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영어 공부 방식에 대하여

2020.11.25 17:45

MELM 조회 수:788

산호초2010님의 글을 읽다가, 듀게 분들이 직접 체험한 효율적인 영어공부 방식이 뭐가 있을까 궁금해졌어요. 사실 추천되는 영어공부 방식(딕테이션, 쉐도잉 등등등)이 많긴 하지만, 대부분 업자들이 자기 사업과 관련해서 추천하는지라 신뢰가 잘 안 가죠.


제가 확실히 효과를 본 방식은 두 가지에요. 1. 닥치고 단어 외우기 2. 영작하기 


저 같은 경우 사실 순수하게 시험을 위해서만 영어공부를 해왔어요. 어렸을 때는 수능, 이후에는 토익, 텝스. 딱히 영어에 취미가 있지 않았던지라 미드 반복 듣기나 팝송 가사 공부하기 이런 것처럼 스스로 좋아서 하는 영어공부와는 거리가 멀었죠. 그러다보니, 영어 공부란 게 지속적으로 되지 않고, 시험점수가 필요할 때 두어달 바싹해서 목표 점수만 넘기는 짓을 계속 반복해왔습니다. 그러다보니 공부할 때마다 똑같은 걸 반복하는데도 새롭더군요. 그나마 리딩은 평소에 필요한 일이 많아서 꾸준히 하기는 했지만, 이것도 이제와서 생각해보면 의미를 완벽하게 이해했다기보다는 적당히 때려맞추는 수준이었던 거 같아요.


그러다가 제가 공부다운 영어 공부를 하게  되었던 적이 있는데, 그나마 그것 역시 시험 때문이었습니다. GRE요.

이거 공부를 하면서 영단어를 진짜 달달 외웠습니다. 시험문제 자체가 단어의 뉘앙스를 구별하라는 식으로 나오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달달 외웠죠. 이런 식의 암기식 공부를 진짜 싫어하고, 잘 하지도 못하는데, 이건 토종 한국인인 저로서는 외우지 않고서는 답이 없는지라 처음보는 벼라별 단어를 그냥 외웠습니다. 그렇지만 외우면서도 시험치고나면 까먹을텐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긴했죠. 그런데 사람의 뇌가 신기한지라, 정말 달달 외웠더니 생각보다 기억에 많이 남더군요. 물론 시험용 공부의 한계로 공부한 단어들을 영작에 잘 써먹지는 못합니다만(스펠링을 기억 못해요...), 적어도 영문으로 된 글을 읽을 때 모르는 단어의 비중이 확실히 줄고, 그러다보니 독해속도가 비약적으로 늘더군요. 덕분에 예전에는 영문글을 읽을 때, 내가 글을 읽는 건지 영어 리딩공부를 하는 건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곤 했는데, 이제는 그런 경우가 확실히 줄기는 했습니다. 그런고로 저는 일단 영단어를 충분히 외우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사실 영어로 된 글을 읽을 때, 모르는 단어가 많으면 뭐랄까, 계속 브레이크가 걸리니 리듬을 타기가 어렵고 그러면 읽는 재미가 없어지고, 중도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두번째가 영작하기 입니다. 한국인이 한국 살면서 영작의 경험을 가지기가 쉽지 않죠. 기껏해야 비즈니스 메일 정도? 토익이나 텝스 같은 경우는 영작을 요구하지도 않고요. 저도 영작 경험이 거의 없었습니다. 또 영작을 공부하기가 어려운 게, 내가 쓰고나면 맞게 썼는지 체크해줄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돈이 들죠. 그래서 따로 독학하기가 참 쉽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GRE 같은 경우 토플처럼 영작이 시험에 포함되어 있는지라 어쨌거나 시험을 치려면 영작을 공부해야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영작을 주로 영어로 쓰여진 복잡한 구문(GRE 기출문제에서 따온)을 한글로 번역해놓고, 그걸 다시 영어로 쓰는 식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창조적인 글쓰기랑 거리가 멀긴 하지만, 제가 영작한 글을 검토해줄 사람이 없는 독학생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죠. 이걸 연습한 직접적인 결과는 일단 이제는 영어로 된 문장을 구성할 줄은 안다(물론 여전히 문법은 틀리는 고로 Grammarly 앱으로 교정 합니다)는 제 자신에 대한 믿음과 자신이 생겼다는 것이고, 간접적 결과는 영어의 문장구조에 대한 이해가 확실히 늘었다는 겁니다. 좀 오바하자면 영어 리딩공부 백번하는 것보다 작문을 한 번 해본 게, 영어에 친숙해지는 데 훨씬 도움이 되었다고 할까요. 어떻게 보면 영어도 말이니 당연한 이야기인데, 이 당연한 걸 저는 하지 않았었죠. 영작문은 봐줄 사람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요. 혹시 저 같은 분이 계시다면 꼭 영작문을 연습해보세요. 다만 귀찮으시더라도 꼭 어렵고 복잡한 문장, 즉 자기가 한 번에 직독직해가 안 되는 문장을 중심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리딩만 반복하는 것보다 문장구조에 대한 이해에 몇 배는 도움이 됩니다. 


