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집에 갔더니 아버지가 타르코프스키의 <희생>을 보고 계시더라고요. 이미 봤을 이 옛 영화를 왜 보시냐고 여쭸더니 인간은 나이들수록 더 수수께끼 같은 존재로 다가오는데 그걸 잘 묘사한 작품이라고 생각하신다고.  그는 결정적인 게 제도라는 것을 알았던 사람이고 그걸 영상으로 표현해낸 사람이라고, 발레리가 "제도라는 건 인간이 감정과 지성을 집중적이고 전승이 가능하게 합성할 수 있는 질적으로 새 속성을 만들 수있다"고 말했는데 그걸 영상으로 보여준 게 타르코프스키고 생각하신다고 (음?) 

〈희생〉(1986)은 1932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1986년 12월 망명지 파리에서 54년의 생을 마감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마지막 작품이죠. 저는 십대 때 이 영화를 본 터라 기억도 감상도 희미합니다. 다만 그건 알아요.  그가 생애 동안 고작 영화 7편밖에 만들지 않았지만 영상으로 사유하는 철학자의 면모로 세계영화사에  한 봉우리를 세웠다는 것. 그의 영화들이 철학적이며 사변적이며 신과 인간의 문제와 같은 종교적인 주제를 탐구하는 심오함이 깃들어 있다는 것. 그의 영화들이  분명한  서사 전략을 위한 빠른 템포의 상업영화와는 달리 호흡이 긴 롱 테이크의 기법으로 유장한 리듬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
 
# 오래 전에 읽었던 타르코프스키의 글 중에 이런 게 있었어요. "인간은 일곱 개의 서로 다른 차원에서 살고 있다. 거기에서 극적인 갈등이 생겨나는 것이며 거기에 개인이 각자 선택한 길이 놓여 있는데 바로  그 극적인 갈등이 예술과 예술적 형식의 내용인 것이다." 뭐 맞는 말씀이죠.

# 바둑를 두는 동안, 저를 십대 때부터 봐온 이웃 아주머니가 놀러오셨는데 이런 말씀을 하더라고요 :"그 인물에 그 학벌에 왜 홀로 외롭게 나이들어가고 있냐?"
으흠. 사람은 아는 만큼, 셍각하고 고민하는 만큼 보기 마련입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서로 다른 생각/판단을 히고  있는 걸 알기에 서로 '딱 그만큼만 생각하는' 그 이야기들을 나눈다.는 것이죠.  그러면서 서로에게서 배우는 게 있는 것이고요.

자기는 비록 '딱 그만큼밖에 생각하지 못하지만'. 다른 생각을 들려주는 타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때로 그 '딱 그만큼밖에' 라는 한계를 넘어설 수도 있는 것이죠.  물론 실제로 넘어서려면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 다음부터는 새롭게 이해하려는 노력도  필요하죠. 안 그러면 정말로  '딱 그만큼만'  생각하다가 가게 되는 거고요.
이 게시판에 주절거릴 뿐이지 아주머니에게 답은 못드렸어요.  어떤 답을 해봐야  저의 삶을 이해하시겠나요? 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2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7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62
117244 게시판에 넘쳐나던 머저리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13] 도야지 2021.09.27 1038
117243 소월을 감상함 [6] 어디로갈까 2021.09.27 426
117242 오징어 게임 4회를 보고... 사팍 2021.09.26 625
117241 오징어게임 다 보고 많이 울었어요. 안녕이젠 2021.09.26 749
117240 축구 중계 - 다가오는 더비 [6] daviddain 2021.09.26 227
117239 진중권의 정의 [3] 사팍 2021.09.26 649
117238 오징어 게임 3화를 보고 사팍 2021.09.26 371
117237 베팅 사회(세팅 사회?) [9] thoma 2021.09.26 433
117236 The Unholy Wife (1957) catgotmy 2021.09.26 220
117235 오징어 게임 2화를 보고(간단 줄거리 있음) 사팍 2021.09.26 343
117234 오징어 게임 배우들, 김주령, 정호연, 한국의 케이블TV계 시상식은 존재하는가? tom_of 2021.09.26 491
117233 '오징어게임'에 등장하는 게임들에 관해서...(스포일러) [23] S.S.S. 2021.09.26 853
117232 데스게임 혐오, 주디스 버틀러, 파일 보관법, MZ라는 환각 [5] 예상수 2021.09.26 500
117231 넷플릭스 카우보이 비밥 오프닝 [16] Lunagazer 2021.09.26 658
117230 자신은 오징어 게임의 말일뿐 [4] 가끔영화 2021.09.26 400
117229 [넷플릭스바낭] '오징어 게임' 덕에 덩달아 뜨고 있는, '아리스 인 보더랜드'를 봤습니다 [16] 로이배티 2021.09.26 876
117228 월급 250만원, 6년 근무, 퇴직금 50억 [10] 사팍 2021.09.26 1003
117227 오징어게임 1화를 보고 [4] 사팍 2021.09.26 556
117226 한길로 쭉 걸어보는게 소원 [2] 가끔영화 2021.09.26 276
117225 유투브에서 또 기인을 한분 발견했습니다. [1] Lunagazer 2021.09.25 7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