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ther + The chair

2021.08.22 23:31

Kaffesaurus 조회 수:606

1. 안소니 홉킨스와 올리비아 콜드만이 나오는 The father 를 봤습니다.영화는 홉킨스가 연기하는 안소니의 시각을 취합니다. 알면서 보러 갔는데도, 음 뭐라할까요 마치 스릴러 물을 보고 있는 기분이었습니다. 몇년 전 가족 중 한분이 아니 가족이 치매를 겪었습니다. 그때와 영화가 겹치면서 그때 그분도 이렇게 무서워 했었지, 우리도 앤처럼 힘들었었지 하게 되더군요. 전 오래전 부터 콜드만의 팬이었는데, 콜드만이 홉킨스와 마지막 장면에 아버지가 루시가 그립다라고 할때 'we all miss her' (정화하게는 기억나지 않네요) 대답하는 장면에서, 그 간단한 대사안에 보여주지 않았던 장면들 감정을 다 전달하는 능력에 다시 한번 정말 대단한 배우라고 생각했어요. 눈물이 주루룩. 


마지막 장면에서 안소니를 보면서, 위에 말한 가족도 그런 행동을 한게 기억나면서, 언젠가 선물이가 안톤 (울로프의 아들)은 아이인가요 어른 인가요를 물어보던 때를 생각했습니다. 아이라기에는 너무 나이가 많고 어른 이라기에는 아직 멀은 거 같은 나이의 안톤. 그때 저는 반복해서 묻는 선물이에게 갑자기, 선물아 우리 모두는 누군가의 아이란다 라고 답을 해버렸어요. 그러자 선물이는 이상하게 만족한 얼굴을 하고 질문을 멈추었고요. 

다시 생각해 봅니다. 그렇구나. 우리 모두는 누군가의 아이이구나. 


2. 산드라 오!!! 

아직 1화까지만 봤으니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1화만 봐도 이 시리즈가 그리는 아카데미를 제가 너무나 잘 알고 있어서 웃다가 웃음이 삼켜집니다. 제가 속한 institution은 인문계와는 좀 다른 형편이지만 (며칠전에 저희 딘은 일은 많고 할 사람을 구하는 건 힘들다고 공식장소에서 하소연 했습니다) 여러 가지가 제 직장생활과 비슷합니다.  일을 하는데  주어지는 시간이나 다른 조건들이 많이 나빠진 점, (예로 강의 시간은 더 많이 늘리라고 하면서 예산은 전혀 안늘여줌, 즉 강의 준비하는 시간을 줄여라. 그렇지만 교육의 질은 늘 유지해야 하니 결론은 개인시간에 일하시오)지금 당장 성과가 보이지 않는 기본 연구에 대한 지원이 거의 없어짐 (제 울로프는 수학 교수입니다. 이곳은 정말 연구비라는 게 하늘의 별따기 더군요). 몇년전에는  학생수가 줄어들어서 언어를 중심으로 가르치는 institution이 없어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저희 대학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었지만 또 다른 많은 사람들은 해고 되었지요. 그 결정이 나고 나서 한 1년동안 그런 사람들을 한 곳에 (일하는 장소) 모아 두었다고 하더군요. 그때 한 동료가 없애는 건 쉽지만 다시 세우는 건 힘들다. 대학이 이렇게 단기적으로 생각을 하다니, 하더군요. 대학이  스스로 만든 과학적 연구 결과를 따르지 않은 지 오래되었다는 생각입니다. 

홀란드 테일러에 대한 호평이 많던데 기대됩니다. 1화에 산드라 오와 홀란드 테일러의 course evaluation에 대한 대화. 이 장면은 제가 예전에 학교 learning platform 개발팀과 한 대화를 회상하게 했습니다. 그때 개발자가 자랑스럽게 라이크버튼을 설명하면서, 이제 학생들이 당신이 한 코멘트를 좋아하는 지 안좋아하는 지 알수 있어요 라고 말했죠. 저는 그때 나의 임무는 학생들이 배우도록 하는 것이지 학생들이 날 좋아하는 게 하는 게 아니랍니다, 라고 대답했었죠. (오해는 하지 마세요 저는 학생들 evlautation을 중요시 여깁니다. 어떤 면에서 학생들을 도와야 하나 또 어떤 면에서 학생들과 소통이 충분하지 않았나를 알기 위해서 중요한 도구라고 봅니다). 


어떻게 전개 될지 궁금합니다. 


3. 한국어로 글을 쓰는 건 여기 뿐입니다. 정말 오랫동안 쓰지 않아서, 이 짧은 글을 쓰는 것도 힘들군요. 이러면 속상해요. 미리 죄송하다고 양해를 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9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80
117046 쓸게 없어 뻘바낭, 뒤도 볼수 있으면 뭐가 좋을까 [7] 가끔영화 2021.09.07 290
117045 넷플릭스 "화이트 타이거" 추천 [8] 산호초2010 2021.09.07 827
117044 알랭 들롱, 장 폴 벨몽도 2019년 영상 [5] 수영 2021.09.07 466
117043 제인 에어 (1943) [9] catgotmy 2021.09.07 417
117042 [게임] 어새신 크리드 : 오딧세이 [10] 가라 2021.09.07 458
117041 Michael K. Williams 1966-2021 R.I.P. [1] 조성용 2021.09.07 238
117040 Jean-Paul Belmondo 1933-2021 R.I.P. [6] 조성용 2021.09.07 333
117039 몸에서 나오는 것 중 추하지 않은 것은. [20] thoma 2021.09.06 1327
117038 주말에 오랜만에 극장 다녀왔습니다. 샹치에요. 네. [2] 나보코프 2021.09.06 481
117037 5억년 버튼과 프레스티지 [7] eltee 2021.09.06 638
117036 5차 정부지원금 [7] 예상수 2021.09.06 881
117035 샹치 (스포일러) [2] skelington 2021.09.06 523
117034 백주의 탈출 (1942) catgotmy 2021.09.06 206
117033 오타니는 동네 야구하듯 하는군요 가끔영화 2021.09.06 336
117032 [게임바낭] 정말 농약 같은 게임이네요. 하데스... [10] 로이배티 2021.09.06 1246
117031 신호대기 중 옆차선에서 들려오던 노래가 오전 내내 귓가에 [4] Lunagazer 2021.09.06 452
117030 초바낭) 월요병 [2] 그날은달 2021.09.06 319
117029 이재명과 홍준표 [15] 칼리토 2021.09.06 1011
117028 가레스 베일이 해트트릭했군요 [2] daviddain 2021.09.05 2716
117027 이것저것.. 라인하르트012 2021.09.05 24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