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영어 공부 방식에 대하여

2020.11.25 17:45

MELM 조회 수:791

산호초2010님의 글을 읽다가, 듀게 분들이 직접 체험한 효율적인 영어공부 방식이 뭐가 있을까 궁금해졌어요. 사실 추천되는 영어공부 방식(딕테이션, 쉐도잉 등등등)이 많긴 하지만, 대부분 업자들이 자기 사업과 관련해서 추천하는지라 신뢰가 잘 안 가죠.


제가 확실히 효과를 본 방식은 두 가지에요. 1. 닥치고 단어 외우기 2. 영작하기 


저 같은 경우 사실 순수하게 시험을 위해서만 영어공부를 해왔어요. 어렸을 때는 수능, 이후에는 토익, 텝스. 딱히 영어에 취미가 있지 않았던지라 미드 반복 듣기나 팝송 가사 공부하기 이런 것처럼 스스로 좋아서 하는 영어공부와는 거리가 멀었죠. 그러다보니, 영어 공부란 게 지속적으로 되지 않고, 시험점수가 필요할 때 두어달 바싹해서 목표 점수만 넘기는 짓을 계속 반복해왔습니다. 그러다보니 공부할 때마다 똑같은 걸 반복하는데도 새롭더군요. 그나마 리딩은 평소에 필요한 일이 많아서 꾸준히 하기는 했지만, 이것도 이제와서 생각해보면 의미를 완벽하게 이해했다기보다는 적당히 때려맞추는 수준이었던 거 같아요.


그러다가 제가 공부다운 영어 공부를 하게  되었던 적이 있는데, 그나마 그것 역시 시험 때문이었습니다. GRE요.

이거 공부를 하면서 영단어를 진짜 달달 외웠습니다. 시험문제 자체가 단어의 뉘앙스를 구별하라는 식으로 나오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달달 외웠죠. 이런 식의 암기식 공부를 진짜 싫어하고, 잘 하지도 못하는데, 이건 토종 한국인인 저로서는 외우지 않고서는 답이 없는지라 처음보는 벼라별 단어를 그냥 외웠습니다. 그렇지만 외우면서도 시험치고나면 까먹을텐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긴했죠. 그런데 사람의 뇌가 신기한지라, 정말 달달 외웠더니 생각보다 기억에 많이 남더군요. 물론 시험용 공부의 한계로 공부한 단어들을 영작에 잘 써먹지는 못합니다만(스펠링을 기억 못해요...), 적어도 영문으로 된 글을 읽을 때 모르는 단어의 비중이 확실히 줄고, 그러다보니 독해속도가 비약적으로 늘더군요. 덕분에 예전에는 영문글을 읽을 때, 내가 글을 읽는 건지 영어 리딩공부를 하는 건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곤 했는데, 이제는 그런 경우가 확실히 줄기는 했습니다. 그런고로 저는 일단 영단어를 충분히 외우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사실 영어로 된 글을 읽을 때, 모르는 단어가 많으면 뭐랄까, 계속 브레이크가 걸리니 리듬을 타기가 어렵고 그러면 읽는 재미가 없어지고, 중도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두번째가 영작하기 입니다. 한국인이 한국 살면서 영작의 경험을 가지기가 쉽지 않죠. 기껏해야 비즈니스 메일 정도? 토익이나 텝스 같은 경우는 영작을 요구하지도 않고요. 저도 영작 경험이 거의 없었습니다. 또 영작을 공부하기가 어려운 게, 내가 쓰고나면 맞게 썼는지 체크해줄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돈이 들죠. 그래서 따로 독학하기가 참 쉽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GRE 같은 경우 토플처럼 영작이 시험에 포함되어 있는지라 어쨌거나 시험을 치려면 영작을 공부해야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영작을 주로 영어로 쓰여진 복잡한 구문(GRE 기출문제에서 따온)을 한글로 번역해놓고, 그걸 다시 영어로 쓰는 식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창조적인 글쓰기랑 거리가 멀긴 하지만, 제가 영작한 글을 검토해줄 사람이 없는 독학생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죠. 이걸 연습한 직접적인 결과는 일단 이제는 영어로 된 문장을 구성할 줄은 안다(물론 여전히 문법은 틀리는 고로 Grammarly 앱으로 교정 합니다)는 제 자신에 대한 믿음과 자신이 생겼다는 것이고, 간접적 결과는 영어의 문장구조에 대한 이해가 확실히 늘었다는 겁니다. 좀 오바하자면 영어 리딩공부 백번하는 것보다 작문을 한 번 해본 게, 영어에 친숙해지는 데 훨씬 도움이 되었다고 할까요. 어떻게 보면 영어도 말이니 당연한 이야기인데, 이 당연한 걸 저는 하지 않았었죠. 영작문은 봐줄 사람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요. 혹시 저 같은 분이 계시다면 꼭 영작문을 연습해보세요. 다만 귀찮으시더라도 꼭 어렵고 복잡한 문장, 즉 자기가 한 번에 직독직해가 안 되는 문장을 중심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리딩만 반복하는 것보다 문장구조에 대한 이해에 몇 배는 도움이 됩니다. 


