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끊는 방법

2021.01.27 16:59

chu-um 조회 수:768

아주 오래 전, 창작에 열을 올리던 언젠가 그 날도 밤샘 작업을 하다가 자판기 커피 한잔에 담배를 피러 밖을 나왔어요.

그 때 같이 작업하던 동료가 이런 얘기를 하더군요.

"명백하게 해롭다는 게 밝혀졌는데도 사람들이 담배를 못끊는 걸 보면 우린 아직 짐승인게 분명해. 특히 담배는 주변에 민폐를 끼치는 건데도."

하얀 얼굴에 가느다란 손으로 담배를 멋드러지게 피면서 아래의 말을 덧붙였습니다. 

"그래도 어쩌면, 담배라도 있으니까 세상이 유지되는 걸수도 있어."

무슨 말인지 갸우뚱했지만 알 것도 같았어요. 


그 후 어떤 계기로 담배를 끊어야겠다 생각을 했고 실행에 옮겼죠. 

담배를 끊었던 주변 지인들에게 조언과 충고를 구했지만 제 각각이더군요. 여러 고민 끝에 금연패치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선배가 이렇게 얘기하는거에요. 

"그냥 의지로 끊어. 그런 도구에 의지하지 말고 한번에 끊어야지. 그건 진짜가 아니야"

진짜? 담배를 끊는데 진짜고 말게 있나? "그게 무슨 말이에요? 끊으면 되는거지."

그 궤변론자 선배가 그 때 예로 든게 성희롱이었습니다. 

"성희롱을 하지 않기 위해 자발적으로 화학적 거세를 하는 거랑 뭐가 달라. 그렇게 추잡해지지 말고 그냥 나쁜건 한번에 끊어. 생각을 하지마. 그러면 돼"

와... 뭔가 참 이상하게 말은 되면서도 어이가 없어지면서 묘한 묘멸감이 들더군요. 

금연패치가 화학적 거세랑 동치되다니. 

최근에 그 선배를 봤는데 전자담배를 피더군요. 그 사람 논리 그대로라면 그건 섹스돌정도 되는건데 그 말을 하려다가 겨우 참았습니다. 


어쨌든 강산이 한번 변할 정도로 오래전에 담배를 끊었어요. 하지만,

아직도 달 좋은 밤이나 해 좋은 낮에 가끔씩 강렬하게 흡연 욕구가 생깁니다. 몸에 새겨진 욕망은 이토록 무섭습니다. 


아마 흡연자의 권력이 예전과 같이 계속 유지되었다면 끊으려고 하지 않았겠죠. 버스 안에서도 피는게 당연한 세상이었으니까요.

육체가 망가져 파멸에 이르지 않은 이상. 저는 저의 중독을 유지 했을겁니다. 비흡연자에게 폐를 끼치기 싫어서 끊은게 가장 큰 이유였지만 그 비흡연자의 목소리가 커지지 않았으면 영원히 몰랐을테죠. 

이런 저런 이유로 어쨌든 담배를 피지 않는 쪽으로 결정했습니다. 명백하게 그게 맞으니까. 


이번 정의당 성희롱 이슈를 보면서 생각이 많아지네요. 

안그럴거 같은 사람들이 자꾸 그러니까 저 스스로도 어떤 상황에 어떤 위치에서는 장담할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누구도 장담하면 안되겠죠. 


개인적인 견해인데 너무 과격한 주장을 하는 사람을 경계하는 편입니다. 

고소공포증의 논리 중 하나인데 높은데서 다리가 풀리는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게 뛰어내리고 싶은 욕구를 육체가 감지하고 예방하는거라고 합니다. 

재밌죠. 고소공포증이 높은데서 뛰어버리고 싶은 욕구때문이라니... 

아메리칸 뷰티라는 영화에서 동성애자를 과격하게 혐오하는 주인공이 실제로는 동성애 욕구가 있었다거나...실상에서 그런 예는 되게 많습니다. 

성격장애인 사람들도 결국은 사람들과 애정을 나누고픈 욕구가 너무 커서 상처를 주는거라고 하죠. 


이번 정의당 성희롱 사건에 너무 화가 많이 났어요. 

그래도 과격하게 발산하기보다 좀 돌아보기로 했습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에 의해서요. 

가는 길은 지치고 복잡하지만 세상은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고 믿어야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8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60
114799 승리호 김태리 영어 더빙 좋네요 [1] 가끔영화 2021.02.07 1108
114798 알프레드 히치콕 극장에 나온 스티브 맥퀸2 [5] daviddain 2021.02.07 311
114797 어린이 주인공 영화 레퍼런스 [7] 티미리 2021.02.07 406
114796 아침부터 왜 포털을 봐가지고. [3] tomass 2021.02.07 758
114795 Robert C. Jones 1936-2021 R.I.P. [1] 조성용 2021.02.07 233
114794 삼계탕을 먹어봤어요 [3] 여은성 2021.02.07 461
114793 '음양사 : 청아집'이 넷플릭스에! [16] 풀빛 2021.02.07 780
114792 보리스 칼로프의 스릴러 [4] daviddain 2021.02.06 303
114791 조조 래빗(2019) catgotmy 2021.02.06 411
114790 [유튜브 생중계] 선우예권 피아노 리사이틀 [3] underground 2021.02.06 343
114789 이야기구성의 한계, 번개! [2] 여은성 2021.02.06 457
114788 김훈의 책상 [16] 어디로갈까 2021.02.06 1208
114787 Christopher Plummer 1929-2021 R.I.P. [9] 조성용 2021.02.06 432
114786 [넷플릭스바낭] '승리호'를 보았습니다 [27] 로이배티 2021.02.06 1858
114785 승리호 다들 보실 거죠? [7] woxn3 2021.02.06 939
114784 이런저런 잡담들(게임, 아이돌) [1] 메피스토 2021.02.05 306
114783 윌리엄 샤트너 [7] daviddain 2021.02.05 530
114782 싸이월드 부활 [4] tomof 2021.02.05 672
114781 개인정보 도용해서 연락하면 상대방이 좋아하지 않을 거라는 건 그냥 당연한 상식 아닌가요? [7] eltee 2021.02.05 897
114780 [넷플릭스바낭] 대만제 환타지... 를 빙자한 멜로물 '미래상점'을 봤습니다 [6] 로이배티 2021.02.05 129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