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겨자님의 원글, '여성가족부, '레지던트 이블', '마진콜', 블로그'의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www.djuna.kr/xe/board/13967375


1. 


겨자님의 해당 게시물에서 제 글의 일부를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왜곡을 하신 부분을 바로잡고자 합니다. 겨자님은 다음과 같이 적었습니다. 'between님은 여가부의 원죄가 게임 셧다운 제라고 하시더군요. 이 제도의 주도자가 여가부도 아니지만, 게임 셧다운제가 악인가요?' 하지만 전 겨자님이 적은 것처럼 뭉뚱그려 '여가부의 원죄가 게임 셧다운제'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일부 국내 게임업계에서 여성가족부의 '원죄'는 셧다운제인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적었죠. 제가 여가부의 원죄를 정의내린 것도 아니고, '일부' 게임업계와 게이머들 사이에서 셧다운제 때문에 여성가족부가 공공의 적이 된 것 같다란 추측을 했을 뿐입니다. 


이번 MS의 '마인크래프트' 19세 이상 이용가란 등급을 받게 된 해프닝의 배경에는 셧다운제가 있습니다. 그동안 여성가족부에 대해 적개심을 키워온 일부 '이대남'들과 그들 중 '마인크래프트' 해프닝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게이머들의 일부 교집합을 중심으로 또 다시 여성가족부 폐지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된 셈이죠. 여성가족부에 대한 제 개인적인 의견과 별개로 지난 게시물에서 해당 현상을 관찰한 결과를 적은 것입니다. 


인터넷에 올라온 게시물의 특성상 단어 하나하나를 주의깊게 살펴보기 어려울 때가 많죠. 제 글에 대한 겨자님의 오해를 풀기위한 정정은 여기까지 적겠습니다. 


2. 


그와 별개로 겨자님은 해당 게시물에서 '이 제도의 주도자(decision maker)가 여가부도 아니다'라고 적었습니다. 물론 현실적으로 행정부 내 일개 부처가 입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쉽지 않습니다. 행정입법이 쉬운 것도 아니고요. 하지만 겨자님의 머릿속 '주도자'의 정의는 과연 어디부터 어디까지입니까? 여성가족부는 셧다운제 발의, 집행 및 관리의 한 축을 담당한 부서입니다. 일부 게임업계와 게이머들이 당장 눈에 보이는 셧다운제의 주무 부처에 대해 반발하는걸 두고 '여가부가 무슨 상관입니까?' 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코로나19 백신 수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우린 누굴 먼저 떠올립니까? 실제 해당 부서 내 해당 책임자를 떠올립니까? 당장 눈에 보이는 타깃을 고르기 마련이죠. 이것이 옳다, 저것이 옳다 같은 시시비비를 따지려는 게 아닙니다. 그들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납득가능한 일이란 것이죠. 


3.


또한 겨자님은 해당 게시물에서 '게임 업계 비즈니스 모델은 저가 마약하고 비슷한 매카니즘을 갖고 있습니다'라고 적었습니다. 겨자님의 거친 주장에 대해 거친 질문으로 반박하자면, 왜 저가 마약인데 성인은 되고 미성년자는 안됩니까? 마약류처럼 국민 건강 관리 차원에서 전격적으로 금지시켜야 맞지 않을까요? 정말 겨자님의 주장대로 게임이 저가 '마약'이라면요. 


물론 국내에서 인기를 끄는 대다수 모바일 게임들내 랜덤 갓챠 같은 사행성 요소가 큰 사회적 문제로 비화된 적 있습니다. 해당 요소를 두고 겨자님이 '저가 마약 같은 비즈니스 모델'이라 한다면, 글쎄요.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오히려 소셜미디어의 중독성도 게임 못지않게 위험할 뿐더러 중독자의 경우 마약 복용자와 유사한 수준의 위해성을 보인단 연구 결과를 보면, 소셜미디어도 게임과 똑같은 룰을 적용해야 하지 않을까요? 실제 IT 서비스 설계자들이 얼마나 유저 리텐션에 집착하고, 해당 지표를 끌어올리기 위해 도입하는 기능들을 뜯어보면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셧다운제를 과거 청소년보호를 핑계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 권위주의 정권 시절의 아류 정도로 여기고 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이에 관해 자세히 적어보고 싶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3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8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66
116527 롯테 월드 타워 124층 올라가는데 얼마나 걸릴까요 [2] 가끔영화 2021.07.23 434
116526 이드페이퍼와 나 [1] 무무무 2021.07.23 819
116525 도쿄 올림픽 개회식 [23] skelington 2021.07.23 1221
116524 극장전 (2005) [7] catgotmy 2021.07.23 439
116523 홈트 바낭 [7] 칼리토 2021.07.23 524
116522 퇴원 후, 고통의 농도와 죽음의 문제들 [5] 예상수 2021.07.23 547
116521 [넷플릭스바낭] 너무 잉여같지만, '피어스트리트 파트3 : 1666' 잡담입니다 [16] 로이배티 2021.07.23 577
116520 오늘자 밸런스게임 [1] 사팍 2021.07.23 330
116519 청량리 할머니 냉면 [6] catgotmy 2021.07.22 807
116518 울분(필립 로스), 폭군이 되는 법(넷플릭스) [10] thoma 2021.07.22 562
116517 [넷플릭스바낭] 순리대로 '피어 스트리트 파트2 : 1978'도 봤지요 [7] 로이배티 2021.07.22 474
116516 sns에서 인기가 없읍니다. [17] 적당히살자 2021.07.22 916
116515 듄 새로운 예고편이 나왔습니다 [13] 부기우기 2021.07.22 530
116514 [넷플릭스바낭] 이번엔 스포일러 없고 정신도 차린 평소 버전의 '피어 스트리트 파트1 : 1994'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1.07.22 475
116513 티빙오리지널, 마녀식당으로 오세요 [1] 메피스토 2021.07.22 417
116512 최초의 이별 [7] Sonny 2021.07.22 653
116511 거리두기 잡담... (폭식, 폐허, 결혼) [3] 여은성 2021.07.22 624
116510 넋두리 [7] 어디로갈까 2021.07.22 612
116509 태어나서 첨봐요 [3] 가끔영화 2021.07.22 356
116508 안지마 무서워-2편(시간) [3] 사팍 2021.07.22 29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