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테이트 갤러리'에서 선물 하나가 날아왔어요. 이 그림입니다. 죠지 브라크의 'the bird'.
https://www.1stdibs.com/art/prints-works-on-paper/abstract-prints-works-on-paper/after-georges-braque-georges-braque-school-prints-bird-fish-star-modernist-drawing-lithograph/id-a_4185181

엽서화된 화질은 훨씬 청량합니다.

런던에 갈 때마다, 아니 세계 어느 도시를 가더라도 모든 미술, 박물관을 즐겨찿는데요, 테이트 갤러리에 갈 때마다 몇 번 인상평을 남겼던 기억은 납니다. 제국시대를 거치면서 전 세계에서 수집한 -이라고 쓰지만 착취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는 하라고요. 그러므로 이렇게 무료 관람시키는 것이 최소한의 양심을 가진 것 같아 그 점은 인정한다고요.

근데 왜? 어떻게? 뜬금없이? 이런 선물을 제게 보낸 것일까요? 무엇보다 제 주소는 어떻게 안 것일까요? 
인터넷에 공유되고 있는 개인정보의  범위에 대해 골똘해지지 않을 수가 없네요.

+
실러가 쓴 논문 제목 중에 '인간의 미적 교육'이란 게 있죠.  주목 못받다가 마르쿠제 덕분에 1960년 이후 유명해졌다는 글인데요. 이 글은 이후로 독일 문화 정책가들이 이 이념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골몰했다고 합니다. (믿거나 말거나)

그 대표자 중 한 명이 프랑크푸르트 시에서 1970년대 문화정책을 담당했던 힐마 호프만이라죠. 사회민주주의당 소속이었던 호프만은 
자신의 문화 정치 경험을 "모두를 위한 예술"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냈습니다. 제가 많이 배웠고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는 평등한 문화 경험을 목표로 하고 나아가야 한다는 겁니다. 전형적인 사회민주주의당의 표어와 맞아 떨어지는 훌륭한 문구죠.  더군다나 실러의 논문 제목이 실현됐으니 주목받고 있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5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0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77
116820 간병인과 한국 현대 자본주의 [59] bankertrust 2014.03.11 4484
116819 너무 더워요. 혜믿스님의 지혜의 한 마디 듣죠. [6] poem II 2013.08.03 4484
116818 KT LTE 요금 쓰시는 분들 모두 올레요금제로 바꾸세요 [5] ELMAC 2013.07.01 4484
116817 분석하지 않고 감동받았던 영화 [18] 티포투 2013.02.02 4484
116816 부평 안철수 유세 다녀왔어요. 군중 사진 세네 컷. [20] 꼼데 2012.12.09 4484
116815 즐겨보는 즐겨봤던 미드 영드. 일본 버라이어티 [19] 예언자 2013.05.17 4484
116814 문재인 대선카피, '사람이 먼저다' & '대한민국 남자' [28] 헐렁 2012.07.15 4484
116813 무한도전 폐지가 검토중이군요;; [8] 마르세리안 2012.06.13 4484
116812 칸영화제 수상 결과 [11] 칠리 2013.05.27 4484
116811 아니 이거 잡스가 대단한 사람이라는 것은 맞지만... [31] 도야지 2011.10.06 4484
116810 "내가 마음에 들면...연락해라" ....황당한 강간범 [9] soboo 2011.05.27 4484
116809 사춘기 소년님 - 새 게시판의 폰트 질문 [9] theforce 2010.06.03 4484
116808 2013년 개봉될 화제작들 [15] 사과식초 2012.11.12 4483
116807 (기사펌)."제2의 '신정아' 1000명 있다" 충격적 보고서....+ 우리 사회 그들만의 리그.... [15] 2012.07.19 4483
116806 SM과 소녀시대 [24] 더운겨울 2011.01.04 4483
116805 크윽 요즘 성스 완전 물이 올랐군요. [12] Paul. 2010.10.04 4483
116804 소셜 네트워크에서 에두왈도 새버린이 창문에 쓴 수식이 궁금했어요. [6] 폴라포 2010.11.21 4483
116803 최순...아니 라스푸틴이 사라진 뒤 러시아 황실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13] Bigcat 2016.11.04 4482
116802 오로라 공주 얘기 좀 하겠습니다. [8] 씁쓸익명 2013.05.29 4482
116801 [바낭]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과 꿈의 직장 SAS [6] 오맹달 2012.12.28 448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