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영화 '더 길티' 봤어요.

2021.10.11 14:01

thoma 조회 수:542

더 길티(The Guilty, 2018)

81bd6acc11f64796a62645f77a249ad115525412

일반적인 영화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시각, 청각적 쾌감이 없는 영화입니다. 그 중 특히 시각적인 볼거리는 전무에 가깝습니다. 아래 사진이 이 영화에서 제공하는 최대한의 공간이고 이렇게 한 화면에 여러 사람이 같이 잡힌 장면도 매우 드물어요. 대부분은 그 아래의 사진과 같이 주인공 혼자 화면에 나타나서 주로 이 인물의 얼굴과 손동작 정도가 영화 내내 보고 있어야 하는 장면입니다. 청각적 쾌감이 없다고 썼는데 사실 이 영화는 절대적으로 청각에 의지하여 진행됩니다. 다만 '쾌감'이 없죠. 확인해 보니 음악은 앤딩 장면에서  단 한 번 사용됩니다. 나머지 소리는 긴급 신고 센터에 걸려오는 벨소리와 전화 건 사람 쪽의 배경음인 차 소리나 비, 와이퍼 소리입니다. 영화는 모두 통화 내용으로 전개됩니다. 폐소공포증이나 그 비슷한 증세를 갖고 있다면 영화가 고통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저도 조금 답답했습니다.  

8868839eceb887c6ce51ad4d0ef3e6423c33ab47

아래 사진처럼 다른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근무하다가 통화한 사건에 깊이 개입하려고(근무 수칙을 어기는 것이므로) 위 사진처럼 혼자 유리 칸막이 있는 사무실로 옮깁니다. 주인공의 과잉대응은 이전에 있었던 모종의 사건이 심리적으로 영향을 준 것이면서 내일 재판이 있을 이 사건은 현재 통화 중인 이들의 사건과 의미상 끝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7060bef55fca4f069b54a24cc264ae6315523540

아래와 같은 화면을 가장 많이 보게 됩니다.

cadb04400fc84c4b9bb0a3534ecfb3ba15523540

칸막이 방, 블라인드 내리고, 오로지 청각 정보에만 의지해서 더 잘 들으려는 주인공.

47c7a03ea7fd46fd80c4940b9876f66715413886

이런 영화의 생명은 각본이겠죠. 영화의 각본이 참 정밀하게 잘 쓰였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딱딱 톱니바퀴 물리듯 이야기가 말이 되게 전개됩니다. 영화 수업 같은데서 교재로서 역할할 수 있겠다 싶을 정도로요. 

영화를 감상한 후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기도 좋습니다. 제한된 정보로 세계를 어떻게든 이해해서 대응하며 살아야 하는 인간 조건을 떠올리기도 했고 어느 순간 개입하는 편견에 커다란 실수를 한다는 생각도 해 볼 수 있겠습니다. 아무리 조심해도 살면서 이 함정을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편견 없이 판단이란 게 불가능에 가깝지 않던가요. 그릇만큼 판단하고 책임을 지는 수밖엔. 

점점 구석진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서 혼자라 마음껏 자신에게 고통을 주기도 하고 행패를 부리기도 하는데 이윽고 밖으로 나오자 실마리가 보이고 주인공 개인의 출구 찾기도 가능해지는, 장소 설정의 상징성 같은 것도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이 좁은 공간을 가지고서 대단한 것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1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6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38
117633 마네킨 (1987) [7] catgotmy 2021.11.05 571
117632 [바낭]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확정 [20] 로이배티 2021.11.05 1937
117631 [영화바낭] 개인적 편애 영화 '스트레인지 데이즈'를 다시 봤어요 [6] 로이배티 2021.11.05 714
117630 이터널스는 그간의 마블스튜디오 영화들의 장점을 많이 버린 것 같네요 [7] 으랏차 2021.11.05 1012
117629 노래가 안지워져,소셜 노래방 앱 가끔영화 2021.11.05 207
117628 열다섯 가지 사는 이유 [1] 가끔영화 2021.11.04 404
117627 잊혀진 말론 브란도 영화 외 [2] daviddain 2021.11.04 405
117626 (영화바낭)킬러의 보디가드(1 & 2) [4] 왜냐하면 2021.11.04 409
117625 '올 더 머니, 라우더밀크, 얼굴 없는 눈' 짧은 감상 [13] thoma 2021.11.04 664
117624 풍류대장 6화 [5] 영화처럼 2021.11.04 484
117623 본의 아니게 국민의 힘 경선에 참여해버렸... [2] 예상수 2021.11.04 633
117622 유튜브 프리미엄을 써보고 [10] catgotmy 2021.11.04 777
117621 손준성은 김미영팀장 왜냐하면 2021.11.04 416
117620 So May We Start? 아네트 봤어요. (스포일러) [1] staedtler 2021.11.04 311
117619 [게임바낭] 망작, 폭망작, 수작이 골고루였던 근래에 했던 게임 셋 잡담 [6] 로이배티 2021.11.04 439
117618 이터널스를 보고..<유스포> [2] 라인하르트012 2021.11.04 614
117617 이터널스는 이만하면 성공적인 것 같습니다. [4] woxn3 2021.11.04 860
117616 [영화바낭] 꽤 잘 만든 듣보 스릴러, '아파트209'를 봤습니다 [18] 로이배티 2021.11.03 672
117615 (영화잡담)퍼스트 카우, 청룡영화상 [4] 예상수 2021.11.03 383
117614 메타버스 회의론 [4] 예상수 2021.11.03 696
XE Login