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medium01.jpg


[랑종]

모 블로거 평


“Thai filmmaker Banjong Pisanthanakun’s new film “The Medium” is a hollow and unpleasant geek show to say the least. The more I reflect on its many supposedly scary and intense moments, the more the movie feels vulgar, exploitative, and reprehensible in numerous aspects, and I am still regretting over wasting 2 hours of my life at last night. No, I do not mind being scared or challenged as watching those dark horror films willing to shock or repulse audiences by any means necessary, but, boy, this dreck gave me one of the most tedious and uninteresting experiences I have had during this year.” (**)





gunpowdermilkshake01.jpg


[건파우더 밀크셰이크]

 얼마 전에 미국에서 넷플릭스를 통해 나왔지만 국내에선 8월 개봉 예정인 [건파우더 밀크셰이크]는 여러모로 [존 윅]과 그에 따른 여러 아류작들과 자동적으로 비교될 수밖에 없습니다. 어쩌다가 심각한 곤경에 빠진 킬러 여주인공과 그녀를 둘러싼 다양한 범죄 세계 캐릭터들, 그리고 그들의 비현실적 세상을 갖고 영화는 발랄하고 폭력적인 코미디 액션을 하려고 하지만, 그 결과물은 [존 윅]이나 [아토믹 블론드]에 비하면 개성이 부족한 편이고, 그래서 열심히 노력하는 출연배우들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곤 했습니다. 지루하진 않았지만, [호텔 아르테미스]처럼 아류작 그 이상은 아니더군요. (**1/2)




fearstreetpartthree166602.jpeg


[피어 스트리트 파트 3: 1666]

 넷플릭스 영화 [피어 스트리트 파트 3: 1666]는 처음엔 전편에서 예고한대로 1666년으로 시점을 옮겨가서 주인공들과 그들의 마을을 둘러싼 저주의 근원을 파헤칩니다. 밝혀지는 진실이야 그다지 놀랍지 않지만, 영화는 후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서 삼부작의 대단원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완성되는 큰 그림은 말할 것도 없이 만족스럽습니다. 각 작품들이 어느 정도 독립적이면서도 동시에 상당한 시너지를 자아내는 걸 고려하면, 언젠가 이 삼부작을 죽 몰아서 감상해 보고 싶군요. (***)




actionhero03.jpg


[액션히어로]

 [액션히어로]를 보기 전에 별다른 기대를 가지지 않았는데, 영화는 우스꽝스러우면서도 생각보다 꽤 쏠쏠한 재미와 웃음이 있었습니다. 액션영화이기보다는 소소한 캠퍼스 코미디에 더 가깝지만, 주인공들의 상황이 꼬여가는 걸 보면서 웃다보면 그들을 응원하게 되고, 나중에 영화는 그에 걸맞은 하이라이트 장면을 제공해 주지요. 보면서 얼마 전에 국내 개봉한 [쿵후 타이거]가 생각났었는데, 이 둘을 같이 나란히 보면 더 재미있을 것 같더군요. (***)



host02.jpg


[호스트]

 영국 호러 영화 [호스트]는 컴퓨터 화면 안에서만 이야기를 전개하는데, 이 설정이야 딱히 새로울 것 없지만 결과물은 의외로 알찬 편입니다. 작년 그 동네 락다운 시기를 배경으로 했을 뿐만 아니라 정말 그 시기 동안 만들어졌기 때문에 화면 안에서나 밖에서나 많이 제한되었지만, 영화가 1시간도 안 되는 상영 시간 동안 이야기와 캐릭터를 효율적으로 굴려가니 이미 예정된 결말은 예상보다 잘 먹히더군요. 간소하지만, 할 일 다 했으니 괜히 툴툴거리지 않으렵니다.  (***)




thewaterman01.jpg


[워터맨을 찾아서]

 얼마 전 국내 넷플릭스에 올라온 데이빗 오예로워의 장편 감독 데뷔작 [워터맨을 찾아서]는 꽤 익숙한 판타지 성장 드라마입니다. 보다 보면 [비밀의 숲 테라비시아]와 [몬스터 콜]을 비롯한 다른 비슷한 영화들이 자동으로 연상되긴 하지만, 이야기와 캐릭터를 성실하고 진솔하게 굴려가니 점차 감정 이입이 되더군요. 한마디로, 부담 없이 가볍게 즐길 수 있는 가족 영화입니다.  (***)


thenight01.jpg


[더 나이트]

 코우로시 아하리의 [더 나이트]의 주인공들인 바박과 네다는 미국 LA에 정착한 지 얼마 안 된 이란인 부부입니다. 친구들과 저녁 모임 이후 어린 딸과 함께 집으로 돌아가다가 여러 사정상 그들은 도심 내 한 호텔에 묵게 되는데, 이 호텔엔 뭔가 편치 않은 구석이 있고, 그러다가 이들 주변엔 여러 이상한 일들이 일어나게 됩니다. 음험한 호텔 안에서 가면 갈수록 고립되어 가는 주인공들을 보다보면 [샤이닝]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는데, 본 영화도 분위기로 죽 밀고 가면서 여러 좋은 순간들을 제공하지요. 간간히 분위기에 너무 좀 많이 기대는 인상을 주지만, 여러모로 잘 만든 수작이니 살짝 추천해드립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3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64
116873 Seoul Soul Festival 후기 - 박재범과 Musiq Soulchild [6] the end 2010.10.11 2573
116872 [TV 이야기] 계몽광고와 성균관스캔들 [1] Navi 2010.10.11 2030
116871 듀나in)외국인과 대화할수 있는 기회는 어떻게 만들까요?? [4] 동면 2010.10.11 2364
116870 [판매글] 오늘 4차전 삼성자리 옐로우석 3장 [5] 네멋74 2010.10.11 1728
116869 최근 취미 [5] 렌즈맨 2010.10.11 2576
116868 [help plz] 예술의 전당 근처에 회식하기에 좋은 식당있을까요? [6] 임바겔 2010.10.11 2302
116867 한글공정? Aem 2010.10.11 1447
116866 남자의 자격 김태원편에서... [13] 자본주의의돼지 2010.10.11 5214
116865 [급!!] 말로 공연 빈자리가 생겨서 다시 추첨했습니다. "애플파이"님은 이 글을 봅니다!! [2] 필수요소 2010.10.11 1581
116864 간송 미술관에 가려는데요.. [2] Apfel 2010.10.11 1860
116863 3대 배급사 국내영화 내년 라인업 [13] 매카트니 2010.10.11 3358
116862 그 국회의원에 그 보좌관 [5] Blackwater 2010.10.11 2210
116861 이건 분명 GS25의 노예가 된것이 맞습니다. [14] 달빛처럼 2010.10.11 5104
116860 요새 바바 예투가 화제던데... [17] 염맨 2010.10.11 3256
116859 듣고 설렜던 말들 [11] pingpong 2010.10.11 3248
116858 연애는 결혼을 전제로 한 관계인가. [28] catgotmy 2010.10.11 5259
116857 야구 재밌어요 [33] 설교쟁이 2010.10.11 2769
116856 일본판 룬의 아이들 윈터러 표지보고 든 생각 [8] 나나당당 2010.10.11 3613
116855 [로스트 : 마지막 에피소드들] 사운드트랙 발매 [2] Jekyll 2010.10.11 1531
116854 각색이 많은 책 vs 번역이 엉망인 책 [3] 주근깨 2010.10.11 19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