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나)를 위한 변명

2021.05.30 17:46

어디로갈까 조회 수:788

# 아버지와 종일 바둑을 뒀는데, 제가 바둑에서 가장 재미있게 느끼는 부분은 판을 끝낸 후 복기할 때입니다.  인공지능으로 처리하면 별 것 아니고 현대에서는 영상 녹화만 해 두어도 되는 일이긴 합니다. 그러나 이런 복기 능력은 기억력만 입증하는 것이 아니고 논리적인 능력이기도 합니다. 그 상황에서 가능했을 다른 가능성을 떠올려 보는 것은 개인이 성장해가는데 상당히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해요.
인간의 반성 능력은 자기 판단/ 행위를 돌이켜 보면서 그게 달랐을 가능성을 떠올려 보게 하는 것에 있습니다. 바로 상상력이죠. 현재는 컴퓨터가 실재로 존재하는 자료를 다 옮겨오지만, 그 개별 상황에서 그러한 사실 자체를 넘어서는 그 어떤 것을 떠올리는 것은 개인의 능력인 것이죠.

#아버지 책상에 마르크 블로크의 <역사를 위한 변명>이 놓여 있더군요. (아마 재독 삼독 하는 중이실 듯.)
이 책은 "아빠, 도대체 역사란 무엇에 쓰는 것인지 저에게 설명 좀 해주세요." 라는 아들의 질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대중이 역사에서 멀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던진 질문이죠. 요즘은 이런 질문을 던지는 지식인도 많지 않을 뿐더러 역사 속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가늠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독자는 각자의 성정을 잠시 누르고 생각에 잠기면서 이 책을 읽을 필요가 있습니다.

역사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인간에게 역사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 걸까요.  거창하고 장황한 질문이어서 던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블로크는 자신의 아들이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쓰지는 않았으나 문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그 책에 의하면 역사는 시간 속의 인간들에 관한 학문입니다.
역사는 죽은 사람에 관한 연구와 살아있는 사람에 관한 연구를 결합하도록 끊임없이 요구하죠. 역사는 왕조나 시대 같은 공식적인 역사 아래 가로놓인 사람들을 바라봅니다. 개인의 삶은 너무 짧고 지식은 너무나 광대하여 총체적인 체험을 획득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해요. 그래도 역사는 보편사를 꿈꾸는 것이어야 하지 않을까요. 

마르크 블로크는 20세기 역사학에 구체성의 힘을 부여한 아날학파의 제1세대 역사학자입니다. 나치 점령하의 프랑스에서 레지스탕스로 활약했을 만큼 실천적이었고, 그의 사학 역시 삶의 흐름을 외면하지 않는 실천적인 성향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에게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연결입니다.  "현재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면 필연적으로 과거를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그에게서 이런 언술이 나오는 것은 당연합니다. "살아있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 역사가의 중요한 자질이다."

역사가는 역사를 쓰면서 현실에 참여하고 있고, 죽은 사람의 연구를 통해 산 사람의 삶을 사유하고 개입합니다. 역사가는 역사를 통해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고. 심미적 즐거움까지 줍니다. 역사는 삶의 시간을 예술적 차원으로 끌어올리며, 독려해줘요. 
<역사를 위한 변명>은 역사가 자신이 얼마나 진실되게 살아왔는가를 고백하는 책입니다.  그의 아들이 충분히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5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1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07
116397 그냥 연애 안하고 조용히 혼자 살면 안되나??? [39] 경대낭인 2016.12.08 4453
116396 문재인 대표는 정계은퇴를 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37] amenic 2015.05.21 4453
116395 여러분들 어디서 사시나요? [33] Kaffesaurus 2013.07.25 4453
116394 최근 오심 논란에 대해서 [56] 오뒷세이아 2012.07.31 4453
116393 미드 한니발?!?! [10] Warlord 2013.01.07 4453
116392 30여일간의 제주 여행 후기-먹부림편(2); 스압 예상 [14] 벚꽃동산 2012.06.14 4453
116391 정신 나간 사람들은 보통 (직장내 성희롱 사례 캡처본 있으니까 불쾌하실수 있어요) [16] maxi 2011.04.12 4453
116390 아이돌을 싫어하는 간단한 이유 [26] 잉여공주 2011.01.26 4453
116389 mbc 가요대제전 [83] 감동 2010.12.31 4453
116388 슈퍼스타 k 2 내일 미션 곡. (스포) [18] 매카트니 2010.09.16 4453
116387 여러 가지... [11] DJUNA 2010.09.12 4453
116386 마이클 윈터바텀 신작 [킬러 인사이드 미] 국내 포스터 [8] 보쿠리코 2010.06.10 4453
116385 알라딘에서...알라딘에서... [25] 쥬디 2015.07.16 4452
116384 오늘 게시판에서 언급되었던 Sacer 라는 게시판에서 밀려올지도 모르는 두 번째 파도 (+공개 사과) [31] soboo 2013.06.01 4452
116383 (축구 이야기) 대표팀 엿드세요. [32] chobo 2014.06.30 4452
116382 여자사람은 어떻게만나야하나요? [34] 외로운익명 2012.08.30 4452
116381 의자 이야기가 나와서 사고 싶은 의자가 있으신가요? [21] 자본주의의돼지 2012.11.28 4452
116380 미야자키 햐야오 만화에 나오는 여자 性의 우월성에 대해 [3] 무비스타 2012.01.01 4452
116379 써니 감독판 보고 왔습니다. (자유분방한 스포 가득) [7] 부기우기 2011.07.28 4452
116378 오소리 연고(뱃저 밤) 사용법 궁금해요/ 마카롱 먹었습니다 [17] loving_rabbit 2011.11.08 445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