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은 폭력의 포기인가?

2021.07.16 21:56

chu-um 조회 수:533

올해 바칼로레아 논술 문제입니다. 

바칼로레아는 프랑스 고등학교 졸업시험? 대입시험? 뭐 그런 개념입니다. 잘은 모릅니다. 가끔 생각하고 싶을 때 기출문제들을 찾아보고 생각에 잠기고는 해요. 


토론은 폭력의 포기인가?


 출제자는 포기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폭력이라는 단어를 기계적으로 즉 수단적 의미로 보이게 하려 한 것 같아요.

사실, 폭력은 A가 B를 굴복시키는 방법이고 이때 A의 주장이 논리적인 설득력을 갖고있느냐의 여부는 별개의 사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폭력행사를 한 A는 논리적으로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습니다. 

폭력 자체의 비윤리성을 언급하지 않고 논술하려는 욕구가 생기게 하는 묘한 문제죠.

하지만 포기라는 단어에 혹 해서 토론과 폭력을 중립적으로 보고 썰을 풀다가는 함정에 빠지고 말겁니다. 

의사결정 수단으로써 토론과 폭력은 전혀 다른 레벨이죠. 포기라뇨, 당치도 않는 소리. 폭력이야 말로 토론의 포기입니다. 



 여기 듀게에 폭력을 포기하지 않고 토론하려는 사람이 있습니다. 승패를 정해 패자에게서 모든 걸 뺏어가려 하는 방식. 

토론은 폭력처럼 승자독식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왜냐하면 토론은 생각이 다른 사람도 나와 함께 가는 사람으로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입니다. 

초등학교때 배운거라 너무 당연해서 오그라드는 얘기입니다만  너무 오래되서 기억을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서요..

 

토론에 돈을 걸고, 지게 되면 기둥 뿌리 하나 정도는 뽑게 하겠다는 악의와 그 폭력을 재밌다고 관람하려는 욕구들이 제 마음을 어수선하게 하네요.



왜 우리는 폭력을 아직도 포기하지 못하는 것일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0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5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05
116740 Social network, 일, 일, 일 [2] 겨자 2010.10.12 4479
116739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들... [7] 조성용 2013.05.01 4478
116738 만화 얘기 나온 김에 - 태국의 소녀 만화에는 한국 남캐가 나오네요. [2] 01410 2013.02.17 4478
116737 모쏠 35년차: 재귀적 확률 문제 [13] 행인3 2013.01.08 4478
116736 진소룡의 사망유희.jpg [21] 자본주의의돼지 2012.10.28 4478
116735 황당)40대녀 김연아 고소 [6] 가끔영화 2012.07.02 4478
116734 시사 주간지를 본다면 어떤 게 좋을까요? [11] DH 2011.10.21 4478
116733 전 이영애가 안 예뻐요. [19] 셜록 2010.10.29 4478
116732 시라노 연애조작단 좀 실망스럽네요. [8] 옥이 2010.09.06 4478
116731 이 달의 깝깝한 CF (자동재생) [13] 달빛처럼 2010.10.13 4478
116730 [공지] [에너미] 시사회 이벤트 (5월 21일) DJUNA 2014.05.09 4477
116729 미국드라마 보는 부심 한국드라마 보는 수치 [26] Isolde 2014.08.03 4477
116728 이사람이 허지웅 이군요 [8] 가끔영화 2013.10.24 4477
116727 [바낭] 이 주의 아이돌 잡담 [26] 로이배티 2013.08.04 4477
116726 낸시 랭씨의 새 작품 - 이거 분위기 묘하네요. (혐짤 주의) [9] amenic 2012.06.04 4477
116725 [듀나인] 카카오톡 친구 삭제 [6] virtuald 2012.01.31 4477
116724 내가 좋아하는 양복 스타일은? [13] 초코 2011.05.16 4477
116723 한국 여자가 속물이냐? [13] 종상 2011.05.13 4477
116722 포복절도 동영상, 개포동 큰빛교회 가수왕 이희경 권사님(자동재생) [3] chobo 2010.07.07 4477
116721 아무르는 정말 좋았고, 레미제라블은 실망스럽네요. [19] menaceT 2012.12.25 44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