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역사는 합리적었을까요 비합리적이었을까요? 실존주의자들은  역사는 항상 합리적이라고 답할 것입니다. 그러나 미숙한 제 판단으로는  역사는 극히 비합리적인 것이거든요. 이미 지나간 시간을 돌아보면 이해 못할 바도 없지만, 앞날에 대해 무슨 일이 펼쳐질런지 에측할 수 없다는 것. 
문명의 역사를 추진하는 가장 큰 힘이 뭔지에 대해 제게 설명해준 역사가는 없었어요. 뭐 그 힘을 안다면 인류는 지금보다 현재와 미래를 지배할 수 있었을 테죠. 

보스와 점심을 먹었는데  "당신은 인류의 장래를 어떻게 예측하는가?"라는 질문을 받았어요. 
제가 예언가도 아닌데 거기에 무슨 답을 할 수 있겠나요. 그냥 이렇게 말할 수 있을 뿐이었죠. 
- 역사는 합리적이 아니므로 인류의 미래에 대해 낙관할 수 없겠다는 느낌 정도가 있을 뿐입니다. 과학의 발전으로 보면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 거고, 과학의 이용에 대해서 말하자면 나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보스: 그래? 난 많은 문명이 각자대로 감동적이던데. 왜냐하면 내가 소속된 문명이 현재의 나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내가 경험 못한 문명들을 볼때 - 지금은 한국의 문명- 에 대해 감동적인 것은 세계가 발전하는데 하나의 방법만 있는 게 아니라는 걸 가르쳐주기 때문이다.
나: 과거의 문명 중 당신의 마음에 가장 든 문명은 무엇인가요?
보스: 굳이 하나를 꼽자면 19세기 초반의 유럽 문명이다. 하지만 모든 문명은 제 나름대로 다 빛을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 기록해두지 않으면 휘발되고 말 것 같아서 몇자 기록해둡니다. 나중에 더 생각나는 게 있을 거고 덧붙이겠습니다.

--------------- ----------------------------------------------------------------
+ (퇴근하기 전 기억을 쥐어짜서.....)

나 : 서양문명과 동양문명을 비교할 때 차이점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보스: 내가 거기에 대해 판단을 내리기에는 부적당한 존재지. 이런 감상은 있다. 동양문명은 서양문명의 발전과정에서 있었던 장애를 건너뛰어 상당한 수준의 완성을 이룬 것 같다는 것. 특히 한국!
유럽은 혁명에 의해서만, 전통적인 가치의 파괴를 하면서만 산업시대에 진입할 수 있었다. 내가 일본과 중국과 한국을 경험하면서 느끼는 건, 
동양은 전통적인 구조와 개혁 사이의 균형을 서양보다 잘 유지할 줄 알았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에 대해 크게 감탄하고 있다. 

나: 어쩐지 신화적으로 한국을 보시는 것 같은데요?
보스: 현대에도 신화는 있지. 고대인들이 설정했던 점에 포커스가 있지 않다는 것뿐.
나: 전에 사르트르에 대해서 비판하신 게 기억나네요. 그 판단은 아직 유효한가요?
보스: 그 질문은 당신이 좋아하는 물리학이 의사보다 세상에 더 유용한가?를 묻는 것처럼 덧없는 질문이라 대답할 수 없다. 

(우리 보스 잘났죠? ㅋ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54
116372 [13] 異人 2021.07.13 493
116371 살아 있음 [8] 칼리토 2021.07.13 403
116370 스카이 하이가 옛날 영화로군요 [1] 가끔영화 2021.07.13 248
116369 Charlie Robinson 1945-2021 R.I.P. [1] 조성용 2021.07.13 209
116368 중대장은 실망했다 [14] 사팍 2021.07.13 850
116367 여성과 장애인 중 누가 더 사회적 약자일까요? [95] between 2021.07.13 1240
116366 '보슈'를 보고 의식의 흐름 [6] thoma 2021.07.13 439
116365 황매실청을 만들려했는데 망했어요 [5] 채찬 2021.07.12 490
116364 외로운 양치기 [1] 고요 2021.07.12 282
116363 꾸청 꾸청 꾸청 [12] 어디로갈까 2021.07.12 778
116362 여가부, 통일부 폐지하자(국민의 힘, 이준석) [9] 왜냐하면 2021.07.12 755
116361 NBA 플레이오프 페이서스 VS 불스 (1998) [2] catgotmy 2021.07.12 230
116360 이 동요 아는 사람 정말 없다에 올인 [4] 가끔영화 2021.07.12 759
116359 거리두기 잡담, 자신감 [2] 여은성 2021.07.12 414
116358 [넷플릭스바낭] 미루고 미뤘던 '다이하드: 굿 데이 투 다이'를 봤습니다 [27] 로이배티 2021.07.12 706
116357 유로 결승을 보는 스코틀랜드 인의 심정 [19] daviddain 2021.07.12 772
116356 미디어 오늘 기사;98년생 김현진은 무엇과 싸워야했나 [1] 메피스토 2021.07.11 644
116355 자전거 헬멧 착용을 강제하면 안되는 이유 [24] eltee 2021.07.11 1763
116354 동요 한곡 [2] 가끔영화 2021.07.11 202
116353 사랑해, 파리 Tuileries (2006) [3] catgotmy 2021.07.11 33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