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듀게에 올리는 건 특별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글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글은 바로 제가 예전에 여기에 올렸던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글로부터 비롯되었거든요. 그래서 이 글을 꼭 올리고 싶었어요. 이 글에는 영화의 엔딩에 관한 언급이 살짝 있지만 이 글이 영화 관람에 큰 지장을 주지는 않을 것 같아요.)

저는 개봉날에 <소울>을 봤고 그날 이후로 이 영화를 보고 받은 감동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어요. 새해 초에 불과하지만 이미 저에게 올해 개봉작 1위는 <소울>이 확정적이라고 봐요. <소울>이 영화적으로 훌륭한 이유에 대한 글도 쓸 생각은 있지만 그것보다 먼저 이 영화를 보고 받은 특별한 감동을 듀게 여러분들과 꼭 나누고 싶고 이 사연을 통해서 <소울>을 아직 보시지 않은 분들에게도 이 영화를 강추하고 싶어요. 그러니까 이 글은 <소울>을 추천하기 위한 글이 맞아요.

 

저희 어머니는 2008년에 '폐섬유증'이라는 희귀병으로 돌아가셨어요. '폐섬유증'은 간단히 말씀드리면 폐가 점점 굳어서 숨을 못 쉬게 되고 결국 사망하게 되는 병이에요.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몇 일 전에 여기에 장문의 글을 써서 올렸었어요. 그 글은 숨을 쉴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감사한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요. 

 

그 글의 일부 내용을 옮겨드려요. (전체 내용은  http://www.djuna.kr/xe/oldmain/10160113 에서 보실 수 있어요.) 

 

저는 정치에 대해 잘 모르지만 요즘 나라가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 그냥 한숨만 나옵니다. 이런 상황에서 문득 내가 숨을 쉴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숨을 제대로 쉬고 있다는 것이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감사한 것인지에 대해 알게 된다면 이 세상은 좀 더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순진한 생각을 해봤습니다. 

 

...... 저와 여러분이 '숨'을 쉬고 있다는게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요!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많이 힘들지만 아무 고통 없이 '숨'을 쉬고 있다는게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요! '숨'을 쉬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것은 아닐까요? '숨'을 쉬고 있다는 당연한 사실에 감사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세상은 더 나아지지 않을까요? 제가 아무 고통 없이 마음껏 '숨'을 쉴 수 있다는게 이렇게 감사한 것은 처음입니다. 그래서 이 글을 꼭 쓰고 싶었습니다. 어머니는 위독하시고 저는 여전히 많은 고통 가운데 있지만 지금껏 당연시 여겼던 '숨'을 쉬고 있다는게 얼마나 감사한지에 대해서 말하고 싶었습니다. 그냥 현실을 바라보면서 저의 순진하고 순수한 소망을 담은 글로 이해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위의 글을 쓰고 몇 일 후에 어머니는 돌아가셨어요. 그런데 어머니가 돌아가신 날에 병원 창밖을 보면서 너무 아름다운 순간을 보게 되어 그 감동을 또 다시 여기에 글로 써서 올렸었어요.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제 어머니가 진통제를 맞고 주무시고 계실 때 창 밖을 내다보았는데 한강, 한강의 다리와 차들, 한강에 비치는 햇빛, 강물이 흘러가는 잔 물결, 교차되어 지나가는 지하철, 구름 속에서 얼굴을 비쳤다가 사라졌다가 하는 태양, 이 모든 풍경이 너무나 아름다워서 어머니가 병상에서 과연 이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계셨을까 하는 생각이 들면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습니다. 어제 눈물을 흘리면서 오즈 야스지로의 '동경이야기'의 오노미치 항구의 빈 풍경과 허우 샤오시엔의 '비정성시', '카페 뤼미에르'의 기차나 전동차가 지나가는 장면, 나루세 미키오의 '흐르다', 타르코프스키가 영화를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는 물의 흐름까지 모두 한꺼번에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 풍경들이 너무나 시적이었습니다......