영어공부는 끝이 없는지라, 요즘에는 주로 말하기와 듣기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여러 문장을 듣기 보다는 몇 문장을 반복적으로 쉐도잉을 하는데 아직까지 큰 효과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듣기의 경우 또박또박, 적당한 속도로, 문어체스러운 문장을 읽어주는 시험용 영어듣기는 어떻게든 되는데, 미국인들이 지들 맘대로 떠드는 일상회화 듣기는 아직도 갈길이 머네요. 말하기도 여전히 문장이 복잡해지거나 평소에 생각해봤던 내용이 아니면, 머리속에서 한국어를 한참 번역해야지만 말이 튀어나옵니다. 흑흑. 



듀게분들이 경험하신 효과적인 영어 공부 방법 또는 요령이 있으신가요? 



덧. 위에 언급한 Grammarly는 영문법을 교정해주는 앱 입니다. 무료/유료 구분이 있을텐데, 저는 일년치 결재해서 쓰고 있고 돈 값 한다고 생각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4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4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002
114346 [한글날 맞이] 이름을 정하기 너무너무 힘드네요 [113] 닥터슬럼프 2012.10.09 4186
114345 불법 다운로드에 대한 리암의 생각 [22] wonderyears 2011.01.03 4186
114344 파리바게뜨 식빵 결말이 어떻게 될까요? [10] 자본주의의돼지 2010.12.23 4186
114343 에프엑스 난해한 가사는 이수만 지시로군요 [4] 감동 2011.05.05 4186
114342 소셜 쇼핑 짜증나요... [25] 도야지 2011.01.25 4186
114341 김흥국,힐러리 [5] 가끔영화 2010.07.25 4186
114340 독일이 무서웠던 점 [7] 디나 2014.07.09 4185
114339 님포매니악 vol.2를 봤습니다 (스포일러 있음) [6] 모르나가 2014.07.05 4185
114338 클럽초보 옷차림 [4] 익명잠깐 2013.03.28 4185
114337 주현미와 미야코 하루미(都はるみ) espiritu 2013.11.10 4185
114336 [듀나in] 카카오톡 차단하면 상대한테 메시지 안 오나요? [2] smiles 2011.08.11 4185
114335 [듀9] 몰랐던 사실을 접하고...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냐 그것이 문제로다. [13] 재클린 2011.02.16 4185
114334 겨울에 찬물 목욕해도 괜찮나요. [28] 마아난 2013.02.13 4185
114333 SBS 뉴스에 미야자키 아오이가. [10] 푸른새벽 2010.07.16 4185
114332 벽장이나, 장롱 혹은 커튼 속에 숨기 [7] 스팀밀크 2010.08.26 4185
114331 30대 직장맘이 다이어트에 성공한 걸 본 적 있나요? [14] 10%의 배터리 2015.01.02 4184
114330 전라도에 대한 혐오, 편견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34] amenic 2012.12.22 4184
114329 여자들에 관한 질문 [12] 아마데우스 2013.04.13 4184
114328 여기는 핀란드, 휘바휘바! (다 썼어요) [24] 난데없이낙타를 2012.09.06 4184
114327 도둑들 - 이름에 대하여 (스포) [5] eoehr 2012.07.30 418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