영어공부는 끝이 없는지라, 요즘에는 주로 말하기와 듣기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여러 문장을 듣기 보다는 몇 문장을 반복적으로 쉐도잉을 하는데 아직까지 큰 효과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듣기의 경우 또박또박, 적당한 속도로, 문어체스러운 문장을 읽어주는 시험용 영어듣기는 어떻게든 되는데, 미국인들이 지들 맘대로 떠드는 일상회화 듣기는 아직도 갈길이 머네요. 말하기도 여전히 문장이 복잡해지거나 평소에 생각해봤던 내용이 아니면, 머리속에서 한국어를 한참 번역해야지만 말이 튀어나옵니다. 흑흑. 



듀게분들이 경험하신 효과적인 영어 공부 방법 또는 요령이 있으신가요? 



덧. 위에 언급한 Grammarly는 영문법을 교정해주는 앱 입니다. 무료/유료 구분이 있을텐데, 저는 일년치 결재해서 쓰고 있고 돈 값 한다고 생각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13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71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849
114280 코로나 1일 확진자 1000명 넘었네요 [10] 메피스토 2020.12.17 925
114279 미니어처에 대한 취미와 범죄와의 상관관계????? [16] 산호초2010 2020.12.17 860
114278 드라마 철인왕후가 논란이 크네요 [16] Bigcat 2020.12.17 1822
114277 러블리 본즈(용서할 수 없는, 매혹적인 영화)- 저도 작정하고 썼으나.... [6] 산호초2010 2020.12.17 518
114276 윤미향은 왜그랬을까요? [10] 모스리 2020.12.17 1255
114275 장우진 감독의 <겨울밤에> 작정하고 쓴 리뷰에요. 다 쓰고 보니 정말 미친 리뷰가 되어버렸네요.(영화에 대한 애정이라고 생각해주세요. ^^ 3일 동안 썼어요. ㅠ) [6] crumley 2020.12.17 918
114274 [영화바낭] 본격 가정폭력 고발 영화(?) '인비저블맨'을 봤습니다 [6] 로이배티 2020.12.17 685
114273 [회사바낭] 정직 2개월 [4] 가라 2020.12.16 1078
114272 황무지 badlands [6] daviddain 2020.12.16 635
114271 [영화바낭] 내친김에 구로사와 기요시 호러 3연작 끝냈습니다. 오늘은 '절규'요 [4] 로이배티 2020.12.16 822
114270 5년전 오늘 독립영화관 디셈버를 보았습니다 가끔영화 2020.12.15 279
114269 주식 잡담...(도둑과 큰 저택) [1] 여은성 2020.12.15 662
114268 팟빵 다운로드가 안되는 군요. [1] 왜냐하면 2020.12.15 1221
114267 <축구> 제라르 울리에 감독 사망했군요. [2] daviddain 2020.12.15 490
114266 [속보]'한화 최종 오퍼' FA 정수빈 행선지, 결론 임박->두산 재계약 [7] daviddain 2020.12.15 384
114265 여자친구 어머니 코로나 확진 외 [9] forritz 2020.12.15 1310
114264 사용한 마스크는 폐기물이라 간주해야 하는거군요. 생각이 짧았어요 [9] 쇠부엉이 2020.12.15 1073
114263 [영화바낭] 구로사와 기요시 호러 3연작 중 두 번째 '회로'도 봤어요 로이배티 2020.12.15 595
114262 Ann Reinking 1949-2020 R.I.P. 조성용 2020.12.15 239
114261 구글이 안되요 [4] theforce 2020.12.14 5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