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영화 '더 길티' 봤어요.

2021.10.11 14:01

thoma 조회 수:542

더 길티(The Guilty, 2018)

81bd6acc11f64796a62645f77a249ad115525412

일반적인 영화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시각, 청각적 쾌감이 없는 영화입니다. 그 중 특히 시각적인 볼거리는 전무에 가깝습니다. 아래 사진이 이 영화에서 제공하는 최대한의 공간이고 이렇게 한 화면에 여러 사람이 같이 잡힌 장면도 매우 드물어요. 대부분은 그 아래의 사진과 같이 주인공 혼자 화면에 나타나서 주로 이 인물의 얼굴과 손동작 정도가 영화 내내 보고 있어야 하는 장면입니다. 청각적 쾌감이 없다고 썼는데 사실 이 영화는 절대적으로 청각에 의지하여 진행됩니다. 다만 '쾌감'이 없죠. 확인해 보니 음악은 앤딩 장면에서  단 한 번 사용됩니다. 나머지 소리는 긴급 신고 센터에 걸려오는 벨소리와 전화 건 사람 쪽의 배경음인 차 소리나 비, 와이퍼 소리입니다. 영화는 모두 통화 내용으로 전개됩니다. 폐소공포증이나 그 비슷한 증세를 갖고 있다면 영화가 고통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저도 조금 답답했습니다.  

8868839eceb887c6ce51ad4d0ef3e6423c33ab47

아래 사진처럼 다른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근무하다가 통화한 사건에 깊이 개입하려고(근무 수칙을 어기는 것이므로) 위 사진처럼 혼자 유리 칸막이 있는 사무실로 옮깁니다. 주인공의 과잉대응은 이전에 있었던 모종의 사건이 심리적으로 영향을 준 것이면서 내일 재판이 있을 이 사건은 현재 통화 중인 이들의 사건과 의미상 끝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7060bef55fca4f069b54a24cc264ae6315523540

아래와 같은 화면을 가장 많이 보게 됩니다.

cadb04400fc84c4b9bb0a3534ecfb3ba15523540

칸막이 방, 블라인드 내리고, 오로지 청각 정보에만 의지해서 더 잘 들으려는 주인공.

47c7a03ea7fd46fd80c4940b9876f66715413886

이런 영화의 생명은 각본이겠죠. 영화의 각본이 참 정밀하게 잘 쓰였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딱딱 톱니바퀴 물리듯 이야기가 말이 되게 전개됩니다. 영화 수업 같은데서 교재로서 역할할 수 있겠다 싶을 정도로요. 

영화를 감상한 후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기도 좋습니다. 제한된 정보로 세계를 어떻게든 이해해서 대응하며 살아야 하는 인간 조건을 떠올리기도 했고 어느 순간 개입하는 편견에 커다란 실수를 한다는 생각도 해 볼 수 있겠습니다. 아무리 조심해도 살면서 이 함정을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편견 없이 판단이란 게 불가능에 가깝지 않던가요. 그릇만큼 판단하고 책임을 지는 수밖엔. 

점점 구석진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서 혼자라 마음껏 자신에게 고통을 주기도 하고 행패를 부리기도 하는데 이윽고 밖으로 나오자 실마리가 보이고 주인공 개인의 출구 찾기도 가능해지는, 장소 설정의 상징성 같은 것도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이 좁은 공간을 가지고서 대단한 것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2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7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45
117795 (명랑기사)노조탈퇴 양승은 아나운서가 말하길 [15] 익명중 2012.05.08 4636
117794 [미드얘기] 2012년 상반기 제게 최고의 미드는 왕좌의 게임도 브레이킹 배드도 아닌, [8] poem II 2012.06.26 4636
117793 비누 줍는다는 표현은 어디서 나온건가요? [11] 마라케쉬 2013.06.11 4636
117792 [아이돌바낭] 어느 카라 덕후의 멘탈 붕괴 [14] 로이배티 2012.08.13 4636
117791 치킨갤 특파원이 전하는 현재 이시각 롯데마트 강변점 상황. [12] 달빛처럼 2010.12.15 4636
117790 조희연 교육감 의외로... [6] 빠삐용 2014.06.05 4635
117789 한겨레 동성애 반대 광고 [10] 세멜레 2013.06.07 4635
117788 제 생각이 정말 잘못된 건지 궁금합니다...(글 수정했습니다.) [38] 꼬마자동차 2014.09.01 4635
117787 문창극 총리후보를 두고 아주 재밌는 판이 짜여지네요 [16] MG 2014.06.16 4635
117786 무릎 꿇은 버스 기사(또는 직원). [44] 자본주의의돼지 2012.04.18 4635
117785 프랑스 파리에서 SM을 상대로 시위가 열렸군요. [15] 아리마 2011.05.02 4635
117784 세계 7대 망언 [14] amenic 2010.12.29 4635
117783 1조 1100억원짜리 집 [11] soboo 2010.10.16 4635
117782 중매회사에서 따지는 배우자 지수 [10] r2d2 2010.08.20 4635
117781 잠만 자고 일어나면 편도선이 퉁퉁 부어서 침을 삼킬수가 없네요. [4] 버드아이스 2010.06.24 4635
117780 피임을 권장하는 작품들. [14] 패니 2013.02.18 4634
117779 유시민 정계은퇴 [15] 뚜루뚜르 2013.02.19 4634
117778 tvn 김미경... [12] 깨져있는 시민 2013.01.02 4634
117777 MC몽 병역기피 무죄 확정이네요 [7] DH 2012.05.24 4634
117776 (듀나인) 라면 반개만 끓이고 보관할 수도 있겠죠? [9] 블랙북스 2012.05.20 463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