 

조 가드너(제이미 폭스)가 영화의 마지막 순간 크게 숨을 쉴 때 삶의 목표를 이루는 것보다 살아있다는 증거로 마음껏 숨을 쉬면서 소소한 일상의 삶을 즐기는 것이야말로 삶의 진정한 의미라는 깨달음, 즉, '이 땅에 태어난 삶 자체로 감사하자'는 메시지를 전달받으면서 동시에 '숨'을 쉬는 것에 대한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셨던 어머니가 떠올라서 울컥하는 마음과 함께 깊은 감동을 받았어요. 그리고 오랜만에 위의 글을 찾아서 읽어봤는데요. 글의 내용이 <소울>에서 감동을 받았던 일상의 아름다운 풍경 이미지들과 겹쳐져서 또 다시 울컥하는 심정이 되었어요. 저에게 '범사에 감사하라'는 성경 말씀을 <소울>만큼 설득력있게 보여준 영화가 이전에는 없었던 것 같아요. 그런 의미에서 모든 크리스천들에게도 <소울>을 강추하고 싶네요. 

 

저는 <소울>을 보고 만약 내일이 2022년이 되는 상황이 벌어진다고 할지라도 올해 이 영화를 본 것만으로도 올 한 해가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큰 감동을 받았어요. 그야말로 영혼을 뒤흔드는 감동이요. 그래서 아직 <소울>을 보지 않으신 분들에게 이 영화를 꼭 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저처럼 이 영화로부터 큰 위로를 받으시고 다시 살아갈 힘을 얻으실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아요. <소울>의 감동은 영원할 거에요. 왜냐하면 이 영화는 앞으로의 삶이 어떻게 흘러가던지 간에 삶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거라고 우리에게 말하고 있으니까요. 삶 속에서 어떤 일이 닥쳐도 햇빛의 아름다움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거에요. 

 

사실 이런 거 다 떠나서 <소울>은 너무 재미있는 작품이기도 하죠. 오락성도 최고이니까요. 천재적인 스토리텔링으로 영혼을 뒤흔드는 걸작! 제가 픽사 직원은 아니지만 모든 분들께 <소울>을 자신있게 추천합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23
218 달달한 로맨스 소설 추천 좀...^^; [22] 깡깡 2010.09.20 10912
217 후보단일화 문재인, 안철수 100분토론 불판깝니다. 디아블로3 하다가 나왔다지요. [321] chobo 2012.11.21 10100
216 (노출주의) 개봉이 기대되는 일본 영화. [10] 자본주의의돼지 2013.02.15 7966
215 세계최고의 인형녀러는 다코타 로즈의 충격적인 실물 [24] 사과식초 2012.05.07 7620
214 티아라와 트위터. [36] 자본주의의돼지 2012.07.27 7373
213 앤 해서웨이 보그 US 11월호 화보 [7] 보쿠리코 2010.10.19 7272
212 미드 '커뮤니티(Community)'를 소개합니다. [22] 자본주의의돼지 2012.02.08 7047
211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번역본 VS 영화 중 덤블도어의 "After all this time?" 우리말 번역 (스포일러) [7] 라곱순 2011.07.31 6595
210 이제껏 본 것중 가장 더러운 소설 [21] 와구미 2012.09.03 6563
209 영화 속 인상 깊었던 몸매 [20] magnolia 2010.09.03 6219
208 크로아티아 여행 가시는 분들을 위한 사소한 정보 [14] 열아홉구님 2012.07.07 5628
207 기분 잡치는 프라하 여행. [17] 자본주의의돼지 2012.12.04 5438
206 슈스케 4를 보니 김용범 피디가 잘했던거군요;;; [11] utopiaphobia 2012.09.29 5423
205 월드스타 비의 뒤를 잇는 니콘의 새로운 모델 [2] 싱클레어. 2010.07.19 5345
204 건축학개론 선배 유연석이 강심장에 나왔는데...(건축학개론 스포) [4] 자본주의의돼지 2012.07.07 5200
203 [한탄 겸 궁금증] 원래 고급(?) 시계는 다 이런가요? [19] 루이스 2012.04.20 5133
202 완전 생고생 예능.jpg [7] 사과식초 2013.09.02 4987
201 [바낭] 참으로 괴상한 아이돌, 티아라와 광수 아저씨 잡담 [23] 로이배티 2012.06.28 4943
200 윤상현 묘한 매력 [8] 가끔영화 2010.11.14 4848
199 지브리 신작 애니메이션 [더부살이 아리에티] 티저 예고편 [5] 보쿠리코 2010.07.03 48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