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조공들의 봉기(1898년 작)


Not-Need---Sheet-1-from-the-cycle-A-Weav

첫번째 - 빈곤




800px-Death_-_Sheet-2-from-the-cycle-A-W

두번째 - 죽음




K%C3%A4the_Kollwitz_-_Conselho_%28A_Revo

세번째 - 모의




The_March_of_the_Weavers_in_Berlin%27_by

네번째 - 행진




1280px-Sheet-5-from-the-cycle-A-Weavers-

다섯번째 - 폭동




%27The_End%27_by_K%C3%A4the_Kollwitz%2C_

여섯번째 - 결말



1893년 2월 26일 케테 콜비츠는 '1844년의 슐레지엔 직조공들의 봉기'를 다룬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의 연극 <직조공들>(1892)을 관람했습니다. 사회의 불안을 선동한다는 이유로 검열에 걸려 상연 금지 명령을 받는 바람에 이 연극은 곧 극장가에서 자취를 감추었지만 - 독일 자연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거장의 작품답게(하우프트만은 191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 -  이 연극의 이미지는 콜비츠의 뇌리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사건 당시 슐레지엔의 사업주는 굶어죽을 것 같다는 노동자들의 호소에 그럼 풀을 뜯어먹으라고...했답니다. 옛날 그 누구가 했던 빵이 없으면 어쩌구의 독일 버전인가...)


콜비츠는 자신이 받은 '강한 인상'을 연작 판화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1898년 베를린 미술 대전에 출품했죠. 당시 심사위원장이었던 화가 막스 리베르만은 이 작품에 감동받아 다른 심사위원들을 설득하기도 하고 본인이 직접 황제와 문화부 장관에게 최고 메달 수여를 추천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돌아온 대답은...


황제 빌헬름 2세는 '훈장과 휘장은 공로가 있는 남자들의 가슴에 달려야 한다'며 리베르만의 제안을 거절했습니다. 여성에게 메달을 수여하는 것은 모든 높은 훈장들의 권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얘기였습니다. 문화부장관은 더 정치적인 거절 사유를 얘기했는데, 콜비츠의 이 연작들이 이미 정부의 상연금지 조치를 받은 불온 연극을 주제로 만든 점을 지적했죠. '예술적으로도 갈등을 완화하고 화해하는 요소들이 결여되어 있다'면서 이 작품들은 너무 '선동적'이라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사실 여자가 어쩌구 하는 소리는 그냥 개소리죠. 이럴거면 아예 국전에 여성 미술가는 참여 불가라는 조항을 만들던가 할 것이지 - 후자의 발언이 수여 거부의 진짜 이유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저런 이유들 때문에 국전에서 메달 수여는 거부당했지만 이 작품들을 통해서 콜비츠는 전국적인 명성을 얻으며 독일 미술계의 신성으로 떠오르게 됩니다.








자료 출처;


케테 콜비츠의 인생과 작품 세계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yunej51&logNo=22170848204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kollwitz self portrait. 1891, age 24 | Zelfportretten, Zelfportret,  Portrettekening

자화상, 1891년(24세), 시카고 미술대학






자화상, 1910년, 종이에 목탄, 케테 콜비츠 박물관


Self-portrait en face, NT 688 – Käthe Kollwitz Museum Köln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0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08
116055 탑골 팝 라이브 한 곡 - 디페쉬 모드: Enjoy The Silence [2] theforce 2021.06.15 216
116054 차별금지법 제정에 관한 청원 10만 달성 [14] Lunagazer 2021.06.15 542
116053 유로에서 엄청난 골이 터졌군요 [11] daviddain 2021.06.14 747
116052 [영화바낭] 21세기 버전 쏴나이 악숀 영화 '노바디'를 봤습니다 [16] 로이배티 2021.06.14 670
116051 어느 영화처럼 어차피 대중은 개도야지인지도... [13] 예상수 2021.06.14 675
116050 우경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인거 같군요.. [9] 고요 2021.06.14 865
116049 이준석 생각도 개판인지라 글씨도 개판으로 쓰네요 [28] Sonny 2021.06.14 1560
116048 머리가 핑그르르 돌면서 주저앉는 경험을 해보셨나요? [14] 산호초2010 2021.06.14 474
116047 미래의 아재개그 지망생들 [1] 예상수 2021.06.14 301
116046 <축빠들만>이번 독일 국대 [2] daviddain 2021.06.14 885
116045 G7이 사회주의혁명을 저지하다. [2] Lunagazer 2021.06.14 352
116044 [오랫만에안철수] 이준석 대표 당선으로 존재감이 더더욱 희미해지는 안철수 대표님. [4] 가라 2021.06.14 541
116043 백야행: 하얀 어둠 속을 걷다 (2009) catgotmy 2021.06.14 266
116042 드레드락의 정치학 skelington 2021.06.14 234
116041 [게임바낭] 새벽에 마이크로소프트가 게임 공개 쇼를 했지요 [8] 로이배티 2021.06.14 461
116040 보스와 점심을 먹던 중 받은 질문 [16] 어디로갈까 2021.06.14 790
116039 비빔면 슬리퍼 [10] 가끔영화 2021.06.14 520
116038 [게임] 유비소프트 스토어가 할인을 하고 쿠폰을 줍니다. + 레데리 [4] 가라 2021.06.14 352
116037 게시판 오해(?) [10] 채찬 2021.06.14 530
116036 전지적 일본 시점 [9] 사팍 2021.06.14 66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