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프랑스 영화 잡담 댓글에 고딩 때 쓴 [히로시마 내 사랑] 감상문을 어머니에게 받아 올려보겠다 했는데요. 플로피 디스크에 저장해 놓아서 지금은 읽을 수가 없다는군요. - - 하지만 전작인 이 짧은 감상문 낙서는 가지고 계시다고 보내주셨습니다. 
 
"<히로시마 내 사랑>를 봤다. 남자 주인공이 한 대사가 인상깊었는데, "바깥에서 온 사람의 감각에는 허락되는 것과 허락되지 않는 것이 있다."는 발언이었다. 모든 것을 본다고 해도 보지 못한 것이 될 수 있다는 뜻인 듯한데, 맞는 말이다. 허락되는 것은 눈에 보이는 것이지만 그것이 전부일 수는 없다. 허락되지 않은 것을 본다는 것은 재현된 것을 넘어서 재현되지 않은 것과 함께 한다는 것이니까.

메를로-퐁티가 “보는 것은 곧 사는 것이다” 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즉 본다는 것은 곧 신체가 그 체험의 영역에 개입한다는 의미이다. 어떤 예를 들 수 있을까? 히지카타 타쓰미가 죽음의 심연에서 마치 타버린 신체를 일으켜 세우는 그 섬광 같은 한 순간?  
그 장면을 보면, "우리는 순간을 함께 산다"는 식으로 메를로 퐁티와 거의 같은 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건 놀라울 정도로 옳은 말이다. 왜냐하면 신비주의가 아니라 실재에 대한 발언이기 때문이다. "

# 이렇게 마감해버리기는 아쉬워서 그저께 아버지가 알랑 레네와 나눴다는 대화들을 생각나는대로 기록해봅니다. (요런 건 적어두지 않으면 금방 까묵해버려서.... )

아버지:  누벨 바그가 프랑스 영화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고 다들 인정하는 분위긴데 어떤 점에서 그렇다는 건가?
레네 : 영화제작에 대한 관념을 바꿔놓았다는 것이다. 그 이전에는 감독이 되자면 십년 정도 조감독 생활을 하며 영화제작을 배워야 하는 시스템이었다. 그러니 빨라야 40세 보통은 50세가 되어야 감독이 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에 젊은 감독들이 반기를 들고 나선 것이다.. 연출이나 편집에 무슨 법칙이 있는가라며.

아버지: 누벨바그는 50년대  말까지 전성기였다가 지나가는 유행처럼 신선함을 잃어버린 것 아닌가? 그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
레네: 나는 현재의 영화나 옛영화나 차이점이 없다고 생각한다. 어느 시대의 것이든 영화 자체의 가치가 떨어지는 건 없고 관객들이 들쑥날쑥할 뿐이다.

아버지: [히로시마 내 사랑]은 당시에 혁명적인 영화라는 평을 들었다. 그 이후로 나온 영화 중 당신이 혁명적이라고 생각하는 작품은?
레네: 우선 [히로시마 내 사랑]이  혁명적이었다고 생각지 않는다. 요즘 문제작 중 기억에 남는 작품은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0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6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33
116188 '황혼의 사무라이'와 '작은 집' 짧은 글. [8] thoma 2021.06.28 481
116187 [독서기록] 으제니 그랑데(3) [2] 스누피커피 2021.06.28 241
116186 바낭 - 아이맥을 주문했는데 북한으로 간 썰을 보고 [4] 예상수 2021.06.28 578
116185 [정치바낭] 윤석열 파일 [3] 가라 2021.06.28 870
116184 유로ㅡ 날강두 떨어졌군요. [11] daviddain 2021.06.28 522
116183 [영화바낭] '이블데드' 리부트를 이제사 보았습니다 [8] 로이배티 2021.06.28 511
116182 횡설수설 [19] 어디로갈까 2021.06.28 831
116181 触れた、だけだった (2020) [2] catgotmy 2021.06.28 344
116180 월요일 잡담... [1] 여은성 2021.06.28 300
116179 [독서기록] 으제니 그랑데(2) 스누피커피 2021.06.27 471
116178 정말 재밌게 읽은 소설의 속편이 나왔는데 기쁘지 않아요 [3] forritz 2021.06.27 692
116177 극장에 가는 게 점점 힘들어집니다ㅠ [21] Sonny 2021.06.27 907
116176 미 UFO 보고서 공개 [3] skelington 2021.06.27 580
116175 [넷플릭스바낭] 훈훈하고 따스한 사무라이 영화, '황혼의 사무라이'를 봤습니다 [15] 로이배티 2021.06.27 990
116174 [독서기록] 으제니 그랑데(1) [2] 스누피커피 2021.06.26 316
116173 [EBS1 영화] 블랙 호크 다운 [21] underground 2021.06.26 648
116172 선물 (2009) [2] catgotmy 2021.06.26 282
116171 bbc 콩쿠르 우승한 김기훈 [1] 가끔영화 2021.06.26 432
116170 [넷플릭스바낭] 송지효 주연의 K-스릴러, '침입자'를 봤습니다 [11] 로이배티 2021.06.26 784
116169 오마이걸의 라일락, 오마이슈트의 던던댄스. [1] 왜냐하면 2021.06.26 3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