸시맨 [2] 가끔영화 2010.11.09 1621
114314 아이폰 AS문제를 직접 겪고 있습니다. [6] 불별 2010.11.09 2529
114313 남성혐오와 게이란 글을 읽고.. [4] catgotmy 2010.11.09 2409
114312 (종료)음악방송합니다.(Pop) + 트위터합니다.(놀아주세요.☞☜) jikyu 2010.11.09 135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