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단령



고구려 무용총 벽화의 신선도와 풍속도 중 부분입니다. 무용총(5세기 중반)벽화 중 유명한 그림들은 교과서에도 실려있는터라 우리에게 익숙한 작품들이 많죠. 그런데 저 거문고 타는 신선은 처음 보는 작품이네요.(출처는 나무위키 - 드라마 '달이 뜨는 강' 의상 고증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w/%EB%8B%AC%EC%9D%B4%20%EB%9C%A8%EB%8A%94%20%EA%B0%95/%EA%B3%A0%EC%A6%9D







해연갤 - 중어권연예 - 산하령 제작자가 부드러운 온객행과 날카로운 주자서 원한게

중국 드라마 산하령(2021) 중에서 - 주연인 온객행(공준 분)과 주자서(장철한 분)



요즘 열씨미 보고 있는 중드인데 문득 남주가 입은 의상이 계속 눈에 띄더란 말입니다. 얘네들 한푸야 워낙 보던거라 대충 복식이 눈에 익는데 저 청색 옷은 뭘까? 일단 좌우 여밈식도 아니고 목굴레가 둥근 원피스 형태인데 옛날에 저런 의상이 있었을까? 처음엔 서양식 옷인줄 알았습니다. 요즘 중드에서 판타지가 하도 유행하는 바람에(무협은 물론이고 선협 장르까지) 중세 서양식 옷들도 적당히 꾸며서 입고 나오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런데, 우연찮게 드라마 '달이 뜨는 강'의 고구려 복식 관련 논란 때문에 자료를 찾아보던 중 저 무용총 벽화의 신선도가 눈에 확 들어오는 겁니다.


와~저 옷의 정체가 바로 단령이었군요.


단령이란 원래 북방 선비족에서 유래한 의상으로, 사막의 건조한 기후에 맞게(옷속에 모래가 들어가는 걸 막으려고) 웃옷의 여밈새를 없애고 목둘레를 원형으로 만들어서 원피스 형태로 입는 옷을 말합니다. 중국에서는 위진남북조시대(220~589) 선비족이 세운 위나라에서부터 도입되어 수당 시대에 들어와서 관복으로 정착되면서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의 신라에 전해져서(648년 진덕여왕) 7세기 중반 이후 통일신라와 발해 시대 내내 궁중의 관복으로 정착했죠.(물론 같은 시대의 일본에도 전해져 일본식의 독특한 단령이 만들어집니다.) 고구려는 위의 예시에 나온 무용총 신선의 그림(5세기 중반)에서 볼 수 있듯이 신라보다는 훨씬 이전부터 선비족이 세운 위나라와 교류했기 때문에(물론 전쟁도 많이 했습니다만...) 선비족의 단령이 일찍부터 도입되어 되어 있었죠.


단령은 주로 관리의 관복으로 많이 입었기 때문에 단령=남자옷 이라는 인상이 강하긴 합니다만 사실 여성들도 많이 입었습니다. 



F2FADA18-027E-4A...

드라마 '달이 뜨는 강' 중에서 평강공주의 어린시절에 입은 단령




백제-곡령교임포

천수국만다라, 622년 작, 비단에 자수, 길이 480cm, 일본 중궁사 소장


쇼토쿠 태자(574~422) 사후 그의 아내 다치바나가 후원하여 만든 작품으로 아스카 시대 일본 복식에 들어온 고구려 복식과 단령의 영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






무협이니까 고증이든 뭐든 그렇게 틀에 박힐 필요는 없겠습니다만 이렇게 유래를 찾아보니 재밌네요. 그냥 봐서는 서양옷이거나 너무 현대식이지 않나 했는데 단령이라는 전통의상이라니.



ming oh on Twitter: "험난한 강호에서 만난 평생의 지기 산하령 주자서와 온객행. 서로를 알아본 美人미인들 ㅎㅎㅎㅎ… "

(드라마 산하령은 현재 티빙에서 전편이 올라와 있구요. 화요일~금요일 매일 밤 11시에 중화티비에서 방영중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39
116887 암튼 꿈에서 본 장면은 확실합니다 가끔영화 2021.08.24 258
116886 이간계 [3] 사팍 2021.08.23 518
116885 유튜브 한국고전영화에 올라온 영화 가끔영화 2021.08.23 360
116884 축구 이적 시장 마감일이 일주일 후 [10] daviddain 2021.08.23 491
116883 아프칸과 미국 [3] 사팍 2021.08.23 642
116882 [초단문바낭] 사실은 제가 미스터 로봇 시즌 3도 다 봤거든요 [12] 로이배티 2021.08.23 707
116881 듀게 오픈카톡방 모집 [1] 물휴지 2021.08.23 276
116880 이틀 동안 영양제인줄 알고 먹었는데 [6] catgotmy 2021.08.23 835
116879 [EIDF] 2021 EBS 국제다큐영화제 [10] underground 2021.08.23 896
116878 그린나이트를 보고 [4] 예상수 2021.08.23 737
116877 The father + The chair [11] Kaffesaurus 2021.08.22 606
116876 영화 <콩고> 이야기 [8] 부기우기 2021.08.22 468
116875 옥희의 영화 (2010) [3] catgotmy 2021.08.22 384
116874 하찮은 일상 글 [12] thoma 2021.08.22 741
116873 오이를 잘라 그릇에 담으며 [4] 가끔영화 2021.08.22 355
116872 [아마존바낭] 미스터 로봇 시즌 2를 방금 다 봤는데요 [4] 로이배티 2021.08.22 558
116871 바낭 - 특정 주기로 꾸는 악몽(?)에 대해 [5] 예상수 2021.08.22 303
116870 코로나19 백신 misinformation 모음. [32] folkything 2021.08.22 1285
116869 사라진 사물 [8] 어디로갈까 2021.08.22 579
116868 열가지 물어보고 생각과 나이에 대해 말해준다 [3] 가끔영화 2021.08.22 3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