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글의 형태로 작성해서 말투가 이런 것이니 양해 부탁드려요. <레오파드>의 엔딩에 관한 언급이 있어요.)

얼마 전에 세계영화사에 남는 위대한 촬영감독인 주세페 로투노가 타계했다. 로투노는 이탈리아의 거장들인 루키노 비스콘티(<백야>, <로코와 그의 형제들>, <레오파드>, <이방인> 등), 페데리코 펠리니(<사티리콘>, <로마>, <아마코드> 등), 비토리오 데 시카(<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해바라기>)의 많은 작품들에 참여했으며 존 휴스턴(<천지창조>), 마이크 니콜스(<헨리의 이야기>, <울프> 등), 밥 포시(<올 댓 재즈>), 테리 길리엄(<바론의 대모험>) 등 할리우드 감독들과도 함께 작업했다. 로투노가 촬영한 영화들 중 <레오파드>와 <올 댓 재즈>는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로투노가 참여한 수많은 걸작들 중에 나는 유독 루키노 비스콘티의 <레오파드>의 마지막 장면을 사랑한다. 내가 로투노를 추모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가 이 장면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레오파드>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 시기를 배경으로 한 귀족 가문의 몰락을 다루는 작품으로 백작 출신인 비스콘티의 자전적인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이 영화에서 대략 1시간에 걸쳐서 이어지는 성대한 무도회 시퀀스에서 살리나 공작(버트 랭카스터)과 조카 탄크레디(알랭 들롱)의 약혼녀인 안젤리카(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가 함께 춤을 추는 장면이 흔히 명장면으로 손꼽힌다. 이제는 다시 없을 무도회 장면은 살리나 공작에게 있어 마치 죽음으로 가기 직전의 클라이맥스처럼 보인다.

무도회가 끝나고 동이 터올 무렵 살리나 공작은 거리를 걸어가다가 땅에 무릎을 꿇고 하늘의 별을 보며 자신의 심정을 토로한다. 그리고 종소리가 들려오는 가운데 그는 일어나서 모자를 쓰고 어두운 골목쪽으로 천천히 이동한다. 전반적으로 밝고 화려한 색채가 돋보였던 무도회 장면에 비해 회색빛 톤으로 가득한 건조한 화면은 이전 장면과의 대비 효과와 함께 쓸쓸한 무드를 조성한다. 카메라는 곡예사 출신으로 몸놀림에 능한 버트 랭카스타의 우아한 발걸음을 따라서 천천히 왼쪽으로 팬을 한다. 살리나 공작의 앞에는 길고양이 한 마리가 서 있다가 그의 움직임에 흠칫 놀라서 왼쪽으로 이동한다. 지팡이를 짚고 천천히 이동하는 살리나 공작의 발소리가 매우 처연하게 들려온다. 이윽고 어둠 속으로 들어간 후 살리나 공작은 더 이상 형체는 보이지 않고 투박한 발소리만 그의 존재를 감지케한다. 그리고 곧 <대부>로 유명한 니노 로타가 작곡한 영화의 주제곡이 울려퍼지는 가운데 ‘FINE’라는 자막과 함께 영화는 끝난다. 시대의 전환기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야 하는 한 인물의 퇴장의 순간을 <레오파드>만큼 간결한 이미지로 표현하면서 깊은 감동을 자아내게 하는 작품은 드물다. 이제 노쇠한 살리나 공작에게 남아있는 것은 죽음뿐이다. 그는 자신의 시대가 지나갔음을 인식하며 우아한 소멸의 길을 택한다. 나는 이 장면을 볼 때마다 이 장면의 적막과 고독과 쓸쓸함 그리고 한 인간의 결단에 큰 감동을 받으며 멜랑콜리한 감정에 사로잡히곤 한다. 그야말로 시네마의 진수라 할 만하다.

<레오파드>의 경이로운 마지막 장면을 나에게 선사해준 주세페 로투노의 죽음을 깊이 애도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6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58
59 [바낭] 물은 얼마만에 상할까요? [14] 에아렌딜 2012.04.17 6182
58 아마존 야노마미 족 몰살 3명 생존 [12] 나나당당 2012.08.31 5577
57 요즘 듀게오기가 꺼려지네요. [21] 오늘도안녕 2012.06.12 5009
56 정글의 법칙 '아마존' 편을 보고. [15] 자본주의의돼지 2013.01.08 4917
55 현대판 개미와 베짱이 시리즈 모음 [8] bap 2011.06.15 4888
54 킨들 샀어요! +크롬 킨들앱 추천! [9] at the most 2011.05.03 4767
53 김윤아씨 참 고마워요. [2] soboo 2011.04.16 4125
52 박성현이란 사람, 제가 보기엔 사망유희 1층은 맡아도 될듯한 사람인데요? [8] chobo 2012.11.07 4035
51 연희동의 맛있는 비빔국수집. 망향 비빔국수 [9] maxi 2011.01.07 3803
50 각하란 남자는 임기 끝나기 전에 화끈하게 사면파티 여는 사나이! 최시중은 집으로! [13] chobo 2013.01.29 3631
49 요즘 군대는 허용의 폭이 넓어졌나 봐요. [20] 나나당당 2011.07.02 3460
48 [바낭] 인생에 큰 영향을 끼친 결정 [15] 가라 2010.11.17 3265
47 부산에 살고 싶어졌어요... 주로 맛있는 음식 때문에 ㅋ [7] 사과씨 2011.09.19 3236
46 여자가 먼저 사랑 고백을 하는 만화 [5] chobo 2013.01.09 3169
45 장 자크 상페 전을 다녀왔어요. [7] 닌자거북2 2011.02.05 3028
44 50년 뒤... [7] 닥호 2013.02.25 3019
43 이 정도 추위라면 내일에는 할 수 있습니다 [14] 루아™ 2010.12.23 2938
42 바낭성 '최고의 사랑' 잡담 [6] 로이배티 2011.06.24 2903
41 [듀9] 아마존에서 장난감 사고 싶은데 배송이 안된데요 ㅠㅠ [9] 슈베이크 2010.09.13 2837
40 야밤의 자체 음식테러, 봉천역 고려 왕족발 [2] maxi 2011.01.08 276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