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어게인 처음 본 소감-파이널편

2021.02.09 04:17

노리 조회 수:877

오디션 프로에 물려서 가요 오디션을 안본지 좀 되었습니다. 그러다 싱어게인이 화제가 되길래 유튜브에서 영상 클립도 몇개 찾아보던 차 마침 시간도 되고, 파이널이라길래 함 봤지요. 재밌었어요. 일단, 훈훈한 경연 분위기에 진행이나 편집이 담백해서 좋았습니다. 몇 번씩 지루하게 리플레이해서 장난질 치고.. 이런 편집 너무 싫었거든요. 처음부터 봤던 사람이 아닌지라 몇호 가수 인지 잘 몰라 해당 가수 이름으로 감상을 적어보자면, 


요아리-호불호가 좀 갈릴 수 있는 개성강한 음색이네요. 근데 거기에 강약 조절없이 계속 지르기만 한단 느낌이었습니다. 가사가 귀에 하나도 안들어왔어요. 기술적으로는 잘 하는데 곡에 대한 해석이란 게 존재하지 않는 느낌.. 제게는 불호에 가까운 보컬이라 그렇게 느껴졌을 수도요. 


정홍일-이 가수의 노래는 유튜브에서 그 전에 몇 곡 들어보았어요. 역시 메탈 보컬아니랄까봐 보컬 기본기가 아주 좋지만 그 보컬들이 갖고 있는 티피컬한 약점도 있고.. 음, 그니까 메탈씬에서는 되게 수준급 보컬이신 것 같은데 잔잔한 파트 부를 때 보면 임재범이나 전인권같은 사람들은 힘 조절에서 세상 해탈한 듯 부르는 고 지점이 있는데 (넘 레전드 급이랑 비교지만) 이 분은 워낙 단단한 보컬이라 힘 조절에서 좀 아쉬움이 있달까요. 하지만 이번 경연은 좋았습니다. 


소정-가사 실수만 아니었다면 탑3까지 노려볼 수 있지 않았을까 싶네요. (잘은 모르지만 분위기 보아하니 팬덤때문에 우승까지는 어려웠을 것 같구요) 음색과 보컬 실력이 워낙 좋고, 무엇보다 감정표현이 아주 좋더라구요. 후자는 요아리란 가수와 좀 대비되는 지점인 것 같습니다. 


이정권-교회오빠 보컬. 본인에게는 잘 맞지만 하나도 임팩트가 없는 너무 무난무난한 선곡이었더만요. 저는 저리 무난한 노래가 한영애 노래 중에 있었단 게 더 충격. 한영애가 불렀으니 다른 노래가 되었겠지만요. 선곡 미스라고 봅니다. 박정현의 미아를 부른 걸 들어본 적 있는데 그건 좋았거든요. 솔직히 박정현 버전보다 더 좋았습니다. 박정현이 고음으로 높여 부르면 정서의 울림보다는 머리가 울리는;;  


이무진-편곡이 좀 아쉬웠어요. 유튜브에서 몇 곡 들어봤을 때 참가자들 중 가장 좋았어서 플레이리스트에 올려놓고 듣다보니 (그게 뭔지 꼭 집어 말할 수는 없지만) 어떤 틀, 패턴이 반복되는 느낌이라고 해야 하나. 그루브는 좋은데 멜로디를 갖고 논다는 느낌은 아니고... 그 변주에도 패턴이 있는 것 같아서 무슨 노래든 다 비슷비슷하게 들리더군요. 감정표현도 마찬가지. 


이승윤-무대 오르면 빙의되는 스타일인 듯. 눈빛이 확 달라지던데 ㄷㄷㄷ 이적의 물은 이번에 처음 들었는데 모르는 노래로 흥을 끌어내는 게 대단했습니다. 가사가 들리느니 안들리느니 하는 말들이 있는 것 같던데 오히려 가사의 맛, 자음과 모음 하나하나까지도 음악적으로 되게 잘 살리는구나 싶었습니다. 치티치티 뱅뱅 들었을 때도 그런 느낌이었구요. 무대장악력이 넘 좋았구, 퍼포밍이 그냥.. 와. 


소정은 가사 실수에도 순위에서 선방했고(그럴 것 같았어요), 나머지 참가자들도 예상 대로의 순위였습니다. 정홍일 가수같은 사람을 보면 자동적으로 임재범이 연상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임재범이야 워낙 사기캐이긴 하지만 어쩔 수 없죠. 그래서 임재범 노래 클립을 찾아보다가




임재범 보컬도 보컬이지만 기타가 와우. 김도균님 위대한 거야 익히 알고 있었지만. 내가 알던 거보다 더 위대하신 분이었... ㅠㅠ 

이미 레전드인 앨범이 있지만 레코딩이 망이므로 편의점 포인트만 모으시지 말고 좋은 레코딩으로 멤버들 다시 모여 하나만 더 만들어주시면! 

싱어게인을 보고 아시아나 앨범을 각잡고 들어봐야 겠다고 생각하는 밤이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9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3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75
115024 외치기만 하는 진보, 최저임금, 뒷담화? [5] 불별 2010.11.01 1666
115023 요즘 기다리고있는 드라마 [5] 바다참치 2010.11.01 1907
115022 '당분간' 체벌이 필요하다는 걸 인정하면, 그건 어느 수준까지 가능하다고 생각하세요? [13] 호레이쇼 2010.11.01 1539
115021 김제동 토크콘서트 노브레이크 시즌2 예매했어요. the end 2010.11.01 1272
115020 더 레슬러, 2NE1의 위상 [3] 푸른새벽 2010.11.01 2632
115019 유나이티드 항공 미국행 타보신 분들 경험 어떤가요? [7] ANF 1892 2010.11.01 3164
115018 해외에선 쇼핑몰이 카드정보를 가지고 있었군요 [2] 나나당당 2010.11.01 1361
115017 교사가 체벌금지에 반대하는 심리의 상상 [3] catgotmy 2010.11.01 1477
115016 2010 상해 엑스포 폐막 - 너무도 정치적인 나라 중국 soboo 2010.11.01 1130
115015 [기사 링크] "주택시장 붕괴 시작으로 불황의 쓰나미 몰려온다" [5] bunnylee 2010.11.01 1765
115014 PC & 콘솔 게임기에 투자하기 VS 새로운 밥솥 사기 [6] chobo 2010.11.01 1440
115013 과연 교사 대부분은 이번 체벌금지 조치를 반대하는가? [6] sa vie 2010.11.01 1784
115012 밥을 먹기 싫습니다. [19] 자두맛사탕 2010.11.01 2228
115011 오늘의 미친짓 하려면.. [2] 서리* 2010.11.01 1454
115010 박카스와 지옥의 묵시록(Apocalypse Now) [3] 후루룩™ 2010.11.01 1383
115009 [기사] 글과 담 쌓은 세대 - 글자는 겨우 읽지만 문장은 이해 못한다 [13] 빠삐용 2010.11.01 2346
115008 학생이 규칙에 어긋난 행동을 했을때 합당한 처벌을 하는게 어려운 일인지. [16] chobo 2010.11.01 2229
115007 운동중 듣게된 이야기 - 창업이야기 part1 [2] 무비스타 2010.11.01 2158
115006 체벌금지가 시행되면 하류인생은 더더욱 하류인생을 살겠죠. [20] art 2010.11.01 3254
115005 사실 체벌을 하네 마네 하는 이야기가 단순한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만.. [9] nishi 2010.11.01 129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